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 안정까지 몇년 더 소요...통화정책 더 할 일 없어"
[시드니=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 베스 해맥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 총재가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에 회의적 입장을 보였다.
6일(현지시간) 해맥 총재는 미국 뉴욕 이코노믹 클럽 연설에서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를 재차 강조하며, 연준이 금리를 추가로 낮춰야 한다는 판단은 명확하지 않다고 말했다.
해맥 총재는 "여전히 높은 인플레이션을 우려하며, 정책은 이를 억제하는 쪽으로 기울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연준의 2% 인플레이션 목표와 비교할 때,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높고 잘못된 방향으로 향하고 있다고 평가하면서 "연준 목표치를 달성하려면 몇 년이 걸릴 가능성이 높다. 반면 실업률은 그리 심각하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주 회의 이후, 개인적으로는 현재 통화정책이 거의 제한적이지 않거나 제한적이라도 최소한의 수준이라고 본다. 현 시점에서 통화정책이 더 나아가야 한다고 보는 것은 명확하지 않다"면서 "다만 미래는 본질적으로 불확실하며, 관련 상황을 면밀히 관찰하고 있다"고 밝혔다.
해맥 총재는 경제 이론상 관세 변화는 일회성 가격 상승을 유발해야 하지만, 실제 관찰이나 기대치는 그렇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는 "관세 변경은 크고, 역동적이며,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교과서적 시행과는 거리가 멀다"며 "이러한 모든 상황을 고려할 때, 높아진 인플레이션을 단순히 일시적 현상으로 보고 무시할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또 노동시장 측면에서는 내년 초 실업률이 다소 높게 시작하겠지만, 2~3년에 걸쳐 점차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소비자 지출과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등 기타 지표들도 경제 전반의 건강성을 나타내며 노동시장 둔화 가능성을 낮춘다고 평가했다.
해맥 총재는 "현 시점에서 통화정책이 더 할 수 있는 것은 거의 없으며, 추가 조치를 취하면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해맥 총재는 올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투표권을 행사하지 않았지만, 내년에 투표권을 가진다.
최근 연준 관계자들 다수가 금리 인하에 대해 매우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날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연은 총재는 정부 셧다운으로 인해 인플레이션 지표가 제대로 나오지 않아 금리 인하 논의가 불편하다고 밝혔고, 마이클 바 연준 부의장은 인플레이션을 잡고 노동시장을 튼튼하게 유지하기 위해 "아직 할 일이 남아 있다"고 말했다.
![]() |
| 베스 해맥 미국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 총재.[사진=로이터 뉴스핌] |
kwonjiun@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