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뉴스핌] 박승봉 기자 = 경기 광명시는 층간소음 민원이 4년 연속 감소하고 있다고 2일 밝혔다.
시는 층간소음갈등해소지원센터에 접수된 민원 건수를 분석한 결과, 지난 2021년 9월 391건이던 층간소음 민원이 2025년 9월에는 103건으로 줄어들었으며, 이는 2021년 대비 73.7% 감소한 수치라고 설명했다.
![]() |
초등학생 고학년 대상 '층간소음 모의재판' 교육이 진행 중이다. [사진=광명시] |
2021년 코로나 팬데믹 시기 급증했던 민원은, 시의 다각적인 노력이 반영되어 2022년 9월 306건, 2023년 9월 264건, 2024년 9월 167건으로 매년 감소세를 보였다고 전했다.
특히 지난해 3개 단지가 약 5천 세대로 입주했고, 올해 1개 단지가 3천800여 세대로 입주했음에도 불구하고 층간소음 갈등이 줄어든 것은 시의 정책 효과가 뚜렷하다는 것을 입증한다고 덧붙였다.
시는 2013년 7월 전국 지방자치단체로는 처음으로 층간소음갈등해소지원센터를 설치했고, 민원 상담, 협의 조정, 예방 교육, 홍보물 제작 등 다양한 지원을 펼치고 있다.
층간소음 갈등 해소의 주요 정책은 교육으로, 시는 갈등 조정과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는 전제 아래 매년 층간소음 예방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특히 2024년부터는 강의식 교육에서 벗어나 '역할극' 기법을 도입했으며, 공동주택 관계자들은 모의 층간소음관리위원회를 구성하여 다양한 역할을 맡아 갈등을 체감하며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올해부터는 한국예총 광명지회 연극협회와 협력해 참여형 교육을 진행하고 있으며, 상황을 가정한 갈등 사례를 재현하여 참여자들의 이해도를 높이고 있다.
![]() |
광명시 평생학습축제 때 운영된 홍보 부스. 아이들 대상으로 층간소음 예절을 가르치고 있다. [사진=광명시] |
의무교육은 아니지만, 매년 90개 단지 중 70여 개 단지에서 150명 이상이 자발적으로 참석하고 있으며, 이는 시의 교육 효과를 입증한다고 말했다.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육 또한 맞춤형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올해부터 고학년을 위한 '층간소음 모의재판'과 저학년을 위한 문패 만들기 등 체험형 교육이 실시되었다.
이 교육은 9월 말 기준 27회가 진행되었고, 총 500여 명이 참여했다고 밝혔다. 광명시는 현장 중심의 층간소음 인식 개선에도 노력하고 있다.
시는 층간소음을 남의 집 문제가 아닌 생활 속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으로 인식시키고, 시민이 스스로 예방하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신규 입주 단지를 찾아가 층간소음 예방을 위한 부스를 운영하고 있으며, 참여형 체험을 통해 주민들의 이해도를 높이고 있다.
또한, 대규모 행사에 부스를 운영해 시민에게 직접 홍보하고 있으며, 층간소음 예방 홍보영상을 오는 11월부터 2026년 2월까지 46개 단지의 공동주택 승강기 TV를 통해 송출할 예정이다.
시는 앞으로도 층간소음갈등해소자문위원회 등 전문가의 자문을 바탕으로 갈등 예방 정책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 |
공동주택 관계자 대상 층간소음 갈등 해소 역량강화 교육. 갈등 사례를 연극으로 재현해 갈등해소 방법을 보다 직관적으로 전달하고 있다. [사진=광명시] |
박승원 광명시장은 "살기 좋은 도시는 먼 곳에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내 집에서 이웃과 행복하게 어울리며 살아가는 일상에서 시작된다"며, "서로 배려하고 존중하는 주거문화와 평화로운 공동체를 만들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1141worl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