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장우 시장, 조기 완공 통한 시민 교통편의 향상 지시
[대전=뉴스핌] 김수진 기자 = 대전시는 이장우 시장이 유성복합터미널 조기 운영을 통한 혁신적인 지역 교통 인프라 구축을 지시했다고 15일 밝혔다.
이장우 시장은 15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진행된 주간업무회의에서 ▲유성복합터미널 조기 운영 개시▲AI·에너지 산업 전략화▲지역 맞춤형 안전 계획 강화 등을 강조했다.
![]() |
15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진행된 주간업무회의에서 이장우 대전시장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대전시] 2025.09.15 nn0416@newspim.com |
먼저 이 시장은 대전 유성복합터미널의 2026년 1월 1일 조기 완공을 통한 시민 교통 편의 향상을 지시했다.
유성복합터미널은 대전도시철도 1호선 구암역 인근에 총사업비 441억 원을 투입해 대지면적 1만 5000㎡, 건축 연면적 3700㎡ 규모로 건설된다. 현재 운영 중인 유성시외버스 정류소는 리모델링을 통해 계속 활용될 계획이다.
유성복합터미널 건립사업은 지난 2010년부터 시작돼 민간사업자 공모방식으로 4차례 추진됐으나 모두 무산되며 2020년 주거복합 형태 공영개발로 전환된 바 있다.
그러다 민선8기 들어 지난 2023년 2월 여객시설 중심 공영터미널을 건립하는 것으로 개발 방향을 선회했다. 특히 당초 2027년 준공 예정이었으나 십 수년 간 사업이 표류하면서 시민 교통 불편이 가중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 공기를 2년 단축해 눈길을 끌기도 했다.
시는 터미널과 연계 가능한 컨벤션 등 복합시설을 유치하기 위한 1만 7000㎡ 규모 지원시설용지와 향후 공공기관 이전에 대비해 7000㎡ 규모 공공청사 용지를 확보한 상태다.
이날 진행된 주간업무회의에서 이장우 시장은 유성복합터미널이 단순 버스 환승 기능을 넘어 지역 교통과 연계된 복합 문화·상업 공간으로 탈바꿈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여기에 전기차 충전소, 공유 자전거 연계, 친환경 교통수단 도입 등 친환경 인프라를 강화해 지속 가능한 교통 허브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이 시장은 "빠른 개통과 함께 미래형 교통 혁신 플랫폼 조성으로 시민들이 편리하고 쾌적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야 한다"며 관련 공직자들이 인프라 확충에 적극 나설 것을 지시했다.
AI 기술과 에너지 산업을 새로운 전략 사업군으로 확대 검토도 주문했다. 이장우 시장은 "글로벌 인재 유치와 AI 연구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산·학·연 협력 체계 강화로 지역 대학 및 연구기관과 긴밀히 연계해 우수 인재 양성과 혁신 기술 개발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밖에 '대전 지형과 기후 특성에 맞춘 구체적인 대비책 마련과 내년도 예산 효율성 및 재정위기 선제 대응 필요성도 강조했다.
nn0416@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