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던=뉴스핌] 장일현 특파원 = "통화 정책의 '제한성(restrictiveness)' 수준을 평가하는 것은 지금으로선 무의미합니다. 미래에 대한 경제 전망이 지극히 이례적인 불확실성으로 인해 어두워졌습니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유럽중앙은행(ECB) 총재는 17일(현지시간) 통화정책회의를 마친 뒤 가진 기자회견에서 금리 운용에 대한 평가나 전망을 말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 |
크리스틴 라가르드 유럽중앙은행(ECB) 총재 [사진=로이터 뉴스핌] |
그는 "제한적 금리를 평가하는 것은 정책 금리와 중립 금리를 비교하는 것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에 현재 시점에서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중립 금리라는 개념은 충격이 없는 세상에 적합한 것"이라며 "이것은 (불확실성이 극대화된) 현재 환경에 맞지 않는다"고 했다.
ECB는 지난 3월 정책회의 직후 발표한 성명에 "통화 정책이 의미 있게 덜 제한적으로 되고 있다"는 문장을 넣었다. 그 이전에는 "통화 정책이 제한적"이라는 표현이 있었다.
하지만 ECB는 이날 발표한 성명서에서는 제한성과 관련된 표현을 아예 삭제했다.
라가르드 총재는 이에 대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촉발한 관세 전쟁으로 세계 경제가 앞을 전혀 내다볼 수 없을 정도로 불확실해졌다고 진단한 것이다.
그는 "지금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우리를 목적지로 데려갈 적절한 통화 정책을 결정하는 것"이라며 "그 목적지는 인플레이션 2%"라고 말했다.
ECB는 이날 주요 정책 금리를 0.25%포인트 일제히 인하했다. 지난 1월과 3월에 이어 올해 들어 세 번째 인하 결정이다.
이에 따라 금리는 지난 2023년 2월(2.50%) 이후 2년 2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 됐다.
라가드르 총재는 이날 금리 인하 결정이 만장일치였다고 말했다.
시장도 이날 금리 인하를 확정적으로 예견했다. 미 CNBC는 "LSEG 데이터에 따르면 시장은 금리 인하를 충분히 예상했으며, 회의가 열리기 전 금리가 25bp(1bp=0.01%포인트) 인하될 확률을 94%로 반영했다"고 말했다.
ECB의 금리 인하는 인플레이션 둔화와 유로존(유로화 사용 20개국)이 충격을 이기지 못하고 저성장 또는 역성장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었다.
ECB는 이날 성명에서 "인플레이션이 예상대로 계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며 "3월에는 헤드라인 인플레이션과 근원 인플레이션 모두 하락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근원 인플레이션을 측정하는 대부분의 지표는 인플레이션이 지속적으로 통화정책위원회의 중기 목표인 2% 수준에서 정착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시장과 전문가들은 ECB의 이날 결정에서 디스인플레이션보다 더욱 강조된 것은 불확실성과 그에 따른 경기 악화 우려라고 분석하고 있다.
ECB는 성명에서 "무역 긴장이 고조되면서 성장 전망이 악화되었다"고 했다.
라가르드 총재는 "유로존 수출업체들은 새로운 무역 장벽에 직면하고 있는데 그 범위가 얼마나 클지 아직도 알 수가 없다"며 "국제 무역 차질과 금융 시장 긴장, 지정학적 불확실성이 기업 투자를 짓누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세계 무역 혼란이 심화되면서 인플레이션 불확실성도 커졌다"고 했다.
공급망의 분열과 국방 및 사회 기반시설에 대한 정부 지출 증가가 물가 상승 압력을 가중시킬 수 있는 반면, 에너지 가격의 하락과 유로화 강세, 중국으로부터의 수입 증가가 인플레이션을 낮출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유로존 경제가 세계적 충격에 맞서 어느 정도 회복력을 키워왔다"며 "올해 1분기의 경우 유로존 경제가 성장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