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뉴스핌] 우승오 기자 = 용인특례시는 업무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이려고 행정 실무에 생성형 인공지능 플랫폼 'Chat-GPT'를 활용한다고 14일 공지했다.
시는 업무 특성에 맞춘 생성형 'GPTs('Chat-GTP 사용자가 특정 목적에 맞게 제작한 인공지능 챗봇')' 3종을 자체 제작해 실무 현장에 적용했다.
인공지능 플랫폼 도입으로 시는 행정업무 담당자 본연의 업무 범위를 벗어나거나 단순 반복된 업무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고 업무 집중도를 높여 개인 역량과 창의성을 최대한 높인 디지털 행정 체계를 구축하리라 기대한다.
![]() |
용인시 청사 전경. [사진=뉴스핌 DB] |
시가 구축한 'GPTs'는 ▲용인시 자치법규 전문가 ▲용인시 AI 기자 ▲출장보고용이다.
'용인시 자치법규 전문가'는 시가 제정한 조례와 규칙을 정밀하게 검색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정확한 조문 정보를 제공한다. 인공지능 플랫폼을 활용해 행정 업무 과정에 법률 검토가 필요한 담당자는 'GPTs' 기능을 활용해 법령을 쉽게 찾고, 상황에 맞춰 인공지능 플랫폼이 제시하는 정보를 업무에 참고하게 된다.
'용인시 AI 기자'는 시가 작성하는 보도자료 형식에 맞춘 원고 초안을 자동 생성하고, 정책부서와 홍보부서가 간편하게 수정해 배포하는 기능을 활용해 실무자가 담당 업무에 집중하도록 돕는다.
'출장보고용'은 출장 일정, 장소, 주요 내용을 입력하면 '개요-내용-참석자' 순으로 출장보고서 자동 작성 기능을 갖춰 업무 담당자는 출장보고서 작성에 투입하는 시간을 대폭 줄이게 된다.
시는 행정 업무에 'GPTs' 활용 범위를 넓혀 '내부 감사자료 검색용 GPTs'도 구축해 감사업무에 활용할 계획이다.
시는 인공지능에 기반한 행정 체계를 효율 높게 구축하려고 사용자를 대상으로 시스템 개선에 필요한 의견을 수렴하고 'GPTs' 활용 교육도 병행할 예정이다.
seungo2155@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