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원인 규명 위해 회의·현장조사·시추 등 진행
추가 분석 필요 결정
붕괴 시나리오 검증 후 재발방지 대책 마련
[서울=뉴스핌] 정영희 기자 = 지난 3월 서울 강동구 명일동에서 발생한 깊이 30m 대형 지반침하(싱크홀)와 관련, 정부가 원인 규명을 위한 조사 기간을 두 달 늘린다.
![]() |
[서울=뉴스핌] 최지환 기자 = 서울 강동구 명일동 대형 땅꺼짐(싱크홀) 사고 현장에서 중앙지하사고조사위원회(사조위) 위원들이 현장을 조사하고 있다. 2025.03.31 choipix16@newspim.com |
1일 국토교통부는 명일동 지반침하 사고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구성한 중앙지하사고조사위원회(이하 '사조위')의 운영기간을 2개월 연장한다고 밝혔다.
현행법상 사조위는 구성을 마친 날부터 6개월 이내에 활동을 완료해야 하며, 필요할 경우 3개월 범위에서 연장이 가능하다. 당초 사조위의 활동기한은 9월 30일까지였으나, 지난달 29일 열린 제20차 위원회 회의에서 오는 11월 30일까지 2개월 연장을 의결했다.
사조위는 3월 31일 착수회의 이후 사고 원인 규명을 위해 설계도서, 작업일지, 검측서류, CCTV 영상 등을 검토해왔다. 지금까지 위원회 회의 20회, 현장조사 4회, 관계자 청문, 시추 4개소 및 시료 채취 8개소, 3차원 지질구조 분석, 민원 조사 등을 실시하며 원인 규명에 주력했다.
위원회는 사고를 유발한 직·간접적 요인을 다각도로 검토한 결과 보다 면밀한 공학적 추가 분석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연장기간 동안 지반 특성 및 시공 현황 등 터널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붕괴 시나리오를 명확히 검증할 계획이다.
박인준 사조위 위원장은 "지반특성과 시공현황 등 터널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상세히 해석해 붕괴 시나리오를 명확히 검증하고, 조속한 시일 내 조사 결과와 재발 방지 대책을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지난 3월 24일 서울 강동구 명일동 대명초등학교 사거리에서 4개 차로 크기의 대형 싱크홀이 발생했다. 이 사고로 오토바이 운전자 1명이 추락해 사망했다.
chulsoofrien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