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청·과기정통부 공동 주최...2015년부터 매년 시상
총 13건 60명에 1980만원 상금 수여
스마트폰 지문식별·보이는 112 등 연구개발로 이어져
[서울=뉴스핌] 박우진 기자 = 경찰청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24일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제11회 과학치안 아이디어 공모전' 시상식을 개최했다.
양 기관은 2015년부터 매년 국민과 경찰을 대상으로 공모전을 실시해 신종범죄 대응과 국민안전 확보에 이바지할 참신한 아이디어를 발굴해 왔다.
![]() |
| 경찰청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4일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제11회 과학치안 아이디어 공모전 시상식을 개최했다. 사진은 대상을 수상한 김명진 부산경찰청 과학수사과 경사의 모습 [사진=경찰청] |
실제 공모전을 통해 ▲구조요청자 정밀 위치 측정 기술 ▲112 신고자 영상과 위치를 전송하는 '보이는 112' ▲스마트폰 지문식별 시스템 등이 연구개발로 이어지기도 했다.
올해 공모전은 지난 6월 11일부터 7월 20일까지 40일간 진행했다. 총 271건(경찰부 143건, 일반부 128건)의 아이디어가 접수됐다.
1차 서면심사와 2차 본선 발표평가를 거쳐 최종 우수작을 선정했다. 심사과정 중 전문가 자문을 통해 아이디어를 보완하고 완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대상은 통합선발하고 우수작은 경찰부와 국민부로 나눠 각 6건씩 총 13건을 선정했다. 대상 수상자에게는 국무총리상과 상금 500만원, 최우수상은 부총리 겸 과기정통부장관상과 상금 350만원, 우수상은 경찰청장상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장상 및 상금 120만원이 주어졌다. 수상자는 총 60명으로 이들에게 1980만원의 상금이 수여됐다.
올해 대상은 김명진 부산경찰청 과학수사과 경사가 수상했다. 김 경사는 습식청소기 원리를 활용해 면봉으로 채취가 어려운 섬유에서도 DNA 채취가 가능한 '다중 DNA 여과 포집 장비'를 고안했다.
경찰부 최우수상은 '인공지능 기반 첨단 혈흔형태분석 솔루션'을 제안한 김한별 치안정책연구소 경감, 국민부 최우수상은 인공지능 기반 치매노인 위험 예측·대응시스템을 제안한 홍익대학교 윤진규 등 4명이 수상했다.
도준수 경찰청 미래치안정책국장은 "이번 공모전은 현장 경찰과 국민이 체감하고 있는 치안 문제를 인식하고 함께 해결방안을 고민하는 좋은 기회가 됐다"며 "향후 수상작을 비롯한 우수 아이디어는 연구개발을 통해 현장 문제 해결에 활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krawjp@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