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통상분쟁 여파…대미 수출기업 "불확실성 커진다"
중소기업 "대미 수출에 금융지원·통관정보 절실"
[세종 = 뉴스핌] 김범주 기자 = 한미간에 부과하기로 합의한 15%의 상호관세 영향으로 미국 수출기업의 '절반' 이상은 최대 50%의 수출액 감소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는 설문 조사가 나왔다.
관세청은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대미 수출 중소·중견기업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8일 공개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지난달 14일~27동안 실시됐으며, 중소·중견기업 667개사가 응답했다.
![]() |
대미 수출기업의 미국 관세정책에 대한 이해와 전망 설문조사 결과[제공=관세청] |
우선 '미국의 15% 상호관세 부과가 기업의 올해 수출금액에 얼마나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 기업의 53.8%가 '10% 이상, 50% 미만'으로 감소할 것이라고 답했다. 영향이 없거나, 10% 미만 감소할 것이라고 답한 기업은 33.7%였다.
상호관세가 부과되면서 인상된 가격을 누가 부담해야 하느냐는 질문에는 수출·수입기업이 일정 비율을 부담해야 한다는 응답이 28.9%로 가장 많았다. 이어 수입기업이 28.5%, 수출기업이 18.7% 등으로 나타났다.
1~2년 후 미국의 관세정책에 대한 전망에 대한 질문에는 응답기업의 34.9%가 '예측할 수 없다'고 답했다. 현재수준(24.9%)과 보호무역주의 기조 강화(21.7%) 응답 수준도 비교적 높았다.
미국의 관세정책을 이해하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5.4%가 잘 모른다고 응답했다. '잘 알고 있다'는 응답은 38.1%, 보통이라고 답한 기업은 47.7%였다.
한편 대미 수출기업들은 미국 통관절차 중 가장 어려운 점으로 수출물품이 품목별 관세 또는 상호관세 부과 대상인지 여부 확인(66.3%), 비특혜 원산지 판정(11.1%), 품목분류(10.5%)를 꼽았다.
기업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정부 지원 정책은 수출 금융지원(37.5%), 미국 통관정보 제공(28.6%), 통상분쟁 대응 지원(22.3%) 순으로 조사됐다.
이명구 관세청장은 "미국 관세정책의 불확실성으로 어려운 통상환경에 직면한 대미 수출 중소·중견기업을 위해서 전방위적 관세행정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wideope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