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백승은 기자 = 12·3 비상계엄 당일 국가방첩사령부(방첩사)가 국회의원 등을 체포할 일명 '체포조'를 구성하기 위해 경찰서 형사 인력 지원을 요청했다는 정황이 나왔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재판장 지귀연)는 4일 내란중요임무종사 등 혐의로 기소된 조지호 경찰청장·김봉식 전 서울경찰청장·윤승영 전 국가수사본부 수사기획조정관·목현태 서울경찰청 국회경비대장 등의 21차 공판을 진행했다.
이들은 국회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등에 경찰을 투입해 정치인 체포 시도 등에 협조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이날 재판에는 비상계엄 당시 서울청 영등포경찰서 소속 형사2과 강력계장을 맡았던 이치수 씨가 증인으로 출석했다.
![]() |
[서울=뉴스핌] 양윤모 기자 =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재판장 지귀연)는 4일 내란중요임무종사 등 혐의로 기소된 조지호 경찰청장·김봉식 전 서울경찰청장·윤승영 전 국가수사본부 수사기획조정관·목현태 서울경찰청 국회경비대장 등의 21차 공판을 진행했다. 사진은 작년 12월 3일 저녁 지하철을 탑승한 시민이 윤석열대통령의 비상계엄선포 방송을 지켜보는 모습. 2025.09.04 yym58@newspim.com |
재판에 앞서 검찰 측은 이 계장과 박창균 전 영등포경찰서 형사1과장이 나눈 통화 녹음을 재생했다.
지난해 12월 3일 11시58분께 이어진 통화에는 박 전 과장이 이 계장에게 "방첩사 체포조가 온대. 우리 형사 5명 붙여달라고 하거든. 누구 데려갈지 명단 좀 줘. 카톡으로 인원 좀 주세요"라는 대화 내용이 담겼다.
이 계장은 "통화했지만 내용을 명확하게 기억하지는 못한다"라며 "방첩사라는 것도 그때 처음 들어봤다"라고 말했다.
이후 이 계장은 5명의 명단을 추가로 요청받아 강력팀 형사의 명단 총 10명을 박 전 과장에게 전달했다고 증언했다.
이어 이 계장은 '체포조'라는 단어에 대해 "형사들이 장비도 없이 급조돼 나갔고, (박 전 과장이) 순간적으로 말을 편하게 하려고 (체포조라는 말을) 하지 않았나 생각한다"라며 "협조해야 한다는 차원에서 그렇게 (말하지) 않았나 생각한다"라고 했다.
100wins@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