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지역 건설경기 보완방안′ 발표
개발사업 확대해 지역경제 활성화
[서울=뉴스핌] 최현민 기자 = 올해 상반기 중 부산과 대전, 안산 등 철도지하화를 위해 구간과 사업비 분담 등에 대해 지자체 협의가 완료된 3개 사업은 기본계획 수립에 착수한다.
용인 반도체 산단은 2026년 착공을 위해 상반기 보상 작업에 착수하고 산단 도로사업 상반기 턴키 발주 등 인프라 조성도 추진한다.
19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이날 발표된 '지역 건설경기 보완방안'에는 이같은 내용의 개발사업 확대를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 방안이 담겼다.
철도 지하화 사업 조기 가시화를 위해 ▲부산(부산진역~부산역) ▲대전(대전조차장) ▲안산(초지역~중앙역) 등 3개 사업을 우선적으로 추진한다.
![]() |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이 지난 18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토교통위원회 제1차 전체회의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는 모습. [사진=윤창빈 기자] |
부산진역~부산역 구간은 북항재개발과 연계 개발을 위해 경부선 선로 부지에 인공지반을 조성하며 약 37만㎡ 규모(1조4000억원) 개발이다. 대전은 도심 내 신성장 거점 조성을 위해 조차장 이전 등으로 확보된 약 38만㎡ 를 1조4000억원을 들여 개발하는 사업이다. 안산은 안산선을 지하화하며 주변 사유지와 함께 역세권 컴팩트시티를 조성하기 위해 약 71만㎢ 규모(1조5000억원)를 개발한다.
수도권 경부선과 경인선, 경원선 등 구간도 관련 지자체와 추가 협의를 거쳐 구체적인 추진방안을 마련해 발표할 예정이다.
철도지하화와 함께 국가산단 조성에도 속도를 낸다. 용인 반도체 산단은 2026년 착공을 위해 상반기 보상 작업에 착수한다. 또 산단 도로사업 상반기 턴키 발주 등 인프라 조성도 추진한다.
고흥·울진 산단은 산단계획 수립 후 상반기 중 승인 절차를 진행하고 나머지 지방권 산단도 예타 완료 등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가 큰 산업·물류단지 등 추진을 위해 개발제한구역(GB·그린벨트) 해제 총량 예외로 인정하는 국가·지역전략사업을 이달 중 선정할 계획이다.
지역 관심이 높은 지역활력타운(10곳)과 민관상생 투자협약(5곳) 등은 내달 공모 접수해 5월까지 선정 결과를 발표하고 지난해 선정된 뉴:빌리지 선도사업 32곳의 기반·편의시설 설치를 위해 상반기 내 보조금 80%를 교부하고 부지 매입과 설계에 착수한다.
부산항 북항과 인천항 내항 등 노후항만은 재개발을 순차 추진해 지역 성장거점으로 거듭나게 된다. 부산항 북항은 해양기관 클러스터로 조성하고 항만부지와 주변지역은 통합개발을 추진한다. 인천항 내항은 문화·상업·업무 복합공간 마련으로 제물포를 원도심 성장거점으로 조성한다.
min7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