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원용 초상화 등 1000여 점 전시
미래 세대 역사 교육의 장 목표
박승원 시장 "새로운 미래를 열어갈 수 있는 공간"
[광명=뉴스핌] 박승봉 기자 = 경기 광명시는 10월에 최초의 공립 역사관인 '광명역사관'을 개관할 예정이라고 25일 밝혔다.
![]() |
광명역사관 '상설전시실'. [사진=광명시] |
시에 따르면 역사관은 역사적 사건, 인물, 지역의 발자취를 기록하고 보존하며 전시 및 교육하는 시설이다.
시는 광명의 역사와 문화를 계승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2024년 4월부터 지난 6월까지 광명문화원 리모델링 공사 중 2층에 약 168㎡ 규모로 '광명역사관'을 설치했다.
박승원 시장은 "광명역사관이 역사 교육의 장으로서 역할을 하기를 바라며, 특히 미래 세대가 광명시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미래를 열어갈 수 있는 의미 있는 공간으로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역사관에서는 시민들이 기증한 고문서 700점과 민속품 300점 등 총 1천여 점의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내부에는 40여 점의 유물을 전시하는 '상설전시실', 전시되지 않은 유물을 관람할 수 있는 '보이는 수장고', 지역의 대표 역사 인물을 소개하는 영상을 감상할 수 있는 '실감영상실' 등이 마련돼 있다.
![]() |
광명역사관 입구. [사진=광명시] |
운영 시간은 평일 오전 9시 30분부터 오후 5시 30분까지이며 주말과 공휴일은 휴관한다. 관람료는 무료이고, 단체 관람은 사전 예약이 필요하다.
문화관광해설사의 전시 해설 프로그램을 예약하면 전문적인 설명과 함께 관람할 수 있다.
주요 전시품으로는 ▲경산 정원용이 하사받은 궤장▲정인승 초상화▲김대덕 묘 출토 명기▲설월리 마을 최호천 지사 가옥 홍살 등이 포함된다.
특히 정원용 초상화의 복제품이 전시되어 전국에서 최초로 정원용의 모습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광명문화원 학예사가 지난해 정원용 후손의 집에서 초상화를 발견하고 이를 서울역사박물관에 기증한 후로 민간에 공개된 적이 없어 이번 전시가 처음이다.
![]() |
광명역사관 '보이는 수장고'. [사진=광명시] |
또한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인 '정조친제민회묘시사실 현판'의 복제품도 전시되고 있으며 이는 정조 임금이 민회빈 강씨의 무덤에서 제사를 지냈다는 사실을 기록한 유물이다. 원본은 심한 훼손으로 인해 복제품 형태로 제공된다.
1141worl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