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저 표적 지시기 등 5종 '워리어 플랫폼' 선정…3개 기동대 시범훈련
2029년까지 82개 부대로 확대… 예비전력 정예화 본격 추진
[서울=뉴스핌] 오동룡 군사방산전문기자 = 육군은 신형 전투체계인 '워리어 플랫폼(Warrior Platform)' 군사훈련을 예비군을 대상으로 처음 실시했다고 27일 밝혔다.
워리어 플랫폼은 전투원의 전투 효율성과 생존 능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피복·장구·전투장비를 첨단화한 통합 체계다. 육군은 예비군의 임무 특성을 고려해 △개인화기 조준경 △고성능 확대경 △레이저 표적지시기 △신형 방탄헬멧 △방탄복 등 5종을 '예비군 기동대 워리어 플랫폼'으로 선정했다.
![]() |
| 육군은 지난 14일부터 2주간 31,35, 52사단 예하 예비군기동대(순천시, 군산시, 서울 영등포구)를 대상으로 워리어 플랫폼을 적용한 훈련을 실시했다. 이번 훈련은 예비군을 대상으로 신형 전투체계인 '워리어 플랫폼'을 적용한 첫 훈련이다. 사진은 군산시 예비군기동대원들이 현역 장병 및 미군들과 함께 군산 비행장 방호작전을 실시하고 있는 모습. [사진=육군 제공] 2025.10.27 gomsi@newspim.com |
이번 훈련은 31·35·52사단 예하 예비군기동대 240여 명을 대상으로 지난 14일부터 2주간 진행됐다. 참가자들은 지역별 과학화 예비군훈련장에서 장비 운용 숙달훈련을 받은 뒤, 지역방위여단장 통제 아래 중요시설 방호작전에 투입됐다.
특히 35사단 군산시 예비군기동대는 미 제8전투비행단과 함께 군산비행장 방호작전을 수행하며 연합작전 능력을 검증했다. 육군은 예비전력의 정예화를 목표로, 워리어 플랫폼을 갖춘 예비군 부대를 2029년까지 82개 부대로 확대할 계획이다.
훈련에 참여한 구승찬 군산시 예비군기동대 소대장은 "현역 시절보다 발전된 무기체계를 직접 운용해보니 실제 전장 환경에서 생존 가능성이 높아졌음을 체감했다"고 했다. 정학승 동원참모부장은 "워리어 플랫폼으로 전력화된 예비군들이 압도적인 전투력을 발휘하는 모습을 확인했다"며 "이번 훈련은 미래 작전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지역예비군 전력 보강의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gomsi@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