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개막 전 기조연설
AI 거품론 진화 나서나
삼성·하이닉스 여파 관심
반도체 시장 향방 가른다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6년 만에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 기조연설에 나서면서 세계가 그의 입을 주목하고 있다. 엔비디아가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기업으로 성장하면서 그의 발언 내용도 시장에 큰 파장을 일으킬 것이라는 관측이다. 엔비디아와 거래를 개척하거나 늘리려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도 황 CEO의 발언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사진=블룸버그] |
◆ 엔비디아 세계 최고 기업으로 성장...황 발언에 주가 '출렁'
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오는 6일(현지시간) 'CES 2025' 기조연설에 나선다. 7일 개막하는 CES 2025 하루 전 기조연설에 나서며 올해 CES를 관통하는 인공지능(AI)의 현재와 미래를 진단할 것으로 보인다.
젠슨 황 CEO는 지난 2017년과 2019년 두 차례 CES 기조연설에 나선 바 있다. 올해 기조연설은 6년 만이다. AI 시대가 무르익기 전인 지난 2017년 황 CEO는 "AI는 그 동안 꿈꿔오던 가능성들을 실현시키고 있다"며 "공상 과학에나 등장하던 것들이 수년 내로 현실이 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그러면서 엔비디아의 주력 제품인 GPU(그래픽처리장치)에 인공지능을 탑재한 자율주행차, 인공지능 기반 TV, 음성인식 기기 등을 선보였다. 2019년에는 2017년 보다 진화한 상업용 레벨2+ 자율주행 시스템인 '엔비디아 드라이브 오토파일럿'을 공개하기도 했다.
6년이 지난 지금 엔비디아의 위상은 몰라보게 달라졌다. 지난해 11월 애플을 꺾고 시가총액 1위에 오르는 등 세계에서 가장 가치있는 기업으로 성장했다. 2일 기준 시가총액 약 4725조원으로 애플에 이은 2위다. 마이크로소프트(4395조원), 알파벳(구글, 2149조원), 아마존(2114조원) 보다 여전히 높은 순위다.
엔비디아 성장의 중심에는 GPU가 있다. GPU는 원래 그래픽 처리 용도로 개발됐지만, 병렬 계산에 최적화된 아키텍처 덕분에 딥러닝과 같은 AI 연산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지난 2023년 오픈AI의 챗GPT의 등장과 함께 AI 관련 투자와 기술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며 엔비디아의 GPU 인기도 치솟았다. 지금은 세계 AI칩 시장의 8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는 독보적인 기업으로 성장했다.
엔비디아의 위상이 치솟으면서 황 CEO의 발언 내용이 시장에 미치는 파장도 크다. 지난해 하반기 부상한 'AI 거품론'과 '반도체 겨울론'을 잠재운 사례가 대표적이다. 지난해 9월 모간스탠리는 HBM 공급이 수요를 초과할 것이라는 내용의 '겨울이 온다(Winter Looms)' 보고서를 내놓으면서 시장에 충격을 안겼다. 당시 SK하이닉스 주가가 10% 넘게 떨어지는 여파가 컸다. 당시 이 비관론을 잠재운 인물이 황 CEO다.
황 CEO는 지난해 9월 한 컨퍼런스에 참석해 AI 칩 수요가 여전히 견고하다는 사실을 직접 밝혔다. 황 CEO는 "(엔비디아의 AI 칩) 수요가 너무 강해서 모두 가장 먼저, 가장 많이 공급받으려 한다"며 "이로 인해 감정이 더 격해지는 고객사들도 있다"고 말했다. 당시 SK하이닉스도 엔비디아의 AI 칩 H200에 탑재될 HBM3E 12단을 세계 최초로 양산에 돌입했고, 마이크론도 내년까지 HBM 생산 물량을 모두 계약했다고 밝히며 견고한 AI 반도체 수요를 재확인시켰다. 그해 10월 모간스탠리는 SK하이닉스의 목표 주가를 12만원에서 13만원으로 소폭 상향 조정하며 이전 평가가 단기적으로 틀렸음을 인정하기도 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지난해 11월 4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 SK AI 서밋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 SK그룹] |
◆ HBM에 사활 건 삼성전자·SK하이닉스도 주목
엔비디아는 국내 반도체 기업에도 막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에 HBM을 공급하면서 급성장한 대표적인 회사다. 지난해 11월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SK AI 서밋에서 "황 CEO가 HBM4 공급을 6개월 앞당겨 달라"고 주문했다고 밝혔다. HBM4는 현재 5세대 제품인 HBM3E에 이은 6세대 HBM이다. SK하이닉스는 HBM4 12단 제품은 연내 출하하고 내년 HBM4 16단 제품 출시를 준비하고 있다. 엔비디아는 사실상 SK하이닉스에 HBM을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HBM4까지 공급 일정이 앞당겨지면 HBM 시장에서 SK하이닉스의 지위는 더 공고해 질 수 있다. 특히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올해도 CES 현장을 방문할 가능성이 높아 황 CEO와의 만남에도 관심이 쏠린다.
엔비디아에 HBM 납품을 추진 중인 삼성전자 역시 황 CEO의 발언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황 CEO는 지난해 11월 한 인터뷰에서 "삼성전자로부터 HBM3E 8단과 12단 모두 납품받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3분기 실적 발표에서 "현재 HBM3E 주요고객사의 퀄테스트 과정상 중요한 단계를 완료하는 유의미한 진전을 확보했다"며 "4분기 중 HBM3E 판매 확대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혔다. 이 언급을 황 CEO가 다시 확인시켜 준 셈. 다만 해가 바뀌어서도 공식적인 언급은 없지만 삼성전자의 엔비디아 HBM 납품이 사실상 9부 능선을 넘었다는 관측이 나온다.
반도체업계 관계자는 "엔비디아가 SK하이닉스에 의존해 온 HBM 공급망을 삼성전자나 마이크론으로 다변화해 경쟁을 유도하고 가격 협상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겠다는 계산을 하고 있다"며 "황 CEO가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 전시 부스를 방문할 가능성도 있어 어떤 장면이 연출될지도 관심"이라고 전했다.
s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