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국방부 청사서 제57차 SCM 개최… 핵잠 외 전작권 전환 등 논의
헤그세스 "韓 핵추진잠수함 도입, 적극 지원…국무부 등 유관기관들 참여"
안규백 "韓핵무기 개발 있을 수 없어…비핵화 흔들림 없는 약속"
SCM 후 기자회견…한미 팩트시트 도출 뒤 공동선언 발표키로
                        
                        [서울=뉴스핌] 오동룡 군사방산전문기자 = 안규백 국방부 장관과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부 장관은 4일 오전 서울 용산 국방부 청사에서 제57차 한미안보협의회(SCM)를 열고 핵추진잠수함 도입 등 주요 안보 현안을 논의했다.
![]()  | 
| 안규백 국방부 장관과 피트 헤그세스 미 국방부 장관이 4일 오전 서울 용산 국방부 청사에서 열린 제57차 한미안보협의회의(SCM) 확대회의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국방부 제공] 2025.11.04 gomsi@newspim.com | 
SCM은 한국과 미국의 주요 군사정책을 협의·조정하는 양국 국방 분야 최고위급 연례 회의체다. 실무급 협의체인 한미 통합국방협의체(KIDD) 등에서 논의된 국방 현안을 양국 국방부 장관이 보고받고 협의하는 자리로, 매년 서울과 워싱턴에서 번갈아 개최된다.
올해 회의에서는 한국의 핵추진잠수함 도입 문제가 주요 의제로 논의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 밖에도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전환 등 다양한 국방 현안이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헤그세스 장관은 기자회견에서 "한국의 핵잠수함 도입 관련 질문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이 승인한 사안을 다시 한번 확인해드린다"며 "군 당국에서도 이를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핵추진잠수함 관련 업무에는 국무부, 에너지부 등 다른 유관기관들도 참여하고 있다"며 "이들과 긴밀히 협조하겠다"고 덧붙였다.
![]()  | 
| 안규백 국방부 장관과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부 장관이 4일 오전 서울 용산 국방부 청사에서 SCM 회의를 갖고 있다. [사진=국방부 제공] 2025.11.04 gomsi@newspim.com | 
안규백 장관은 "제57차 한미안보협의회에서 한미동맹의 중요성과 미래 가치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안 장관은 또 "양국 정부 출범 이후 처음 개최된 이번 SCM에서 굳건한 한미 군사동맹과 견고한 연합방위태세를 다시 한번 확인했다"며 "상호 신뢰와 협력을 바탕으로 안보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미래지향적·호혜적 협력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폭넓은 논의를 했다"고 전했다.
그는 이번 회의를 위해 처음 방한한 헤그세스 장관에 대해 "강력하고 효율적인 군대를 만들기 위한 과감한 개혁 추진을 높이 평가한다"며 "강화된 억제력이 한반도와 역내 평화·안정에 중대한 기여를 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이어 "한미 양국 새 정부 출범 이후 열린 첫 SCM에서 굳건한 군사동맹과 연합방위태세를 재확인했다"며 "급변하는 안보환경과 위협에 대응하고, 미래지향적이고 호혜적인 국방 협력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심도 있는 토의를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  | 
|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부 장관이 4일 SCM 회의를 갖기에 앞서 국방부 3층 전시실에 마련된 방명록에 서명하는 것을 안규백 장관이 지켜보고 있다. 헤그세스 장관은 방명록에 '한미동맹의 힘으로 이룬 72년의 평화'(To 72 YEARS OF PEACE through STRENGTH in the U.S-ROK ALLIANCE!)라고 썼다. [사진=국방부 제공] 2025.11.04 gomsi@newspim.com | 
이날 한 외신기자는 안 장관에게 "한국이 핵무기 개발을 추진할 의향이 있느냐"고 질문했다. 이에 안 장관은 "한반도 비핵화는 흔들림 없는 약속"이라며 "한국은 핵확산금지조약(NPT) 가입국으로서 핵을 보유할 수 없는 나라"라고 답했다.
'미국의 전술핵무기를 한반도에 재배치하길 희망하느냐'는 질문에는 "우리는 핵을 가질 수 없기에 미국의 핵과 한국의 재래식 무기를 결합한 핵·재래식 통합(CNI) 체제를 구축한 것으로 이해해달라"고 설명했다.
SCM은 양국의 주요 군사정책을 협의·조정하는 최고위급 협의체로, 올해 회의에서는 전시작전통제권 전환과 한국의 국방비 증액 문제 등도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양국 장관은 회의 후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공동 성명을 발표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양국이 여전히 협의 중인 통상·안보 합의 내용을 문서화한 '조인트 팩트시트(JFS)'가 아직 마련되지 않아, 공동 성명은 팩트시트 발표 이후로 미루기로 했다.
gomsi@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