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이드 외면, 독자전략 고집이 패착
[뉴스핌=박영국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의 윈도우폰7 OS는 노키아 제품에 차별화를 가져다 줄 것이다."
최근 WSJ 주최 '올씽디지털' 행사에서 MS와의 협력관계에 대한 스테판 엘롭 노키아 CEO의 발언이다.
그의 발언은 노키아로 하여금 '스마트폰 시대 부적응자'로 전락하도록 만든, 나아가 세계 1위 휴대폰 제조사의 위상마저 흔들리게 만든 원인으로 꼽히는 '독자전략'을 앞으로도 계속 유지하겠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노키아의 재기'를 기대하는 이들에게는 그다지 반갑지 않은 소식이다.
◆시가총액 266조원에서 27조원으로…10분의 1토막
최근 시장에서 들려오는 노키아에 대한 소식은 온통 부정적인 것들로 가득하다.
2기 영업이익 목표를 6~9%에서 손익분기점으로 하향 조정하는가 하면, 주가는 최근 6개월 동안 3분의 1 수준으로 하락했다.
11년 전인 2000년 3월 266조원에 달했던 시가총액은 10분의 1 수준인 27조원까지 추락했다. 이는 삼성전자의 20% 수준이며, 대만 업체인 HTC보다도 낮은 규모다.
시가총액이 급락하며 '만만한 기업'이 되다보니 MS로의 피인수설도 나오고 있다.
지난 1998년 모토로라를 제치고 세계 휴대폰 시장의 왕좌에 오른 이후 13년 만의 최대 굴욕이다.
◆스마트폰 시대 부적응…피처폰은 中기업 맹추격
노키아의 몰락 원인으로는 단연 '스마트폰 시대 부적응'이 꼽힌다. 더 구체적으로는 '게임의 룰'이 바뀐 걸 모른 채 막강한 시장점유율만 믿고 독자 노선을 고집했다는 점이 노키아가 저지른 가장 큰 잘못으로 지적되고 있다.
물론, 여전히 판매대수 기준으로 노키아는 세계 1위 기업이다. 스마트폰 판매량도 1위다. 하지만 돈은 많이 벌지 못했다.
1분기 노키아의 휴대폰 판매량은 1억850만대로 1위를 유지했지만, 매출은 103억달러(약 11조원)에 그치며 같은 기간 7천만대를 판매한 삼성전자 통신부문(10조6400억원)과 비슷한 수준에 머물렀다.
전체 휴대폰 판매량 중 피처폰(일반 휴대폰) 비중이 높고, 스마트폰 분야에서도 저가폰 중심의 전략을 취한 결과다.
노키아의 평균 휴대폰 판매단가는 10만원으로 삼성전자(15만원)보다 월등히 낮다. 스마트폰인 아이폰만 판매하는 애플(70만원)과 비교하면 격차가 더욱 크다.
피처폰 시장에서의 경쟁도 만만치 않다. 저가 제품을 앞세운 중국 ZTE는 지난해 4분기 전체 휴대폰 시장에서 전년 동기대비 76.8% 증가한 1천680만대의 판매량과 1.4%포인트 확대된 4.2%의 시장점유율을 기록했다(IDC 집계). 같은 기간 노키아는 2.4%의 판매량 감소와 6.4%포인트의 시장점유율 축소를 겪었다.
◆독자 OS 고집이 패착…안드로이드 진영 끝내 외면
스마트폰 시장에서 노키아가 고전한 원인의 상당 부분은 심비안OS와 연관된다. 다른 휴대폰 제조사들이 애플 iOS에 맞서 안드로이드 진영으로 뭉친 반면, 노키아는 홀로 심비안OS를 고수하며 소비자들의 외면을 받았다.
iOS가 '아이폰'이라는 단일 단말기로도 전체 OS 시장에서 19%를 상회하는 점유율을 기록한 배경에는 앱스토어의 막강한 애플리케이션 공급 능력이 존재한다. 후발 기업들이 앱스토어에 필적할 만한 애플리케이션 장터를 만들기 위해서는 힘의 결집이 필요했고, 그 구심점이 안드로이드 마켓이었다. 노키아는 그 일을 독자적으로 하려 했고, 결과적으로 실패했다.
뼈아픈 실패를 겪고도 노키아는 끝내 안드로이드 진영에 손을 내밀지 않았다. 심비안OS에서의 실패를 만회하기 위해 노키아가 택한 전략은 MS와 손잡는 것이었다.
엘롭 CEO는 구글을 협력 파트너로 정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안드로이드가 차별화에 도움이 안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안드로이드 진영과 차별화를 꾀하겠다는 전략이지만, 모바일 OS 시장에서의 점유율이 5.6%에 불과한 윈도우로의 방향 전환은 그다지 현명하지 못한 결정이라는 게 외부의 시각이다.
오히려 OS를 심비안에서 윈도우폰7으로 교체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삼성전자 '안드로이드-독자OS' 병행 전략 참고해야
사실, 스마트폰 OS의 안드로이드 일원화는 상당히 위험한 일일 수 있다. PC 시장에서 MS가 그랬던 것처럼 구글의 시장지배력 확대는 제조사들을 향한 횡포로 이어질 수 있는 것.
따라서 노키아와 같은 독자 OS 전략도 제조사 입장에서는 필요한 일이다. 다만, 노키아는 OS 전략에서 좀 더 현명할 필요가 있었다.
OS 전략에 있어 노키아가 참고할 만한 기업은 삼성전자다. 삼성전자는 일찌감치 독자OS 개발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지난 2009년부터 '바다' OS 개발을 진행해 왔다.
하지만 삼성전자는 '바다 OS' 탑재 제품을 주력 스마트폰으로 내세우는 무리수를 두진 않았다. 삼성전자의 주력 스마트폰 모델은 안드로이드를 탑재한 '갤럭시' 시리즈이며, '바다 OS'를 탑재한 제품은 '웨이브'라는 별도 라인업을 구축하고 있다.
이를 통해 삼성전자는 안드로이드 진영을 이끌면서 '갤럭시' 시리즈로 큰 성공을 거두는 한편, '바다 OS'를 육성하며 '포스트 안드로이드' 시대에 대비하고 있다.
지난 1998년 노키아가 모토로라를 넘어 휴대폰 시장의 제왕으로 등극한 비결로 꼽힌 요소는 '혁신'이었다. 13년간 지켜온 왕좌가 흔들리는 지금 노키아에게 필요한 것은 '고집'을 벗어던진 또 한 번의 '혁신'이다.
글로벌 투자시대의 프리미엄 마켓정보 “뉴스핌 골드 클럽”
[뉴스핌 Newspim] 박영국 기자 (24py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