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베파지모드, 동종 최초 경구 치료제
miR-124 증강제, 차별화된 치료 메커니즘
안전성과 내약성에서 기존 치료제와 차별화
2026년 FDA 승인 목표와 향후 계획
<① 아비백스 586% 폭등...궤양성 대장염 신약 효과 입증>에서 이어짐
[서울=뉴스핌] 김현영 기자 = ◆ 월가 일제히 목표주가 대폭 상향
긍정적인 임상 결과 발표 이후 월가 주요 투자은행들은 아비백스에 대한 투자의견과 목표주가를 대폭 상향 조정했다.
모간스탠리는 투자의견을 '동일 비중'에서 '비중 확대'로 상향 조정하면서 목표주가를 12달러에서 71달러로 무려 492% 인상했다. 모간스탠리는 3상 임상시험 결과가 2b상 결과를 능가하여 ABTECT 임상 시험의 유지 요법 성공 가능성에 대한 확신을 높였다고 밝혔다.
![]() |
아비백스 로고 [사진 = 업체 홈페이지 갈무리] |
다른 주요 투자은행들도 비슷한 행보를 보였다. 파이퍼 샌들러는 목표주가를 42달러에서 70달러로, 리링크는 20달러에서 74달러로, 구겐하임은 50달러에서 101달러로, JMP는 33달러에서 95달러로 각각 대폭 상향 조정했다.
파이퍼 샌들러는 오베파지모드의 안전성 및 내약성 프로필이 "매우 깨끗한" 데 주목하며, "고도로 차별화된 프로필"이 매출 추정치 증가와 목표 주가 상향으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JMP 증권은 오베파지모드에 대한 승인 가능성 및 판매 예측을 높였으며, 이번 3상 결과가 "임상 진료에서 광범위하고 조기에 사용될 가능성을 뒷받침한다"고 진단했다.
구겐하임은 임상시험에 이전 생물학적 제제 노출 경험이 있는 환자가 약 50% 포함된 난치성 환자군이 대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결과를 보인 점을 높이 평가했다.
◆ 매출 전망도 급격히 상향 조정
애널리스트들은 매출 전망도 크게 상향 조정했다. 모간스탠리는 염증성 장질환에 대한 효과적이고 내약성이 좋은 경구 치료제 옵션으로서 오베파지모드의 최고 매출 전망을 올려 잡았다.
![]() |
궤양성 대장염 환자에 대한 ABTECT 3상 임상시험 [사진 = 아비백스 홈페이지] |
리링크는 현재 염증성 장질환 치료제 시장에서 오베파지모드의 최고 매출 잠재력을 이전 추정치인 26억 달러에서 약 40억 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이는 궤양성 대장염에서 새로운 경구제의 매력적인 후기 임상 프로필을 반영한 것이다.
코이핀 집계에 따르면 월가 애널리스트들은 2026회계연도에 아비백스의 매출이 5511만 달러로 전년 대비 1782.25% 급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다만 2025회계연도 매출은 293만 달러로 전년 대비 77.39%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 2026년 FDA 승인 신청 목표로 로드맵 구체화
아비백스는 향후 개발 일정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무작위 배정된 1275명의 환자 중 현재 678명이 임상적 반응을 보여 44주간의 유지요법 임상시험에 등록되었으며, 2026년 2분기에 결과가 발표될 예정이다.
회사는 유지요법 시험에서도 긍정적인 결과가 나올 경우 2026년 하반기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유럽 의약품청(EMA)에 허가 신청을 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 |
오베파지모드 ABTECT 임상 3상 계획 [자료 = 아비백스] |
마크 드 가리델 아비백스 최고경영자(CEO)는 "오늘은 아비백스와 궤양성 대장염 환자 공동체 모두에게 의미 있는 이정표"라며 "이 결과는 우리의 첫 번째 신약 계열인 miR-124 증강제 오베파지모드에 대한 믿음을 더욱 확고히 해준다"고 소감을 밝혔다.
회사는 향후 의학 학회에서 추가 상세 데이터를 발표할 예정이며, 44주 유지 데이터는 2026년 2분기에, 2b상 크론병 데이터는 2026년 하반기에 각각 발표될 예정이다. 크론병은 궤양성 대장염과 함께 대표적인 염증성 장질환으로, 오베파지모드의 적응증 확대 가능성을 시사한다.
◆ 재무 현황과 자금 조달 필요성
아비백스의 현재 재무 상황을 살펴보면, 2025년 6월 30일 기준 약 7140만 달러의 현금을 보유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현재 시가총액은 50억 달러를 넘어섰으며, 지난 12개월 동안의 매출은 1146만 달러를 기록했다.
다만 1억6600만 달러의 마이너스 잉여현금흐름으로 상당한 현금 소진에 직면해 있어, 추가 자금 조달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임상 단계 바이오테크 기업들이 공통적으로 직면하는 과제이기도 하다.
다음 실적 보고서는 2025년 9월 8일 장 마감 후로 예정되어 있어, 개발 진행 상황 및 재무 상태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투자 리스크 요인들도 상존
아비백스의 이번 성과는 전체 바이오테크 섹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자가면역 질환 치료제 개발 분야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업계에서는 오베파지모드의 성공이 miR-124 증강제라는 새로운 치료 플랫폼의 가능성을 입증했다고 보고 있다.
![]() |
miR-124 증강제 오베파지모드의 작용 기전 이미지 [자료 = 아비백스] |
하지만 모간스탠리는 몇 가지 투자 리스크도 언급했다. 기준 환자 특성의 잠재적 불균형, 44주 유지 데이터가 실망스럽게 나올 가능성, 약물의 위험·이익 프로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안전성 업데이트, 유지 데이터 부족과 오베파지모드의 고유한 메커니즘을 고려할 때 주요 오피니언 리더들의 신중한 피드백 등이 잠재적 위험 요소로 지적됐다.
◆ 실질적 근거 기반한 주가 상승
아비백스의 586% 주가 급등은 단순한 투기적 상승이 아닌, 실질적인 임상 데이터에 기반한 것으로 평가된다. 시장 기대치를 크게 뛰어넘는 임상 결과, 우수한 안전성 프로필, 그리고 새로운 기전의 치료제라는 점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특히 기존 치료제들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준 점이 시장의 큰 주목을 받았다. 현재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 시장에서 환자들과 의료진이 느끼는 미충족 의료 수요가 상당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오베파지모드의 시장 진입은 치료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져올 가능성이 높다.
2026년 유지요법 임상시험 결과와 이후 FDA 승인 과정이 아비백스의 미래를 결정하는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만약 유지요법에서도 긍정적인 결과를 얻는다면, 오베파지모드는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 시장에서 게임 체인저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