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 기지국 이외 가능성 조사 진행
KT 내부 관련 가능성 염두한 조사 해석
[세종=뉴스핌] 이경태 기자 = 정부가 KT 무단 소액결제 침해사고와 관련해 불법 기지국뿐만 아니라 내부 관련 가능성까지 포함한 전방위 조사에 나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 핵심 관계자는 10일 "특이사항으로는 불법 기지국 얘기를 했는데 신고된 사안을 보고받고 있다"며 "어떤 방식으로 망에 접속했는지, 어떤 식으로 소액결제가 이뤄졌는지, 정보 탈취 여부를 봐야 한다"고 말했다.
![]() |
[서울=뉴스핌] 류기찬 기자 = 서울YMCA가 'KT 소액결제 해킹 피해' 사태가 발생한 것과 관련해 피해자 전수조사를 촉구했다. 사진은 지난 9일 오후 서울 시내의 한 KT플라자의 모습. 2025.09.09 ryuchan0925@newspim.com |
이 관계자는 "기지국 문제 외에 내부 가능성 등 다른 가능성에 대해서도 다 열어놓고 조사할 것"이라며 "관련 자료를 받아서 판단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는 정부가 이번 사태를 단순히 외부 해킹으로만 보지 않고, KT 내부 관련 가능성까지 염두에 두고 조사에 나서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앞서 이날 오후 류제명 과기정통부 2차관은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지난 8일 오후 7시16분에 KT로부터 침해사고 신고를 접수한 직후, KT에 자료제출 및 보전을 요구하고 당일 오후 10시 50분에 KT 현장에 출동해 사고 상황을 파악했다"고 전했다.
이후 피해자의 통화기록 분석을 통해 미등록 기지국 접속을 지난 8일 오후에 확인했고 당일 저녁에 침해사고 신고한 것으로 류 차관은 덧붙였다.
류 차관은 "현재까지 KT에 접수된 직접적인 관련 민원은 177건, 7782만원"이라며 "KT는 민원 외에도 추가 피해사실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전체 통화기록 분석 등을 통해 자체 파악한 결과 현재까지 278건, 1억7000여만원의 금전적 피해가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biggerthanseoul@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