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니트리움 비임상 결과 선 공개
美 국제학술대회서 논문초록 발표 예정
[서울=뉴스핌] 김신영 기자 = 현대ADM바이오와 현대바이오사이언스가 암과 자가면역질환 등을 관통하는 공통 병리기전을 규명하고 이를 타깃하는 새로운 치료 접근법을 제시했다. 핵심은 약물 내성의 근본 원인으로 지목되는 '가짜내성'을 해소하는 것이다.
현대바이오는 14일 서울 한국프레스센터에서 '페니트리움 비임상 중간결과 발표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의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 |
조원동 현대ADM 대표이사가 연구결과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현대ADM바이오] |
회사는 범용 항암·항바이러스제 연구를 통해 질병의 '공통 병리축'을 규명하고자 공동 연구를 진행 중인 가운데 류마티스 관절염과 다발성경화증에서도 동일한 병리기전이 작동함을 입증했다고 밝혔다.
그 핵심은 가짜내성이다. 가짜내성은 유전자 변이나 약물의 문제와 달리 병적으로 경직된 세포외기질(ECM)이 약물과 면역세포의 접근을 물리적으로 차단해 약이 듣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을 의미한다. 단순히 약물 내성이 아니라 약이 통하지 않는 환경의 문제인 셈이다.
현대바이오의 가짜내성 치료제 페니트리움은 ECM을 정상화시켜 면역세포와 약물이 병변에 도달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근본적 회복을 유도하는 메커니즘을 갖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암 뿐만 아니라 자가면역질환, 신경퇴행질환에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한 '플랫폼형 치료 접근'을 목표로 약물을 개발하고 있다.
연구를 총괄한 최진호 단국대 석좌교수는 "암이나 류마티스 관절염 등에서 ECM 장벽이 딱딱해져 치료제가 투여되지 못하도록 억제하는 것을 '가짜내성'이라고 한다"며 "페니트리움은 ECM 장벽을 파괴시켜, 이를 리모델링 시키는 치료 개념"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암과 퇴행성 뇌질환, 자가면역 질환을 개별 질병으로 인식하기보다는 그 원인을 공통적 병리로 인식해야 한다"며 "그동안 개별 질병에 대한 치료제를 각각 개발했다면 페니트리움을 통해 통합적 치료 솔루션을 얻어낼 수 있다"고 자신했다.
실제 현대바이오는 류마티스 관절염 동물 모델에서 9일 만에 페니트리움의 효능을 검증했다. 면역억제제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페니트리움 단독군에서 양성대조군(MTX) 대비 유사하거나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면역억제제를 병용할 경우 동물 모델 6마리 중 4마리에서 완전 관해가 관찰되기도 했다.
용량을 높일수록 치료 효과가 커지는 '용량 의존성'도 확인됐다. 췌장암, 유방임 동물시험과 유사한 용량 요법에서도 동일한 치료기전의 작동 가능성이 나타났다.
연구에 참여한 진근우 현대바이오사이언스 대표이사는 "페니트리움의 기전을 암 뿐만 아니라 여러 곳에 적용 가능함을 확인한 연구"라며 "암의 기존 치료법은 암세포를 어떻게 사멸시킬까에 대해 관심을 가졌다면, 페니트리움은 암 자체가 아니라 주변 조직을 공력하는 데 관심을 갖는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런 시각으로 질병을 바라본다면, 자가면역질환과 염증이 지속되는 질병 문제도 같은 접근법을 활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다발성경화증 연구 모델에서는 페니트리움의 뇌혈관 장벽(BBB) 투과성이 확인됐다. BBB는 뇌를 보호하는 방어막으로 약물 치료를 어렵게 만드는 주요 요인이다. 페니트리움은 다발성경화증에서 신경아교세포 상처 형성을 억제하고, ECM 구조를 정상화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페니트리움 80mg/kg을 다발성경화증 치료제로 개발된 경구용 면역조절제와 병용 투여한 군에서 대조군 대비 임상점수가 62% 개선(3.08→1.17)돼 '기능적 관해' 수준의 회복을 보였다. 페니트리움 단독 고용량 투여군에서도 49% 개선(3.08→1.58)이 관찰됐다. 용량의존성도 확인됐다.
진 대표는 "페니트리움은 BBB를 통과해 뇌 ECM을 복원한 첫 복합제"라며 "이번 연구는 면역억제 없이 관해를 유도한 최초의 뇌 자가면역 치료제 후보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회사는 비임상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자가면역성 질환부터 임상시험에 착수하겠다는 구상이다.
한편, 현대바이오는 오는 22~25일(현지시간) 미국 보스톤에서 열리는 'AACR-NCI-EORTC' 국제학술대회에서 이같은 연구 내용이 포함된 페니트리움의 가짜내성 극복 작동기전을 논문초록 형태로 발표할 예정이다. 초록에는 이날 공개된 연구결과 외에 자가면역질환 중 피부에 발생하는 건선과 소화기관에 발생하는 크론병도 포함된다.
국제학술대회에서 논문초록 발표를 맡을 예정인 최진호 단국대 석좌교수는 "페니트리움의 플랫폼적 치료기전은 질병을 개별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통합 생체환경으로 바라보고 접근하는 새로운 치료관"이라며 "암은 면역이 억제된 질환이고, 자가면역질환은 면역이 과잉된 질환이지만, 결국 치료의 핵심은 면역 기능을 정상 상태로 되돌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조원동 현대ADM바이오 회장은 "앞으로 페니트리움을 암, 류마티스, 다발성경화증 등 다양한 난치성 질환의 공통 병리를 해결하는 플랫폼 신약으로 개발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syki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