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천포럼'에서 개회사...최태원 회장 '선구안' 재조명
AI 시대 전략과 도전정신 강조...'퀀텀점프' 기대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문 닫기 직전까지 갔던 회사가 SK를 만나면서 세계 최초 고대역폭 메모리(HBM) 개발, 글로벌 D램 시장 1위, 시총 200조원 달성 등 도약을 이뤄냈다. 이 모든 과정은 SK의 과감한 투자, 미래를 내다보는 안목 덕분이었다."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이 18일 서울 광진구 워커힐호텔에서 열린 '이천포럼 2025' 개회사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천포럼은 SK그룹의 대표 변화추진 플랫폼이다. 최태원 회장을 비롯한 주요 경영진과 구성원들은 오는 20일까지 인공지능(AI) 혁신, 디지털 전환, SKMS(SK Management System) 실천 강화 방안을 논의한다.
![]() |
곽노정 SK하이닉스 대표이사 사장이 18일 서울 광진구 워커힐 호텔에서 열린 '이천포럼 2025'에서 개막 연설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SK] |
곽 사장은 지난 2016년 최 회장이 "근본적인 변화가 없으면 갑작스러운 죽음(Sudden Death)을 맞을 수 있다"고 경고했던 발언을 상기시켰다. 그는 "지난 몇 년은 이 말씀이 얼마나 중요했는지를 입증하는 시간이었다"고 말했다.
곽 사장은 "최근 변화의 중심에는 AI가 불러온 혁신이 있다"며 "AI가 불러온 변화는 기존 산업의 틀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파괴적 혁신"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오늘날 AI 시대에 주목받는 기업이 바로 SK하이닉스"라며 과거 존폐 위기까지 몰렸던 하이닉스가 SK와 만나 완전히 달라졌다고 설명했다.
그는 형광등을 빼며 전기를 아끼고, 임직원이 무급휴가와 급여 반납으로 버텼던 시절을 회상했다. "세계 최초 HBM 개발은 SK와 손잡은 이듬해 이뤄낸 성과였다"며 "순탄치 않았지만 포기하지 않았고, SK가 단기 성과에 매몰되지 않고 미래 투자를 지속했기에 가능했다"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2012년 경영난에 시달리던 하이닉스를 인수하며 회사 재건을 이끌었다. 채권단 체제에서 막혔던 대규모 장비와 설비 투자를 본격화했고, 장기 관점의 기술 혁신에 집중했다. 업계는 SK하이닉스의 성공을 최 회장의 선구안과 리더십 덕분이라고 평가한다. 경쟁사들이 단기 실적에 집중할 때 SK하이닉스는 HBM과 AI 반도체 개발로 세계 시장 주도권을 잡았다.
곽 사장은 이날 "수펙스(SUPEX·Super Excellent Level)는 인간의 능력으로 도달할 수 있는 최고 수준을 지향한다"며 끊임없는 혁신을 당부했다. 또 "지불시도(智不是道)를 기억해야 한다"며 "아는 것을 몸속에 받아들이고 어려움 속에서도 나아가려는 노력이 길을 만든다"고 말했다.
그는 "AI 시대의 변화는 이제 시작이며 엄청난 크기의 변화에 두려움도 있다"면서도 "문 닫을 위기를 겪어내고 HBM을 만든 SK하이닉스는 결국 어려움을 헤쳐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 |
최태원 SK 회장이 18일 서울 광진구 워커힐 호텔에서 열린 '이천포럼 2025'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 왼쪽부터 최태원 SK 회장, 김선희 SK㈜ 이사회 의장, 최재원 SK 수석부회장, 김용학 SK텔레콤 이사회 의장. [사진=SK] |
SK그룹은 AI를 그룹 성장 원동력으로 삼고 있다. 최 회장은 신년사에서 "AI 산업의 급성장은 거스를 수 없는 대세"라며 "AI를 활용해 본원적 역량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 6월 SK는 아마존웹서비스와 손잡고 울산 미포 국가산업단지에 7조원을 들여 국내 최대 AI 데이터센터 건립을 발표했다. 데이터센터는 2027년 1단계 준공, 2029년 완공을 목표로 한다. 총 6만 장의 GPU가 투입되고, 장기적으로 1GW급까지 확대해 동북아 최대 AI 허브로 키운다. 사업이 본격화하면 30년간 7만8천명 고용과 25조원 경제 효과가 기대된다.
업계 관계자는 "오늘의 SK하이닉스를 있게 한 건 미래성장을 강조한 최태원 회장의 리더십, 그리고 SK 고유의 도전정신"이라며 "AI·첨단반도체를 앞세운 또 한 번의 도약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s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