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산업 중기·벤처

속보

더보기

[뉴스핌 라씨로] 코렌텍, '인공관절' 수출 확대..."일본·러시아 등 신규 시장 진입"

기사입력 : 2024년06월13일 14:36

최종수정 : 2024년06월13일 14:36

자회사 '선헬스케어인터내셔널·우성제약' 매출 성장 이어져
올해 연결기준 매출액 1000억원대 기대

이 기사는 6월 13일 오전 08시32분 AI가 분석하는 투자서비스 '뉴스핌 라씨로'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인공관절 전문업체인 코렌텍이 올해 러시아와 일본 등 신규 해외 시장을 공략한다. 일본에서는 지난해 7월, 후생성으로부터 인공고관절 제품 '벤콕스(BENCOX)'에 대한 품목허가를 완료했다. 일본은 고령 인구 비율이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나라로, 아시아태평양 지역 인공관절 시장 전체의 절반을 차지하는 등 인공관절 시장의 규모가 매우 크다. 코렉텍은 일본 외 신규시장 진입을 위해 현재 러시아·호주 등에서도 제품 인증을 진행하고 있다.

코렌텍 관계자는 13일 "일본의 경우 대리점 통해 영업망을 구상 중에 있다. 러시아는 인공관절 관련 제품들 승인을 준비하고 있으며, 올해 말 승인되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다. 일본·러시아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다방면으로 준비하고 있으며 판매가 이뤄지도록 목표로 두고 있다"며 "현재 진출해 있는 미국 시장에서는 꾸준한 매출을 이어오고 있다. 미국이 제일 큰 시장이기에 더 적극적으로 공략하고 있는 상황이다"고 말했다.

코렌텍 로고. [사진=코렌텍]

미국은 전세계에서 인공관절 단가가 가장 높으며 이미 인공관절 시장이 자리잡은 시장으로 전세계 인공관절 시장의 약 60%를 차지하는 세계에서 가장 큰 시장이다. 큐레텍은 기존 인공 고관절, 인공 슬관절 매출에 힘을 실어줄 신규 제품들에 대한 인증을 준비 중에 있으며, 이 외에도 이미 FDA 승인을 완료한 '척추고정체', FDA 인증을 진행하는 '인공 견관절' 등 미국시장에 제품 라인업 확대를 준비 중에 있다.

또한 이미 진출한 멕시코 시장에서는 기존 거래처 외 신규 거래처 계약을 통해 매출처를 확대하고 있으며, 올해 브라질에서는 일부 제품 승인이 완료 돼, 중남미 지역 중심의 성과도 기대되고 있다. 코렌텍은 오는 2028년까지 5년간 멕시코 대리점 '바이오토텍(Biortotec)'에 인공관절 제품을 공급하기로 체결했다. 계약 금액 2269만 달러(한화 약 305억 원)이다. 또한 최근 브라질에서는 인공 슬관절(무릎관절) 제품 '이그절트'(EXULT) 제품 승인을 완료해, 멕시코 대리점 계약 체결에 이어 브라질 당국 승인을 받음으로써 중남미 전 지역 진출을 본격화할 전망이다.

이처럼 매해 국내외 시장에서 입지를 넓혀간 코렌텍은 꾸준한 성장세를 통해 지난 2018년 이후, 매해 역대 매출을 올리고 있다. 지난 2018년 코렌텍 별도기준 매출액은 331억원, 2019년 401억원, 2020년 404억원, 2021년 446억원으로 매해 소폭 성장을 이루며 상승세를 이어왔다. 2022년 561억원 매출을 기록했으며, 지난해에는 매출액 698억원, 영업이익 42억원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또한 자회사 '선헬스케어인터내셔널·우성제약' 활약이 코렌텍의 외형성장에 힘을 보태고 있다. 지난 2022년 하반기 코렌텍은 병원 사업부문 '선헬스케어인터내셔널'을, 2023년 하반기 제약사업 '우성제약'을 잇따라 인수하면서 약 400억원대에 머물러 있던 코렌텍의 매출은 지난 2022년 연결기준 639억원으로 증가했다. 지난해에는 별도기준 실적에 이어 연결기준에서도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지난해 매출 924억원, 영업이익 73억원으로 각각 전년대비 44.6%, 25.0% 증가한 수치다.

선헬스케어인터내셔널은 건강검진 서비스·의료기기 유통업·미국수술 전문병원 운영 등에서 성장세가 두드러지면서 지난해 매출 약 166억원으로, 전년대비 112.8% 증가했다. 우성제약은 주사제 전문의약품 연구개발기업으로 진통해열제·전해질제제·항균제 등을 생산하고 있으며, 지난해 11월 독감치료제 '페라미비르주' 출시 등 제품 라인업을 확대하고 있다.

코렌텍은 자회사의 긍정적 성장에 올해 창사 이래 첫 매출 1000억원 달성을 노리며 수익성을 확보해 나갈 전망이다.

코렌텍 관계자는 "1분기 실적이 약간 저조했던 부분이 있지만, 올해는 지난해보다 소폭 상승한 실적을 전망한다. 자회사 매출이 좋은 성과를 이루고 있기에 (1000억원대) 매출도 가능한 숫자로 보이지만 목표 매출 달성에 대해서는 천천히 가는 방향으로 잡고 있다"며 "올해는 매출보단 이익적인 부분에 더 집중하려한다. 이익률 확대를 위해 탄탄한 구조를 만드는 것에 방향성을 잡고 나아가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금융정보업체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코렌텍은 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151억원, 영업이익 4억원을 기록했다. 전공의 파업으로 인한 국내시장 매출 감소 여파로 코렌텍 매출은 전년 동기대비 8% 감소했지만, 연결기준 매출로는 역대 1분기 최대치를 달성했다. 1분기 자회사 우성제약은 매출액 23억원, 선헬스케어인터내셔널 매출액 39억원으로, 코렌텍 연결기준 매출액은 14억원, 영업이익 4920만원을 기록했다.

nylee54@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전세 10년 보장법 논란 "당론 아냐"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임차인에게 최장 10년동안 전세계약을 보장하는 더불어민주당의 '주택임대차보호법 개정안'이 논란이 되자 이재명 대표가 5일 만에 공개 해명했다. 이 대표는 17일 "전세 계약을 10년 보장하는 임대차법 개정의 경우 논의를 거친 당 공식 입장이 아닐뿐더러 개인적으로도 바람직하지 않다는 의견을 갖고 있다"고 급히 해명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사진=뉴스핌DB] 앞서 민주당은 지난 12일 민생연석회의에서 20대 민생 의제를 제시했다. 20대 민생 의제에는 임차인이 최장 10년까지 전세 계약 갱신이 가능하게 한 임대차법 개정안이 포함됐다. 이후 부동산 커뮤니티 등을 중심으로 '부작용을 외면한 반시장적 발상'이라는 비판이 나오면서 논란은 거세졌다. 이 대표는 "국민의 주거권 보장은 국가의 중요한 책무지만 어떤 정책이든 시장 원리를 거스른 채 정책 효과를 달성하긴 어렵다"고 언급했다. 이어 "민간 임대차 시장을 위축시켜 세입자에게 불이익이 돌아갈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우려 또한 새겨들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조기 대선을 앞두고 부동산 정책에 민감한 중도층의 민심을 사로잡기 위해 5일 만에 당론이 아니라고 선을 그은 것이다. plum@newspim.com 2025-03-17 21:20
사진
양주 군부대서 무인기와 헬기 충돌 [서울=뉴스핌] 박우진 기자 = 경기도 양주에 있는 한 육군부대 항공대대에서 비행하던 군용 무인기가 착륙한 상태에 헬기와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17일 경기북부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1시 5분쯤 경기 양주시 광적면 소재 육군 항공대대에서 무인기가 헬기(수리온)와 충돌했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파주=뉴스핌] 사진공동취재단 = 11일 경기도 파주시 법원읍 무건리 훈련장에서 '한미 연합 공중강습 훈련'이 열려 한미 장병들은 태운 수리온 헬기가 공중강습을 위해 착륙하고 있다. 이날 훈련에는 한국군 90여 명, 미군100여 명이 참가했으며 수리온 6대가 동원됐다. 2025.03.11 photo@newspim.com 소방당국은 무인기가 착륙해 있는 헬기와 부딪치면서 불꽃이 일어난 것으로 보고 있다.  사고로 군용 헬기 1대와 무인기가 전소된 것으로 알려졌다.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출동한 소방은 장비 20대와 인원 50명을 투입했으며 상황 발생 후 29분만에 진화를 마쳤다. 군과 소방당국은 정확한 사고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 krawjp@newspim.com 2025-03-17 14:56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