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인공지능(AI) 번역으로 생산된 콘텐츠로, 원문은 11월 13일자 블룸버그 기사(Tesla Is Working to Add Apple CarPlay in Bid to Boost Vehicle Sales)입니다.
[서울=뉴스핌] 김현영 기자 = 테슬라(종목코드: TSLA)가 차량 판매 확대를 위해 애플(AAPL)의 카플레이(CarPlay) 시스템을 자사 차량에 도입하는 작업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사안에 정통한 관계자들에 따르면, 테슬라는 고객들이 가장 많이 요청한 기능 중 하나인 카플레이 지원을 내부적으로 테스트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 |
| 테슬라 모델 Y [사진 = 블룸버그] |
카플레이는 이미 다수의 자동차 제조사들이 채택하고 있는 플랫폼으로, 운전자에게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 최적화된 아이폰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많은 운전자가 필수 기능으로 여기는 만큼, 테슬라의 이번 움직임은 소비자 편의성과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전략적 선택으로 풀이된다. 관계자들은 해당 작업이 아직 비공개 단계에 있어 익명을 요청했다.
테슬라가 애플의 카플레이 기능을 차량에 도입하려는 움직임은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의 기존 입장을 뒤집는 파격적인 변화로 평가된다. 머스크는 그동안 카플레이 도입 요구를 외면해왔으며, 특히 애플의 앱스토어 정책을 비판해왔고, 애플이 자율주행차 개발을 위해 테슬라 엔지니어를 영입한 데 대해 불쾌감을 드러낸 바 있다.
복수의 관계자에 따르면, 테슬라는 향후 수개월 내 카플레이를 출시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지만, 아직 계획이 확정되지는 않았으며 출시 시점이 더 늦춰질 가능성도 있다. 테슬라는 수개월 또는 수년간 개발한 기능을 출시 직전 취소하거나 연기하는 사례가 종종 있어, 실제 도입 여부는 불확실한 상황이다.
테슬라와 애플은 이번 사안에 대한 언론의 질의에 별다른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테슬라는 자체 개발한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차량에 탑재해 메시지 전송, 웹 브라우징 등 고유 기능을 제공해왔다. 그동안 애플이 자사 고객에 더 많은 접근 권한을 갖는 데 대해 테슬라는 강하게 반대해왔으며, 특히 애플이 전기차 시장 진출을 모색하던 시기에는 경쟁자로 인식하며 경계심을 드러냈다.
그러나 시장 환경은 변화했다. 애플은 2024년 자율주행차 프로젝트 '타이탄'을 중단하며 전기차 개발에서 손을 뗐고, 일론 머스크는 현재 애플을 소셜미디어 플랫폼 X와 인공지능 서비스 그록(Grok)의 핵심 유통 파트너로 활용하고 있다. 테슬라의 차량 판매는 최근 둔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일부 소비자들은 카플레이 미지원이 구매를 포기한 이유라고 밝히기도 했다.
2024년 맥킨지앤드컴퍼니 조사에 따르면, 전체 차량 구매자의 약 3분의 1은 카플레이 또는 안드로이드 오토와 같은 기능이 없을 경우 구매를 포기할 수 있다고 응답했다. 2014년 출시된 카플레이는 애플의 메시지, 음악, 지도 앱과 음성비서 시리를 포함하며, 구글 지도와 스포티파이 등 서드파티 앱도 지원한다.
테슬라는 카플레이를 차량 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전체 화면이 아닌, 기존 테슬라 인터페이스 내의 하나의 창 형태로 구현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다른 차량들처럼 애플 소프트웨어가 테슬라 운영체제를 완전히 대체하지는 않는다는 의미다.
또한 카플레이는 테슬라의 완전 자율주행(FSD) 기능과는 연동되지 않으며, 운전자는 해당 기능을 사용할 때 테슬라 고유의 내비게이션 앱을 이용해야 한다.
테슬라는 일부 애스턴마틴 차량 등에서 제공되는 최신 '울트라' 버전이 아닌, 표준형 카플레이를 차량에 도입할 계획이다. 울트라 버전은 계기판, 시트, 공조 시스템까지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지만, 테슬라는 이러한 고급 기능은 지원하지 않는다.
애플은 iOS 26 업데이트를 통해 표준형 카플레이를 새롭게 디자인했으며, 날씨와 일정 확인이 가능한 위젯 기능 등을 추가했다. 아이폰 사용자는 USB 케이블을 통해 차량에 연결하거나, 최신 차량에서는 무선으로 페어링해 카플레이를 사용할 수 있다. 테슬라는 무선 연결 방식을 지원할 예정으로, 운전자는 케이블 없이도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알파벳 산하 구글은 자사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한 안드로이드 오토를 제공하고 있지만, 테슬라는 해당 기능에 대한 지원을 별도로 개발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전기차 시장을 선도하는 테슬라 차량에 카플레이가 도입된다면, 애플 입장에서는 자사 제품 생태계 내 사용자 유지를 위한 중대한 성과가 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제너럴모터스(GM)를 포함한 일부 자동차 제조사들은 최근 자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개발에 집중하기 위해 차량에서 카플레이를 제거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고급형 버전인 카플레이 울트라는 시장에서 뚜렷한 반응을 얻지 못하고 있다. 몇 년 전 공개적으로 지원을 약속했던 아우디와 메르세데스-벤츠 등 주요 제조사들도 현재로서는 해당 기능을 도입할 계획이 없다고 입장을 바꾼 상태다.
kimhyun01@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