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반 감지 카메라 설치비 70% 보조
통학차량 우선 선정, 오는 29일까지 접수
[창원=뉴스핌] 남경문 기자 = 경남 창원시가 어린이 교통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전세버스 대상 사각지대 충돌예방장치 설치 지원사업을 추진한다.
시는 "시민 교통안전과 사고 예방을 위해 '전세버스 사각지대 충돌예방장치 설치 지원사업' 대상자를 모집 중"이라고 21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어린이 통학버스를 최우선 지원 대상으로 삼는다.
설치 장치는 버스 전방·후방·측면에 AI 카메라를 부착해 보행자가 사각지대에 접근하면 운전자에게 경고음을 통해 즉각 알리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특히 어린이 통학차량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행자 충돌 사고를 예방한다는 취지다.
![]() |
경남 창원시가 오는 29일까지 시민의 교통안전과 사고 예방을 위한 '전세버스 사각지대 충돌 예방장치 설치 지원사업'의 지원 대상을 모집하고 있다. 사진은 창원시청 전경 [사진=뉴스핌DB] 2025.05.27 |
지원 대상은 공고일 기준 창원시에 등록된 전세버스로, 장치 설치비의 최대 70%를 시가 부담한다. 나머지 30%는 차량 소유주가 부담해야 한다. 대상 선정은 어린이 통학차량을 최우선으로 하고, 통근용·기타 차량 순으로 지원한다.
신청은 오는 29일까지 가능하며, 접수 차량 중 우선순위 기준을 적용해 9월 초 개별 통보할 예정이다.
참여 희망자는 창원시청 홈페이지 고시·공고란에 게시된 안내문을 확인한 뒤, 신청서와 구비서류를 갖춰 창원시 교통정책과에 방문 제출하면 된다.
창원시는 이번 설치 지원이 단순한 장치 보급을 넘어 지역 교통문화 전환의 계기가 될 것으로 내다본다.
경찰청 통계에 따르면 최근 3년간(2022~2024년) 경남 지역 어린이 교통사고 건수는 매년 400건 내외로, 전국 평균보다 높은 수준이다. 통학차량 관련 사고는 학부모들의 가장 큰 우려 요인으로 꼽힌다. 충돌예방장치 설치는 이같은 교통약자 피해를 줄이는 직접 대책이 될 전망이다.
관내 전세버스업체와 장치 공급업체 간 수요 확대가 예상돼, 교통안전 관련 산업에도 파급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향후 창원시의 '스마트 교통도시' 전략과 연결돼 장기적으로는 차량 안전장비 산업의 활성화까지 기대된다.
단순한 제도나 행정보다 '눈에 보이는 안전장치' 지원은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으로, 학부모들의 만족도가 높을 것으로 보인다.
이종근 창원시 교통건설국장은 "교통약자인 어린이의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며, "통학차량에 충돌예방장치를 적극 보급해 사고를 사전에 차단하고, 안전한 교통환경을 조성해 나가겠다. 운행업체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
news234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