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GAM]9월 기관 추천주 공개③ A주 핵심 투자트렌드 포착

기사입력 : 2025년09월04일 07:00

최종수정 : 2025년09월04일 07:00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애널 컨센서스 반영, 9월 기관 추천주 공개
총 334개주 선정, 최다 기관 추천주 TOP5
5개주 '선정배경, 성장포인트, H1 실적' 분석
추천주에서 포착, A주 최신 투자트렌드 진단

이 기사는 9월 3일 오후 2시57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9월 기관 추천주 공개①② A주 핵심 투자트렌드 포착>에서 이어짐

⑤ 킹넷네트워크

▶ 선정 이유 : 킹넷네트워크(愷英網絡∙Kingnet 002517.SZ)는 공개 예정인 풍부한 신작 풀과 AI 전략의 이륜 성장 모터를 통해 상반기에 이어 우수한 실적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 중국 당국이 게임 개발사에 대한 보조금을 지급하고 게임 판호(版號·중국 내 게임 서비스 허가) 신청 효율화 통로를 마련하는 등 지원책을 확대하고 있는 것 또한 킹넷네트워크의 성장 기대감을 높이는 배경이 되고 있다.

▶ 핵심 성장포인트 : 가장 기대되는 성장포인트는 상반기 출시한 신작이 두드러진 성과를 낸 가운데, 풍부한 신작 라인업이 출시를 앞두고 있다는 것이다. 

상반기 출시한 신작들은 우수한 성과를 보였다. '드래곤 네스트 월드(龍之谷世界∙World of Dragon Nest)', '디지몬 : 소스코드(數碼寶貝:源碼, Digimon : Source Code)'는 iOS 무료 게임 순위에서 각각 1위와 2위를 차지했고, '열혈강호 : 귀환(熱血江湖:歸來)'은 다국가 앱스토어 차트를 석권했다.

보유한 신작 라인업도 다수다. 이미 게임 판호(版號·중국 내 게임 서비스 허가)를 획득한 게임이 14종 이상, 개발 중인 게임 4종 이상을 확보하고 있다. 역할수행게임(RPG), 시뮬레이션 게임(SLG), 캐주얼 게임 등 장르 또한 다양하다.

그 중 '삼국: 천하귀심(三國:天下歸心)'은 전 플랫폼 사전예약이 30만 건을 돌파했고, '두라대륙: 주사전설(鬥羅大陸:誅邪傳說)', '도굴 여정의 시작(盜墓筆記啟程)' 등의 신작은 이미 수 차례 테스트를 완료한 상태로, 신작 출시에 따른 지속 성장이 기대된다.

올해 7월에는 자회사인 센취인터랙티브(閑趣互娛)가 운영하는 게임 IP에 특화된 게임 커뮤니티 플랫폼인 '레전드 박스(傳奇盒子, 996 레전드 박스)'의 독점 운영권을 취득하면서 주목을 끌었다.

레전드 박스는 누적 매출액 3700억 위안을 초과한 초대형 IP로, 킹넷네트워크는 이를 게임·라이브 방송·e스포츠·소설·숏폼 드라마 등이 결합된 커뮤니티 플랫폼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이미 탄완게임(貪玩遊戲) 등 3개 업체와 총 4억5000만 위안 규모의 협력 계약을 체결한 상태다.

여기에 IP 포트폴리오가 지속적으로 풍부해지는 가운데, AI 기술 및 응용 분야에서도 지속적으로 확장을 모색하고 있다는 점도 핵심 성장포인트로 꼽힌다. AI가 IP 파생 사업을 강화하고 성장을 견인할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킹넷네트워크는 자체 창작 IP 개발과 외부 IP 도입을 병행하며 IP의 완구·컬렉션 등 파생적 수익원을 발굴해왔고, 완구 브랜드 '난싱구 몽유기(暖星谷 夢遊記)'를 선보인 상태다.

AI 분야에서는 올해 7월 '순(SOON)' 플랫폼을 출시, 미술 리소스에서부터 스크립트 로직까지 전 과정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게 했다. 응용 측면에서는 투자 기업 '자연선택(自然選擇)'이 개발한 3D AI 감정 교류 애플리케이션 '이브(EVE)'가 내부 테스트에 들어갔다. 이 애플리케이션의 'AI가 밀크티를 배달해주는 체험' 기능이 주목을 받고 있다.

▶ 상반기 실적 : 상반기 영업수익과 순이익은 25억7800만 위안과 9억50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0.89%와 17.41%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특히 상반기 해외 매출은 2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60%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몬스터 연맹(怪物聯萌)' 등의 흥행이 해외 수익 확대의 핵심 배경이 됐다. 또한 상반기 정보 서비스 매출은 6억 60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65% 성장했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2025.09.03 pxx17@newspim.com

◆ 전자주 비중 최고, 섹터별 추천주도 주목

9월 기관 추천주 리스트 중 중복된 종목을 제외하고 절대 비중으로 봤을 때 전자 섹터에 속한 종목의 비중이 15.6%로 가장 높았고 컴퓨터(7.4%), 기계설비(6.5%), 통신(6.2%)이 그 뒤를 이었다.

8월 대비 추천주가 가장 많이 늘어난 섹터는 전자, 통신, 기계로 각각 3.67%, 2.23%, 1.55%의 증가폭을 기록했다.

앞서 소개한 5대 추천주를 제외하고 각 섹터별 인기 추천주도 주목해볼 만하다.

전자 업종에서 9월 추천주로 가장 많이 선정된 종목은 해광정보(海光信息∙HYGON, 688041.SH)로, 총 4곳의 증권사에 의해 추천주로 선정됐다.

중앙처리장치(CPU)와 도메인컨트롤유닛(DCU) 등을 양대 성장동력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해광정보는 AI 반도체 산업의 고성장 기대감 속 시장의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컴퓨터 섹터에서는 총 4곳의 증권사로부터 추천을 받은 오피스 소프트웨어 섹터 대장주인 베이징 킹소프트 오피스 소프트웨어(金山辦公∙Kingsoft 688111.SH)와 클라우드 컴퓨팅 및 IT 인프라 연구개발 업체 심신복테크놀로지(深信服∙SANGFOR 300454.SZ)가 이름을 올렸다.

기계설비 섹터에서는 지능형 장비의 모션제어 핵심부품 연구개발 업체 뇌새스마트(雷賽智能∙LeadShine 002979.SZ)와 인쇄회로기판(PCB) 및 CNC 정밀부품 솔루션 제공업체 정태고과(鼎泰高科∙DTECH 301377.SZ)가 각각 2곳의 기관으로부터 추천주로 선정됐다.

식품음료 섹터의 경우 고량주(백주) 생산업체인 노주노교(瀘州老窖 000568.SZ), 서더양조(舍得酒業 600702.SH)가 각각 4곳의 증권사로부터 추천을 받았다.

[본 기사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투자를 권유하거나 주식거래를 유도하지 않습니다. 해당 정보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pxx17@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노벨문학상 크러스너호르커이는 누구? [서울=뉴스핌]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 올해 노벨문학상은 헝가리의 소설가이자 각본가인 라슬로 크러스너호르커이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한림원은 9일 오후 8시(한국 시간) 라슬로 크러스너호르커이(71)를 올해의 수상자로 호명했다. 한림원은 라슬로 크러스너호르커이가 "종말적 공포의 한가운데서도 예술의 힘을 재확인시키는 강렬하고 예지적인 작품 세계"를 인정받아 이 상을 수상하게 됐다고 밝혔다. [서울=뉴스핌]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 헝가리 작가 라슬로 크러스너호르커이. [사진 = 노벨상위원회] 2025.10.09 oks34@newspim.com 라슬로 크러스너호르커이는 헝가리 현대문학의 거장으로 평가받으며, 그의 작품들은 난해한 문체와 종말론적인 테마로 유명하다. 1954년생인 크러스너호르커이는 대학에서 법학과 헝가리문학을 전공하면서 출판사에서 편집자로 일했다. 대학졸업후 전업 작가의 길을 택한 그는 1985년 데뷔작인 '사탄탱고'로 문학성을 인정받으면서 명성을 얻었다. 1990년대 초반에는 몽골, 중국에서 거주했으며 '저항의 멜랑꼴리'와 '전쟁과 전쟁'을 발표한 이후 미국, 스페인, 일본 등 다양한 지역에서 생활해왔다. 2015년에는 헝가리 최초로 맨부커상 국제 부문을 수상했고, 매년 노벨문학상 후보의 한 사람으로 거론돼 왔다. '파멸''사탄탱고''런던에서 온 사나이''토리노의 말'등 각본을 쓰기도 했다. 수전 손택은 "크러스너호르커이는 현존하는 묵시록 문학 최고 거장이다"라고 평하기도 했다. 국내에도 번역되어 소개된 '사탄탱고'는 공산체제 하에서 무기력하고 비참하고 곤궁하게 살아가는 인간 군상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oks34@newspim.com 2025-10-09 20:47
사진
'국정자원 화재' 1등급 복구율 62.5% [서울=뉴스핌] 고다연 기자 =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마비된 정부 전산시스템이 709개로 정정됐다. 화재로 멈춘 일부 시스템은 대구센터나 대전센터 내 타 전산실로 이전해 복구에 속도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김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제1차장은 9일 브리핑을 통해 화재 관련 상황과 복구 진행현황을 발표했다. [서울=뉴스핌] 윤호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행정안전부 장관)이 9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행정정보시스템 화재 관련 중대본 회의를 주재하고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행정안전부] 2025.10.09 photo@newspim.com 브리핑에 따르면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통합운영관리시스템인 엔탑스(nTOPS)의 데이터가 복구돼 대전센터의 전체 시스템 목록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부처와 확인 과정을 거쳐 시스템 목록을 709개로 확정했다. 기존에 정부가 공지한 647개에서 62개가 추가된 것이다.  이는 우체국금융, 공직자통합메일과 같은 일부 시스템이 기능별로 세분화돼 시스템 수가 증가했고, 온나라문서 시스템은 기관별로 있던 목록이 정부업무관리시스템으로 통합되는 등 목록 변화에 따른 것이다. 현재 목록의 등급별 시스템 수는 1등급 40개, 2등급 68개, 3등급 261개, 4등급 340개다. 화재로 장애가 발생한 정부 전산시스템은 이날 12시 기준으로 193개(27.2%) 시스템이 복구됐다. 1등급 시스템 40개 중에서는 25개(62.5%)가 복구돼 운영 중이다. 또 이달 말까지 도입 예정이던 장비를 연휴 중 도입해 현재까지 서버 90식, 네트워크 장비 64식 등 198식의 전산장비를 신규로 도입했다. 중대본은 장비 설치가 완료되는 15일 이후부터는 복구되는 시스템이 빠르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중대본에 따르면 분진 및 화재 피해를 입은 5층 전산실의 시스템은 소관 부처와의 협의 및 세부 검토를 거쳐 대구센터로 이전하거나 대전센터 내 타 전산실로 이전해 복구할 예정이다. 김 차장은 "5층의 시스템 전체를 대구센터로 이전하는 것보다 대전센터에서 신속히 장비를 수급하여 복구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이라는 기술적 판단을 반영했다"고 밝혔다. 대전센터는 5전산실 및 6전산실에 신규장비를 설치해 시스템을 복구하고, 대구센터 이전 시스템은 민간 클라우드사와 소관부처 간의 협의가 완료되는 대로 조속히 이전할 계획이다. gdy10@newspim.com 2025-10-09 14:43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기사제목
기사가 번역된 내용입니다.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