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시바 6일 방미...아시아 동맹국 첫 정상회담
트럼프 2기 대중국 전략과 동맹관 탐색 기회
정부, 미·일 첫 정상회담 결과 예의주시
전략적 공통점 가진 한·일, 트럼프 상대 협력해야
[서울=뉴스핌] 유신모 외교전문기자 = 지난 4일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취임 이후 첫 정상회담을 가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두 번째 정상회담 상대는 아시아의 핵심 동맹국인 일본의 이시바 시게루(石破茂) 총리다.
이시바 총리는 6일 미국 방문 길에 올라 7일(현지 시각) 트럼프 대통령과 회담할 것으로 보인다. 두 정상은 안보·경제 문제를 포함해 양국 간 관심사를 폭넓게 논의하고 미·일 동맹을 강조하는 공동성명을 채택할 예정이라고 일본 언론은 보도하고 있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 [사진=로이터 뉴스핌] |
트럼프 대통령과 이시바 총리의 첫 만남은 새로운 내용의 양국 간 합의를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니다. 상대의 대외 정책 기조를 탐색하고 양국이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관심과 우려가 무엇인지 점검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일본은 이번 회담을 통해 미·일 동맹이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의 핵심이라는 점을 재확인하는 데 큰 비중을 둘 것으로 보인다.
이번 회담은 아직 구체적으로 윤곽을 드러내지 않고 있는 트럼프 2기 아시아 전략의 기본 구상을 파악할 수 있는 기회라는 점에서 한국에도 큰 시사점이 있다. 무엇보다 미·중 경쟁에 몰두하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이 어떤 대(對)중국 정책을 펼 것인지를 탐색할 수 있기 때문에 정부도 이번 회담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한·미 동맹 문제에 정통한 외교관 출신의 전문가는 "권한대행 체제의 한국은 당분간 미국과 정상회담을 하기 어렵지만 이번 미·일 정상회담을 통해 트럼프 2기 대미 전략을 마련하는 데 귀중한 단서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며 "한·미 정상회담이 다소 늦어지는 것이 오히려 득이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일본은 트럼프 2기 출범에 대해 한국과 비슷한 고민을 갖고 있다. 대중국 견제에서 동맹의 중요성, 북한 핵·미사일 위협에 대한 미국의 강력한 억제력, 북한과의 '쉬운 합의'에 대한 경계, 미군 주둔비용과 방위비, 관세 부과 문제 등 이시바 총리가 강조할 것으로 예상되는 사안들은 거의 대부분 한국이 트럼프 행정부에 전하고 싶은 내용이기도 하다.
한국 정부의 입장에서는 이번 정상회담에서 일본이 어느 정도의 성과를 거두는지, 트럼프 대통령이 어떤 사안에 관심을 보이는지 등을 면밀히 지켜볼 필요가 있어 보인다.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다가올 한·미 정상회담과 대미 전략 구상을 효율적으로 준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4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공동 기자회견 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 뉴스핌] |
미국은 트럼프 대통령 취임 다음날 워싱턴에서 쿼드(QUAD, 미국·인도·일본·호주의 안보협의체) 외교장관회담을 주최하고 "법치, 민주적 가치, 주권, 영토 완전성이 수호되는 자유롭고 개방적인 인도·태평양을 강화하겠다는 공동의 약속을 재확인했다"는 내용의 공동성명을 발표한 바 있다.
또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은 지난달 23일 조태열 외교부 장관과 첫 전화통화에서 한·미·일 협력이 '결정적인 중요성'을 갖는다고 강조함으로써 조 바이든 행정부가 구축한 '한·미·일 협력 제도화'의 흐름을 이어갈 것임을 시사하기도 했다.
이를 두고 국책연구기관의 한 안보 전문가는 "트럼프 대통령도 동맹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 미국의 국익에 부합한다는 것을 잘 인식하고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정부는 미국의 아시아 전략에서 한국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부각시키고 대미 외교에서 한국과 많은 이해관계를 공유하고 있는 일본과 협력해 한 목소리로 트럼프 행정부를 상대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지적했다.
opent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