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산불예방 및 무인진화 방안을 위한 정책토론회' 개최
첨단기기 도입과 신속한 지휘체계 필요성 제기
다양한 의견 수렴하여 정책 반영 및 선도 목표
[수원=뉴스핌] 박승봉 기자 = 경기도의회 의회운영위원회는 경제노동위원회 소속인 이채영 의원(국민의힘)이 좌장을 맡은 '경기도 산불예방 및 무인진화 방안을 위한 정책토론회'가 16일 경기도의회 대회의실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경기도와 경기도의회가 공동 주최하는 '2025 경기도 정책토론회'의 일환으로, 산불 예방과 진화의 체계적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 |
경기도의회 의회운영위원회와 경제노동위원회 소속인 이채영 의원(국민의힘, 비례)이 좌장을 맡은 '경기도 산불예방 및 무인진화 방안을 위한 정책토론회'가 16일 경기도의회 대회의실에서 개최됐다. [사진=경기도의회] |
주제발표를 진행한 최병정 경기대학교 교수는 "경기도의 산불방지 임도를 전략적으로 확충하고, AI 감시 시스템과 진화 로봇 등 첨단 기기를 도입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어 첫 번째 토론을 맡은 정철민 경기도 소방재난본부 재난대응과 팀장은 "대형 산불 대응을 위해 지휘체계 일원화와 신속한 현장 대응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두 번째 토론의 강윤진 (사)한국화재소방학회 회장은 "디지털트윈과 IoT(사물인터넷) 기반의 산불 대응 플랫폼 구축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어 방기성 한국방재협회 회장은 "산불 현장의 중복 지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통합지휘체계 도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 |
경기도의회 의회운영위원회와 경제노동위원회 소속인 이채영 의원(국민의힘, 비례)이 좌장을 맡은 '경기도 산불예방 및 무인진화 방안을 위한 정책토론회'가 16일 경기도의회 대회의실에서 개최됐다. [사진=경기도의회] |
김성용 국립경국대학교 교수는 "임도는 지속 가능한 산림경영의 핵심 기반시설로 인식해야 하며, 환경보전과 산불 확산 억제를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문현철 호남대학교 교수는 "기후 위기 시대에 맞춰 산림 인프라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좌장을 맡은 이채영 의원은 "이번 토론회는 경기도 산불 대응의 현주소를 진단하고, 미래형 재난 관리 체계를 모색하는 뜻깊은 자리였다"고 말했다. 그는 "오늘 제시된 다양한 의견을 정책에 반영해 산불 대응의 선도 모델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날 행사에는 김진경 경기도의회 의장과 김동연 경기도지사, 백현종 경기도의회 국민의힘 대표의원, 고은정 경기도의회 경제노동위원회 위원장, 이윤규 경기대학교 총장이 참석해 축사를 전했다.
![]() |
경기도의회 의회운영위원회와 경제노동위원회 소속인 이채영 의원(국민의힘, 비례)이 좌장을 맡은 '경기도 산불예방 및 무인진화 방안을 위한 정책토론회'가 16일 경기도의회 대회의실에서 개최됐다. [사진=경기도의회] |
한편, 이 의원은 지난 6월 제384회 정례회 도정질문을 통해 '산불 대응 및 임도 인프라 구축 대책'의 필요성을 강력히 제기한 바 있다. 그는 "앞으로도 임도와 AI 기술을 활용한 통합 대응 시스템 구축을 위해 정책 활동을 지속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1141worl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