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KSP 성과공유 컨퍼런스 개최
[세종=뉴스핌] 김범주 기자 =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앞으로 경제발전경험 공유사업(KSP)은 인공지능(AI), 디지털, 스마트 모빌리티 등 미래산업분야에 대한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고, 공급망 리스크 등에 대응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구 부총리는 이날 인천 인스파이어 리조트에 열린 '2025 KSP' 성과공유 컨퍼런스에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
KSP는 한국의 경제·사회 발전 경험과 지식을 국제사회와 공유해 협력국의 경제·사회 발전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 |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0월 21일(현지시간) 인천 인스파이어 리조트에서 열린 '경제발전경험공유사업(KSP) 성과공유 컨퍼런스'에 참석해 개회사를 하고 있다.[제공=기획재정부] |
이날 컨퍼런스에는 구 부총리를 비롯해, 에두아르도 페드로사(Eduardo Pedrosa) APEC 사무국장, 응우옌 반 탕(Nguyen Van Thang) 베트남 재무장관 등 KSP 협력국 및 국제기구 관계자, 주한 외교사절, KSP 유관기관 관계자 200여 명이 참석했다. 올해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재무·구조개혁 장관회의의 부대행사로 개최됐다.
개회사를 통해 구 부총리는 "2004년 첫발을 내디딘 KSP는 지난 20여년 동안 102개국 760여건의 프로젝트를 통해 한국의 발전 경험을 토대로 정책자문을 제공해왔다"며 "KSP는 APEC 전체 회원(한국 포함 21개) 중 12개 회원과 함께 190여건의 프로젝트를 수행했다"고 평가했다.
지난해 말 기준 APEC은 세계 GDP의 61.3%, 교역량의 50.9%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 수출의 76.3%, 해외투자의 51.6%를 차지해 영향력이 큰 국제기구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올해는 인도네시아의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관련 프로젝트와 페루의 원산지 증명 시스템 구축 프로젝트가 KSP 성과사례로 소개됐다.
KSP를 미래산업분야에서 맞춤형으로 강화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구 부총리는 "AI, 디지털, 스마트 모빌리티와 같이 최근 부상하는 분야로 지원을 확장하겠다"며 "협력국과 공동 기획하는 프로젝트 수를 확대하고,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정책협의회 등에 함께 참여해 필요한 과제를 상시 파악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후위기, 공급망 리스크 등 범세계적 현안에 대해 공동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겠다는 청사진 밝혔다. 그는 "최근 KSP를 통해 호주와의 수소 공급망 구축방안을 함께 연구하고, 정부간 협력방안을 모색한 사례는 이러한 진화의 출발점"이라고 평가했다.
![]() |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0월 21일(현지시간) 인천 인스파이어 리조트에서 열린 '경제발전경험공유사업(KSP) 성과공유 컨퍼런스'에 참석해 개회사를 하고 있다.[제공=기획재정부] |
이외에도 "정책자문과 ODA 사업, 수출금융, PPP 등을 연계한 패키지 지원을 확대하고, 사후 평가단계에서 실제 프로젝트의 이행 실적 등을 적극 반영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조동철 한국개발연구원(KDI) 원장은 기조연설을 통해 "KSP는 빠르게 변화하는 글로벌 경제에 대응해 공동창조와 집단지성을 위한 플랫폼으로 진화해야 한다"며 "지식을 함께 만들어가고 민간 부문을 적극적으로 참여시키며 지식이 행동으로 이어지도록 연계해야 한다"고 말했다.
wideope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