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냉식 ESS' 시제품 오는 6월 목표
수주잔고 '약 770억원→1200억원' 증가
대표 지분 재매각 추진 "아직 계획 없어"
이 기사는 4월 15일 오전 10시28분 AI가 분석하는 투자서비스 '뉴스핌 라씨로'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스마트그리드 전문기업 지투파워가 수냉식 에너지저장장치(ESS)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현재 시제품 제작이 진행 중이며, 상반기 내 공개될 전망이다.
지투파워 관계자는 11일 "수냉식 ESS는 오는 6월 시제품 공개를 목표로 현재 진행하고 있다"며 "시제품 출시 후, 내년 양산화 단계로 나아가기 위해 지속적으로 보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지투파워는 지난해 113억의 ESS정부과제 '수냉식 액침 적용 리튬이온전지 패킹 및 안전제어 강화기술' 연구개발의 주관기관으로 선정됐다. 오는 2026년까지 연구·기술개발 및 공인시험 및 실증을 진행하고 2027년에 제품 상용화를 추진한다는 계획이지만, 개발 및 상용화 일정을 앞당겨 내년에 제품 출시 조기 달성을 전망한다.
![]() |
지투파워 로고. [로고=지투파워] |
올해 지투파워는 제품 포트폴리오 확대와 시장 경쟁력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시스템(BIPV)과 지능형 인공지능(AI) 배전반 2.0의 상용화를 추진하며 시장 점유율 확대를 목표로 한다. 지투파워 관계자는 "최근 BIPV 관련 소규모 수주를 진행했다"며 "신규 매출이 발생하고 있으며, 올해는 BIPV를 본격적으로 수주하기 위해 적극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수배전반 관급시장 시장점유율 1위인 '지투파워'는 최근 태양광 사업에서 실적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태양광 인버터' 제품 출시로 태양광 사업에 진출한 지투파워는 신사업으로 추진 중인 '태양광 EPC'(설계·조달·시공) 사업의 확대가 매출 증가로 이어지면서, 사업 포트폴리오에서 태양광 부문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확대됐다. 지난해 기준으로 지투파워의 사업 분야는 수배전반 63%, 태양광 27%, ESS 및 기타 분야 10%를 차지했다.
이와 같은 신사업 확대는 수주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실제 지투파워의 수주 잔고는 지난해 말 768억원에서 올해 1분기 1000억원을 돌파했다. 지난 2월 한국수력원자력과 신한울 3·4호기에 고압차단기반(E207)을 430억원 규모로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하며 성장세를 뒷받침했다.
지투파워 관계자는 "현재 수주잔고가 1200억원대를 넘었다"며 "연내 최소 1300억원대까지 확대될 것이다"고 전망했다.
수주 증가세가 이어지면서 지투파워는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전년 대비 12.2% 증가한 554억 원을 달성했으며 영업이익은 36억원으로 흑자 전환, 당기순이익은 40억원으로 전년 대비 510% 급증했다.
지투파워는 최근 3년간 매출 성장세를 꾸준히 이어왔다. 지난 2022년 374억원, 2023년 494억원, 2024년 554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지투파워 관계자는 "올해도 매출 증가와 흑자 흐름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상반기보다 하반기에 실적이 더 크게 반영될 것"이라고 밝혔다.
![]() |
지투파워 최근 3달 주가 추이. [사진=한국거래소] |
다만 지투파워의 최근 주가 흐름은 다소 부진하다. 지난해 주가는 한때 9000원대까지 오르며 높은 기대를 받았으나, 김영일 대표가 글로벌 투자사 GEM에 대한 지분 매각 계획을 지난해 12월 철회한 이후 하락세로 돌아섰다.
당시 거래 예정 가격이었던 1만원 대비 주가가 30% 이상 하락하면서 투자 심리가 위축된 탓이다. 이날(11일) 지투파워의 종가는 6510원을 기록하며 전 거래일 대비 6.37% 상승했으나, 지난해 최고점 대비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지투파워 관계자는 대표 지분 재매각 추진 관련해 "아직은 계획이 없다"고 말했다.
최고운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지투파워는 2차전지 및 미국 시장 진출 등 새로운 성장사업을 통해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며 "향후 신재생에너지 확대와 함께 분산형 전력시스템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지투파워의 수혜가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다만 "성장 과정에서 유상증자 등으로 인한 경영상 불확실성도 있어 단기적으로 주가 변동성이 클 수 있다"고 덧붙였다.
nylee5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