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송은정 기자 = 뤼튼테크놀로지스가 8일 서울 포시즌스 호텔에서 '프레스 컨퍼런스 2025'를 개최하고, 앞으로 도래할 '생활형 AI' 시대를 이끌어 나갈 '뤼튼 3.0' 신제품과 핵심 기술, 서비스를 발표했다.
![]() |
[사진=뤼튼테크놀로지스] |
이세영 대표와 이동재 CPO(최고제품책임자)를 비롯한 주요 인사들이 등단해, 지난 4년간 뤼튼의 성과를 돌아보고 4월말 출시 예정인 뤼튼 3.0를 중심으로 새롭게 나아갈 기업 비전과 사업 방향성을 상세히 소개했다.
먼저 이세영 대표와 이동재 CPO는 '생성형 AI를 넘어 생활형 AI까지' 발표를 통해 그동안 뤼튼 서비스 변천사와 더불어, 생산성에 치중되어 진입 장벽이 높았던 '생성형 AI'로부터 누구나 일상 속에서 쉽고 재미있게 사용하는 '생활형 AI'로의 전환을 선언했다.
이세영 뤼튼 대표는 "인터넷과 모바일이 그러했듯 AI 역시 우리 삶의 일부가 되고 있다"며 "뤼튼은 창업 당시부터 AI 대중화를 위해 계속 노력해왔으며, 이번 뤼튼 3.0 출시를 통해 모두의 일상 속 깊숙이 자리잡는 진정한 데일리 AI 서비스로 나아가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제성원 컴패니언 서비스 파트장이 '전국민 1인 1AI 시대, AI 서포터' 발표에서 "우리 국민 5000만명에게 각 개인에 맞는 5000만개의 AI를 보급하겠다"고 밝혔다.
새로운 뤼튼 3.0 서비스의 핵심인 'AI 서포터'는 일반인에게 다소 어렵고 생소했던 'AI 에이전트'와 달리 이용자 각 개인에게 최적화된 외형과 말투, 이용자 정보, 장기 기억들을 결합해 감정적 교류를 유도하는 EQ레이어를 기반으로 한다.
즉 AI 서포터는 단순한 비서나 보조자를 넘어 이용자 각 개인과 정서적으로 친밀하면서도 개인 최적화된 형태로 업무와 여가 활동을 돕는 AI 조력자를 의미한다. 제 파트장은 향후 1인 1AI를 더욱 발전시켜 1인 1LLM 시대까지 열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다음으로 박민준 컴패니언 AI 파트장은 '강력한 성능 업그레이드, AI 개인화 기술' 발표를 통해 1인 1AI를 가능하게 한 기술적 배경과 성능 업그레이드에 대해 상세하게 소개했다. ▲이용자 의도 파악과 도구 추천 알고리즘 ▲최신 AI 모델 활용 ▲검색 DB 현지화 ▲검색의 자동화 ▲모델 오케스트레이션의 이용자 선호도 반영 등을 통해 이용자 사전 조사 결과 약 35%의 만족도 향상이 이뤄졌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공혜진 Ad 비즈 파트장은 '무료를 넘어 돈이 되는 AI 이코노믹스' 발표에서 생산성 효율 증진을 넘어 이용자들에게 수익 리워드까지 제공하는 뤼튼 3.0의 '혜택' 기능에 대해 발표했다. ▲낯선 AI 서비스에서 대중들에게 익숙한 경험을 유도하고 ▲AI를 이용할 명확한 가치 체감 기회를 제공하며 ▲지속적인 수익 창출 동기를 부여하는 '혜택' 기능을 통해 그동안 뤼튼이 주창해온 AI 대중화를 더욱 가속화시키겠다는 전략이다.
뤼튼은 향후 AI 이용 과정에서 미션을 수행하며 획득한 캐시를 계좌 연동, 체크 카드, 커머스 연결까지 확대 적용함으로써 명실상부한 생활형 AI로서 자리매김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컨퍼런스를 마무리하며 이달 중순 전세계 공개 예정인 AI 개발 프레임워크 'Agentica'와 프론트/UI 자동화 개발 도구 'AutoView' 티저 영상도 깜짝 공개됐다. 뤼튼은 'Agentica'와 'AutoView'를 오픈소스 기반으로 제공함으로써, 'AI 이용 대중화'를 넘어 'AI 개발 대중화' 시대까지 선도할 예정이다.
이세영 뤼튼 대표는 "뤼튼의 모든 기술과 서비스는 대중들이 AI를 쉽고 편리하게 활용하며 더 나은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존재한다"며 "앞으로 월간 활성 이용자 1000만명을 돌파하고, 대한민국 5000만 국민 한 명 한 명의 삶 속에 밀착된 생활형 AI로 진화해 나갈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뤼튼은 지난달 말 총 1080억원 규모로 시리즈B 투자 유치를 마무리했다. 현재까지 누적 투자 유치액은 약 1300억원이다. AI 서비스 플랫폼 분야에서는 국내 최초로 누적 투자 유치 1000억원을 돌파했다. 지난해 10월 뤼튼은 서비스 개시 1년 10개월만에 월간 활성 이용자 수 500만명을 돌파했다. 이 속도는 토스(약 3년 3개월), 당근(약 2년)보다도 빨랐다. 매출 부문에서도 지난해 11월 캐릭터 챗 서비스를 중심으로 월 매출 10억원을 달성한 것에 이어 12월 20억원을 기록하는 등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 나가고 있다.
yuniy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