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株 '노랑풍선·참좋은여행' 강세...K-뷰티株 동반 상승
'갤럭시아머니트리·NHN KCP' 中 간편결제 수혜 부각
[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2025년 추석 연휴가 중국 국경절 황금연휴와 맞물리면서 국내 관광·소비 업계에 대규모 수요 증가가 전망된다. 정부가 지난달 29일부터 내년 6월 30일까지 한시적으로 중국 단체 관광객의 무비자 입국을 허용하면서, 중국인 관광객 유입 확대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증권가에서는 관광·K-뷰티·소비재 등 코스닥 상장사들이 대표 수혜주로 꼽힌다. 여행·화장품·면세·결제 인프라 기업들이 4분기 실적 개선을 주도할 업종으로 주목받고 있다.
![]() |
[서울=뉴스핌] 양윤모 기자 = 중국 단체관광객의 무비자 입국 첫날인 9월 29일 서울 중구 명동을 방문한 중국관광객들이 쇼핑을 위해 이동하고 있다. 3명 이상 중국인 단체관광객은 29일부터 무비자로 최대 15일 동안 대한민국 전역을 여행할 수 있다. 2025.09.29 yym58@newspim.com |
◆ 관광·K뷰티株 동반 강세…"中 무비자 특수로 4분기 기대"
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정부 발표 직후, 여행·K뷰티 종목이 일제히 강세를 보였다. 노랑풍선은 24.8% 급등했으며, 참좋은여행도 9.9% 상승했다. 모두투어와 레드캡투어 역시 3%대 오르며 전반적인 여행 관련주가 동반 강세를 나타냈다.
증시에서는 이미 추석 장기 연휴와 중국 관광객 유입 효과가 기대감으로 선 반영돼, 여행·항공주 순환매가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하며 실적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양승윤 유진투자증권연구원은 "올해 대목은 10월 추석 장기 연휴"라며 "9월 말 시작된 중국 단체 관광 무비자 시행으로 중국 노선 수요가 늘어 4분기 실적 개선 요인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안동현 하나증권 연구원은 "추석 연휴와 무비자 효과로 4분기 국제선 매출이 전년 대비 14% 증가할 것"이라며 중국 노선 회복세를 강조했다.
K-뷰티와 의료미용 분야는 중국 관광객 귀환의 최대 수혜 업종으로 꼽힌다. 정부는 무비자 허용으로 약 100만명의 중국 관광객이 추가로 방한할 것으로 전망한다.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올해 7월 외국인 의료소비액은 1577억 원으로, 연초 대비 약 46% 증가했다. 그중 피부과·성형외과 비중이 79%에 달해 K-뷰티와 미용 성형이 주요 소비 분야임을 보여준다.
코스닥 대표주로는 '파마리서치'와 '엘앤씨바이오'가 꼽힌다. 파마리서치는 2분기 매출이 전년 대비 69% 늘며 코스닥 시가총액 3위에 올랐다. 주력 제품 '리쥬란'은 중국을 중심으로 해외 수출 호조가 이어지고 있으며, 최근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도 한국 방문 수요를 주목했다. 엘앤씨바이오는 스킨부스터 신제품 '엘라비에 리투오' 흥행으로 단기간 60% 넘는 주가 상승을 기록했다.
리프팅 장비 시장에서도 기대가 커지고 있다. 국내 점유율 1위인 클래시스의 초음파 리프팅 기기 '슈링크'는 국내외 병원에서 인지도가 높아 중국 의료관광객 증가에 따른 수요 확대가 예상된다. 원텍은 고주파 리프팅 기기 '올리지오'로 국내외 입지를 넓혀가며 시장 점유율을 강화하고 있다.
박종현 다올투자증권 연구원은 "국내 피부과를 이용하는 중국인의 비중은 약 40%"라며 "국경절과 무비자 시행이 겹치면서 올해 의료관광 소비액이 최고치를 경신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 |
[서울=뉴스핌] 양윤모 기자 = 중국 단체관광객의 무비자 입국 첫날인 29일 명동을 찾은 관광객들이 쇼핑을 위해 이동하고 있다. 3명 이상 중국인 단체관광객은 29일부터 무비자로 최대 15일 동안 대한민국 전역을 여행할 수 있다. 2025.09.29 yym58@newspim.com |
◆ 소비재·유통 '면세·리펀드·결제' 수혜 기대
소비재·유통 업종에서도 코스닥 기업들의 직접 수혜가 기대된다. 특히 면세·리펀드와 결제, 온라인 상거래 인프라 부문이 두드러진다.
면세·택스리펀드 업종에서는 '글로벌택스프리'와 'JTC'가 대표적이다. 글로벌택스프리는 외국인 환급 서비스 시장 1위 사업자로, 관광객 쇼핑 확대가 곧 환급 건수 증가로 이어진다. JTC는 트래블 리테일 사업을 운영하며 단체 관광객 재개 시 공항·항만·명동 등 주요 상권에서 점당 매출과 회전율이 동반 상승할 것으로 기대된다.
결제 인프라 부문에서는 '갤럭시아머니트리'와 'NHN KCP'가 알리페이·위챗페이 등 중국 간편결제 서비스와 연동돼 있다. 중국 관광객 소비가 늘수록 오프라인 가맹점 결제와 정산 트래픽 증가로 이어져 거래액 확대로 실적 개선이 가능하다.
이커머스 솔루션 기업 '카페24; 역시 주목받는다. K-뷰티·소비재 브랜드의 중국 및 해외 역직구 채널을 지원하며, 관광객이 오프라인에서 경험한 제품을 온라인으로 재구매하는 O2O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이는 성수기 이후에도 안정적 매출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라는 분석이다.
이번 추석 연휴는 중국 국경절 황금연휴와 겹치며 코스닥 주요 업종에 순풍이 불고 있다. 여행·관광 업종은 4분기 실적 상승을, K-뷰티·의료미용 업종은 의료관광과 화장품 소비 회복으로 수요 확대를 기대한다. 소비재·유통에서는 면세·리펀드·결제 등 관련 업종이 직접적인 수혜를 입을 것을 전망한다.
nylee5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