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박성준 기자 =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14일 남북이 개별 두 국가로 존재한다는 '두 국가론'과 관련해 "정부의 입장으로 확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 장관은 이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 질의에 이같이 답변했다.
정 장관은 '대한민국 영토는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로 한다'라는 헌법 제3조가 두 국가론과 배치된다는 안 의원의 지적과 관련해 "전혀 배치되지 않는다"며 "1994년 여야가 초당적 합의로 추진한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의 제2단계, 국가연합 단계가 바로 두 국가 단계"라고 밝혔다.
![]() |
[서울=뉴스핌] 최지환 기자 =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1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서 열린 통일부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2025.10.14 choipix16@newspim.com |
이어 "평화적인 두 국가를 제도화하는 것이 바로 통일의 문을 여는 것"이라며 "우리는 지금 두 국가로 못 가고 있기 때문에 통일로 못 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 장관은 또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남북관계에 대해 두 국가가 아닌 '잠정적 특수관계'라고 밝힌 것을 두고는 "정확하게 같은 의견"이라면서 "남북관계는 통일로 가는 과정에서 형성된 잠정적 특수관계 안에서의 두 국가"라고 전했다.
아울러 김준형 조국혁신당 의원이 '동맹파냐 자주파냐'고 묻자 정 장관은 "자주가 없는 동맹은 줏대가 없는 것이고, 동맹이 없는 자주는 고립을 초래하는 것"이라고 답했다.
정 장관은 "모두가 동맹파여야 하고 모두가 자주파여야 한다"며 "저는 이 정부의 외교·안보팀 모두가 자주적 동맹파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parksj@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