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중심 홍보 강화·금융권 차원 교육 지원·협업 강화 채택
김소영 "금융교육 토대 확고히 다지는 전환점, 관심 가져달라"
[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금융당국이 내년부터 고등학교 정규교육 과정에 '금융과 경제 생활' 과목 도입을 앞두고 홍보 강화와 교육 내실화를 위해 적극 협조하겠다고 밝혔다.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25일 정부서울청사 대회의실에서 관계부처 위원 및 민간전문가 등과 함께 '2025년 제1차 금융교육협의회'를 개최하고 '금융과 경제생활' 학교 교육 안착을 위한 지원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 |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사진=금융위원회] |
김 부위원장은 이날 모두 발언을 통해 "금융교육이 학교 교육 현장에 확고하게 뿌리내리기 위해서 앞으로도 정부와 관계기관, 금융권의 지속적인 관심과 역할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다각적인 차원에서 금융 공교육 활성화를 위한 지원방안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는 '금융과 경제 생활' 과목이 학교 현장에서 널리 채택될 수 있도록 3가지 정책방향을 채택했다.
우선 학교 교육 내 금융교육 활성화를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보다 많은 고등학생들이 해당 교과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현장을 중심으로 홍보를 강화하고, 특히 내년도 수강신청이 진행되는 올해 9~10월까지 전국 학교 현장을 방문해 집중 홍보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교사용 지도서 및 강의안도 개발해 지원하겠다고 했다.
두 번째는 금융권 차원의 고등학교 금융교육 지원 방안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김 부위원장은 "1사1교 금융교육, 수능 이후 고3 학생 대상 금융교육과 같이 학생 수요에 맞는 맞춤형 방문교육을 확대하겠다"라며 "학생들이 금융 분야를 현장에서 경험할 수 있도록 진로체험, 금융투자체험관 등 체험형 교육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금융위·교육부·교육청 등 관계부처와 금융권간 협업을 강화할 계획이다. 금융교육협의회를 중심으로 학교 교육 내 금융교육 진행상황을 상시 점검하는 한편, 교사, 학생들과의 소통을 통해 애로사항을 신속히 해소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적기에 마련하고 추진할 예정이다.
김 부위원장은 "금융교육은 개인의 지식을 넓히는 것을 넘어서 예기치 못한 재정적 충격에 대비하고, 합리적인 금융 의사결정을 통해 자산 형성의 기회를 활용하는 기반이 되며, 나아가 사회 전체적으로는 금융시장의 '포용성'을 높이는 계기가 된다"며 "금융과목 도입이 우리 금융교육의 토대를 보다 확고하게 다지는 전환점이 될 수 있도록 관계기관의 많은 관심과 역할을 당부한다"고 말했다.
dedanh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