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던=뉴스핌] 장일현 특파원 =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오는 10일까지 총리를 임명할 것이라고 엘리제궁이 8일(현지 시간) 발표했다.
세바스티앙 르코르뉘 총리의 퇴임을 계기로 프랑스 정국이 극도의 불안정 속으로 빨려들면서 야권은 물론 여권 일각에서도 조기 총선에 대한 요구가 제기되는 가운데 마크롱 대통령은 이에 굴복하지 않고 정면 돌파를 시도하는 모습이다.
![]() |
18일(현지시간) 백악관 회담 후 주미 프랑스 대사관 앞에서 취재진의 질문 받는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사진=로이터 뉴스핌] |
엘리제궁은 이날 "마크롱 대통령이 48시간 이내에 신임 총리를 임명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FT)는 "이날 발표는 퇴임하는 르코르뉘 총리가 마크롱 대통령의 요청에 따라 주요 정당들과 마지막 회담을 가진 이후에 나온 것"이라고 말했다.
르코르뉘 총리는 범여권 정당들과 좌파 진영의 사회당 등과 잇따라 만남을 갖고 2026년도 긴축 예산안과 연금 개혁안 중단 방안 등을 놓고 의견을 나눴다.
르코르뉘 총리는 이후 프랑스2 방송과 인터뷰에서 "하원의 주요 정당들이 연말까지 예산안을 통과시키고 싶어하며 조기 총선을 원하지 않는다"며 낙관론을 펼쳤다.
하지만 극우와 극좌 진영의 정당들은 모든 협상을 거부하면서 즉각적인 총선 실시를 주장하고 있다.
극우 정당인 국민연합(RN)을 이끌고 있는 마린 르펜 의원은 "우리 당은 (마크롱 정부의) 모든 것을 반대한다"고 말했다. 마크롱 대통령이 어떤 새 인물을 총리로 내세워도 의회 불신임을 추진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됐다.
극좌 정당인 굴복하지않는프랑스(LFI)도 "새로 구성될 어떤 내각도 결국 마크롱의 정책을 고수할 것"이라며 "우리는 계속해서 마크롱의 내각을 불신임하겠다"고 밝혔다.
LFI는 더 나아가 "연금 개혁안에 대한 논쟁은 그동안 충분히 했다. 이제 남은 것은 마크롱 대통령의 사임 뿐"이라고 주장했다.
프랑스 정치권 안팎에서는 정부와 사회당의 협상 결과가 향후 총리 신임과 예산안 통과의 결정적 분수령이 될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국민연합과 LFI가 힘을 합쳐도 총리를 불신임할 수 있는 의회 과반(289석)을 확보할 수 없다. 국민연합은 작년 7월 실시된 총선에서 전체 의석 577석 중 143석을 차지했고, LFI는 71석을 얻었다. 두 당의 의석은 모두 214석이다.
사회당 의석은 31석인데 중도 좌파 진영 내 영향력을 갖고 있어 예산안 통과나 총리 불신임 정국에서 캐스팅 보트 역할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