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유지 청년주택 3만5000호 추진
성수 부지 400호·공동체 공간 조성
[세종=뉴스핌] 김기랑 기자 = 정부가 서울 성수동 옛 서울경찰기마대 부지를 청년 맞춤형 주거지로 새롭게 조성할 예정이다. 국유지와 노후 청사를 활용해 청년·서민 공공 주택 3만5000호 이상을 공급한다는 계획의 현장 후속 조치다.
기획재정부는 14일 서울 성수동 옛 서울경찰기마대 부지에서 현장 간담회를 열고 청년 주택 공급 확대 방안과 민간 참여 방식, 공간 설계 방향 등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는 경찰청과 한국자산관리공사, 민간 전문가 등이 참석했다.
옛 기마대 부지는 지난 1972년부터 기마대와 마장으로 쓰이다가 지난해 2월 기마대가 해체되면서 운영이 종료됐다. 현재 일부 건물을 경찰청이 임시 사용 중이다.
![]() |
정부세종청사 기획재정부 전경 2023.03.16 |
정부는 해당 공간을 상징성과 창의성을 갖춘 대표 청년 주거 공간으로 개발하겠다는 구상이다.
주거동에는 약 400호 규모의 청년 주택을 공급한다. 공용부는 열린 공동체 공간으로 설계해 팝업 스토어와 전시·예술 공간을 조성해 청년 창업과 문화를 이끄는 거점으로 만든다.
또 민간 사업자가 토지비 부담 없이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부지를 50년 장기 대부(갱신 허용)로 제공한다. 주변 시세보다 저렴한 청년 임대 주택을 공급해 주거비 부담을 낮춘다는 복안이다.
정부는 올해 하반기에 사업 계획을 수립한 후 민간사업자 선정과 설계·인허가를 거쳐 2028년 착공할 예정이다. 준공 목표 시점은 2030년이다. 총사업비로는 635억원이 투입된다.
앞서 정부는 지난 12일 제27차 국유재산정책 심의위원회에서 국유지·노후 공공 청사를 활용한 청년·서민 공공 주택 3만5000호 이상 공급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옛 서울경찰기마대 부지와 광명세무서, 서울출입국관리사무소 등을 대상 사업 후보지로 제시했다.
안상열 기재부 재정관리관은 "옛 서울경찰기마대 부지에 조성할 청년 주택 개발 사업은 유휴 국유지 활용과 청년 주거 안정이란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선도 사례"라며 "경찰청·한국자산관리공사 등과 긴밀히 협력해 사업을 조속히 추진하고, 향후 청년 주거 지원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적극 모색하겠다"고 강조했다.
ra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