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 소비 침체 심화...식품업계, 국내 사업서 줄줄이 울상
고환율·원가 상승으로 부담...매출 소폭 늘어도 영업익 뒷걸음질
삼양식품·오리온·대상은 호실적 기대..."표정관리"
[서울=뉴스핌] 전미옥 기자 = 올해 1분기 실적발표를 앞둔 주요 식품업체들의 표정이 어둡다. 고환율, 원재료 상승 부담에 내수 소비 침체까지 이어진 까닭이다. 전반적인 식품업계 분위기가 가라앉은 가운데 호실적을 낸 삼양식품, 오리온, 대상은 표정관리에 돌입했다.
25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CJ제일제당의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7조406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 증가할 것으로 추정됐다. 이 기간 영업이익은 3734억원으로 0.6%감소할 전망이다. 대한통운을 제외한 영업이익은 약 8% 가량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박성호 LS증권 연구원은 "소비 둔화 영향 지속되면서 판매량 감소, 소폭 역성장을 예상한다"며 '미국 디저트공장의 보수공사에 따른 고정비 증가 역시 부담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 |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사진= 뉴스핌DB] |
주요 업체들 대부분이 매출 증가에도 수익성이 악화했다. 롯데웰푸드의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5% 신장한 9750억원으로 추정됐다. 다만 이 기간 영업이익은 35.6%나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코코아 등 원재료 가격이 고공행진하면서 수익성이 뒷걸음질 친 것이다. 인도, 러시아 등 해외 매출이 늘었음에도 국내 매출이 정체된 점도 영향을 미쳤다.
오뚜기도 수익성이 하락했다. 오뚜기의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901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 신장할 것으로 추정됐다. 영업이익은 652억원으로 10.9% 감소가 예상된다. 국내 소비부진 영향에 광고비 등 판관비 집행에 따라 마진이 하락한 것으로 관측된다.
농심의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9140억원이 예상됐다. 전년 동기 대비 4.1%가량 늘어난 수치다. 다만 영업이익은 15.3% 줄어든 520억원으로 추정됐다. 팜유 등 원재료 투입단가 상승 부담, 북미 판매량 감소, 국내 스낵·음료 판매량 감소 등의 영향으로 수익성이 뒷걸음질 친 것으로 판단된다.
동원F&B은 비교적 선방한 것으로 평가된다. 동원F&B의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1조1468억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2.4% 신장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영업이익은 4.6% 늘어난 522억원으로 예상됐다. 대외변수 악화에도 조미 소스 등 주요 제품 판매가 증가했고 부문별 수익성을 늘린 영향이다.
삼양식품과 오리온은 해외시장 성장에 힘입어 호실적을 기대하고 있다. 대상도 라이신 사업 호조로 기대치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된다.
삼양식품의 올해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추정치는 전년 동기 대비 29.1% 신장한 4982억원이다. 영업이익은 1045억원으로 30.4% 신장한 것으로 추정된다. 매출액과 영업이익 모두 분기 기준 역대 최고치다. K푸드 대표주자인 불닭볶음면이 성장을 견인했다.
![]() |
미국 라스베이거스에 진행된 BTS 공연장 앞에서 삼양식품이 불닭볶음면을 홍보하고 있다. [사진=삼양식품] |
오리온의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7.2% 신장한 8025억원으로 예상됐다. 이 기간 영업이익은 6.2% 늘어난 1329억원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말 국내 스낵 출고가를 인상한 것이 1분기에 반영되면서 내수 부진 타격을 줄였고 러시아, 베트남 등 해외법인 외형성장도 이어졌다. 관련해 오리온은 최근 2030년까지 매출액 5조원, 영업이익 1조원 달성을 목표로 제시했다.
대상의 올해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4.3% 늘어난 1조899억원으로 추정된다. 영업이익은 11.9% 늘어난 534억원이 예상됐다. 작년 하반기 단행한 김치 가격 인상 효과가 반영됐고 그간 고전하던 라이신 사업도 회복돼 판매 호조를 나타냈다.
국내 시장의 소비침체가 심화되면서 1분기 식품업체들의 성적표는 '해외사업'에 따라 희비가 엇갈린 것으로 관측된다. 연초부터 최근까지 식품업체들의 가격인상 릴레이가 이어진 것을 감안하면 2분기에는 가격 인상 효과가 반영될 것으로 예상된다. 식품업계 한 관계자는 "환율, 원재료 가격 상승으로 원가부담이 늘었고 국내 매출은 정체되는 등 어려움이 컸다"며 "불경기로 인한 소비 둔화가 심화되고 있어 가격 인상 관련 고민도 깊은 상황이다"라고 말했다.
romeo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