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페이스 개선으로 리모콘 조작 간편화
AI 숏폼 콘텐츠로 개인화 추천 확대
[서울=뉴스핌] 조민교 기자 = KT알파가 쇼핑 방송 화면의 전면 개편을 시행했다.
1일 KT알파에 따르면 이번 개편은 '상품 탐색-시청-구매'의 과정에서 고객에게 더 나은 쇼핑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 |
KT알파 쇼핑 대표 프로그램 '수정샵' 방송 화면 이미지. [사진=KT알파 쇼핑 제공] |
KT알파 쇼핑은 개편을 통해 주 시청 고객층에 최적화된 방송 화면을 구현하고, 양방향 서비스의 장점을 극대화했다. 방송 시청부터 구매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이 직관적으로 이어지도록 편의성을 높이고, 고객이 원하는 상품을 더 쉽게 탐색하고 구매할 수 있도록 연결성을 강화했다. 특히 생성형 AI 기술을 적용하여 더 트렌디한 방송을 연출해 차별성을 추가했다.
시청자 중심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사용자 경험(UX) 설계는 이번 개편의 큰 변화 중 하나다. 고객의 시청 데이터를 바탕으로 리모콘 조작이 용이하도록 메뉴의 크기와 위치를 조정해 노출도를 높였다. 또 '편성표'와 '상품 검색' 버튼을 아이콘 형태로 전면 배치하여 쇼핑 편의성을 향상시켰다.
방송 상품 정보 제공을 위한 '배너'와 자주 사용되는 '주문' 버튼은 가독성을 높이는 디자인 개선이 이루어졌다. 50대 이상의 중장년층 고객 비중이 80% 이상인 만큼 주 시청층의 편안한 시청을 고려한 설계가 반영됐다.
생성형 AI 기술은 방송 화면 전반에 확대 적용되어 몰입감을 높인 시각적 콘텐츠를 구현했다. 숏폼 콘텐츠는 상품 이미지와 모델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동 생성되어 고객의 이해도를 높이며, '가상코디 기능'을 통해 다양한 맞춤형 스타일링을 제안한다. 방송 화면에 AI 아바타 및 AI 이모지를 활용하여 재미 요소도 더했다.
AI 기술은 인트로 및 타이틀 영상에 적용되어 방송의 몰입도와 집중도를 높였다. 8월에 진행된 티셔츠 판매 방송에서는 모든 요소가 AI로 제작된 중간 영상을 통해 차별화된 방송을 실제로 보여줬다.
방송 화면 디자인의 완성도도 강화됐으며 시각적 통일감과 세련된 컬러 사용으로 방송 화면이 고급스럽게 변모했다. 또 모바일 앱 서비스 또한 AI 추천 기능과 AI 숏폼 콘텐츠를 통해 개인화를 강화했다. 고객의 쇼핑 동선을 분석하여 맞춤형 AI 상품 추천이 이루어지며, 이에 따른 클릭률이 일반 상품 대비 약 5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KT알파 박승표 대표는 "이번 방송 화면 개편은 고객의 시청 패턴을 고려하여 쇼핑의 편리함과 몰입감을 높이기 위해 기획됐다"며, "양방향 서비스의 장점을 살리며, 시청자 중심의 UI/UX와 AI 기반 콘텐츠를 적용하여 고객의 TV쇼핑 경험을 새롭게 제공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mky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