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천–장수IC 연결도로 공사구간서 '마한' 주거지 63기, 지상건물지 10기, 구상유구 8기, 수혈 3기 확인
[장수=뉴스핌] 고종승 기자 = 전북 장수군은 지난 2일 천천–장수IC 연결도로 공사구간 사전조사에서 금강 상류지방 최대 규모의 마한 취락지가 확인됐다고 3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장수군이 재단법인 전라문화유산연구원과 계남면 화양리 10-1번지 일대 '장수 침곡리 유물산포지 G'에서 시굴 9814㎡와 발굴 5780㎡ 규모로 매장유산을 조사한 결과다.
발굴 결과 원삼국시대 마한 취락으로 추정되는 주거지 63기, 지상건물지 10기, 구상유구 8기, 수혈 3기가 확인됐다. 이는 장수 지역에서 발견된 마한 취락 중 가장 큰 규모로 평가된다.
![]() |
주거지 원경[사진=장수군] 2025.09.03 gojongwin@newspim.com |
현재 유적지는 지형 변형이 심하지만 당시에는 현장에서 확인된 범위보다 훨씬 넓은 면적에 걸쳐 취락이 형성됐던 것으로 추정된다.
주거지는 방형 평면 구조가 주를 이루며 일부 타원형도 발견됐다. 내부에서는 점토식 부뚜막과 주공·벽구·장타원형 수혈 등이 드러났고 장란형 토기, 심발, 시루, 호·완·주구토기와 함께 소량의 철기류와 방추차, 곡옥 거푸집도 출토됐다.
특히 집선문과 승석문이 새겨진 회색 경질토기가 다수 발견돼 이 취락의 형성 및 운영 시기를 서력 기준으로 4~5세기로 추정하게 한다.
이번 유적은 마한계 주거 구조의 특징을 명확히 보여주며 전북 동부지역 마한계 주거지 연구뿐 아니라 장수 지역 역사성을 입증하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또 유적지가 위치한 마무산 남동사면은 유천과 장계천이 합류해 금강으로 이어지는 수계 중심에 자리해 고대 교통 및 생산 거점 역할도 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gojongwi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