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확인·사전 예측으로 안전성·생산성 향상 기대
[광양=뉴스핌] 권차열 기자 = 전남 광양제철소는 공장 내 설비와 작업자 간 통신 장애 여부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통신모듈 이상 감지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시스템은 설비 운영의 일부를 자동화하고 컴퓨터 기반으로 장애를 사전 예측하는 '이상예지 모델' 구축의 일환으로 개발했다.
![]() |
광양제철소 전경. [사진=광양제철소] |
'이상예지 모델'은 포스코만의 인텔리전트 팩토리 기술로, 인공지능·빅데이터·사물인터넷을 활용해 공정과 설비를 자동화하는 스마트 공장 방식이다.
이 시스템은 연속용융아연도금 설비(6CGL)에 우선 도입됐다. 기존에는 통신 오류로 조업 데이터가 누락되더라도 운전자가 즉각적으로 장애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웠지만, 새 시스템은 설비가 일정 시간 이상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을 경우 자동으로 통신 장애로 판단해 즉시 알람을 전송한다.
이를 통해 운전자는 장애 발생 사실을 사전에 인지하고 신속히 조치할 수 있으며 문제 설비의 위치까지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로써 조업 중단을 막고 생산성과 품질을 높이는 효과도 만들어낼 수 있다.
광양제철소 관계자는 "6CGL에 적용된 통신모듈 이상 감지 시스템을 다른 공정에도 확대할 계획"이라며 "앞으로도 이상예지 모델과 인텔리전트 팩토리 기술을 적극 도입해 설비 안정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키겠다"고 말했다.
chadol99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