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차 손상관리종합계획 발표
5개 전략·16개 과제 마련 추진
청소년 자해·자살 조기 개입↑
손상 환자 재활·심리 지원 확대
[세종=뉴스핌] 신도경 기자 = 손상이 암, 심장질환, 폐렴에 이어 국내 사망 원인 4위에 해당되는 가운데, 질병관리청이 인구 10만 명당 54.4명인 손상사망률을 2030년까지 38명으로 줄이겠다고 밝혔다.
질병관리청은 24일 국가손상관리위원회 심의·의결을 거쳐 이같은 내용의 '제1차 손상관리종합계획(2026~2030)'을 확정·발표했다.
손상은 사고, 재해, 중독 등 외부적인 위험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신체적·정신적 건강상의 문제와 후유증이다. 암, 심장질환, 폐렴에 이어 사망 원인 4위에 해당하며 입원원인 1위에 해당한다. 특히 전제 질병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 중 손상으로 인한 비용이 가장 많다.
![]() |
서울의료원 전문 간호인력이 입원 환자에게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모습. [사진=서울의료원] |
질병청은 2023년 10만 명당 54.4명이던 손상사망률을 2030년까지 10만 명당 38명까지 줄이겠다고 밝혔다. 추락, 낙상 등 비의도적 손상입원율도 2023년 2113명에서 2030년 1930명으로 줄인다.
이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질병청은 5개의 추진 전략을 세웠다. 생애주기별 맞춤형 손상 예방, 우선순위 손상기전별 위험 요인 관리, 손상 대응·회복 지원 강화, 손상 예방·관리 조사·연구 활성화, 손상예방·관리 기반 조성이다.
질병청은 어린이·청소년 안전사고뿐만 아니라 추락·낙상 등 노인성 손상 등 생애주기별 맞춤형 손상 예방 사업을 확대한다. 영유아기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낙상, 추락 등 비의도적 손상과 아동 학대를 예방한다. 아동·청소년기 손상을 막기 위해서는 청소년 자해·자살 예방을 위한 조기 개입을 강화하고 학교 교육 활동 중 손상 예방 체계를 강화한다. 청소년 맞춤형 교통사고 예방 교육도 한다.
성인기의 경우 산업안전 취약분야 집중 지원·관리, 유해화학물질로 인한 사업장 손상 예방, 연구실 안전관리체계 고도화를 추진한다. 노년의 경우 낙상 사고, 자살 예방, 중독 또는 질식 사고, 고령 근로자 직업 안전 강화를 실시한다.
![]() |
제1차 손상관리종합계획 전략 체계 [자료=질병관리청] 2025.09.24 sdk1991@newspim.com |
우선순위에 따라 손상기전별 위험요인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자살, 폭력, 약물 중독 등 의도적 손상과 교통사고, 추락·낙상 등 비의도적 손상을 나눠 예방을 강화한다. 개인형 이동수단(PM) 등에 따른 손상에 대한 관리 체계도 구축할 예정이다.
예방에만 초점을 맞췄던 이전 정책과 달리 회복 지원도 강화한다. 질병청은 손상 환자의 신체적·정신적 회복지원을 위해 재활병원을 확충하고 심리 지원 프로그램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손상예방·관리 조사·연구 활성화와 손상예방·관리 기반 조성을 위해 손상통합정보관리시스템 플랫폼 구축하고 중앙·지역손상관리센터 설치도 추진한다.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손상은 일상생활 중에 발생하는 우연한 사건이 아닌 예방 가능한 건강 문제"라며 "관계기관 간 긴밀한 협업을 통해 손상 발생 이전부터 이후까지의 전 과정을 포괄하는 예방·관리 체계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임 청장은 "연말까지 2026년 시행 계획 수립을 위해 관계 부처와의 긴밀한 협력을 이어갈 것"이라며 "각 시·도의 시행 계획 수립을 지원하는 등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펼쳐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sdk199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