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속보

더보기

[레노버, 모토로라 인수] '스마트폰과 스마트TV' 삼성 아성에 '도전장'

기사입력 : 2014년02월03일 13:48

최종수정 : 2014년02월03일 15:11

M&A와 현지화전략 통해 인재와 기술 확보, 세계 최대 IT기업 야심

[뉴스핌=강소영 기자] 

[그래픽=송유미 미술기자]


중국의 컴퓨터 강자 레노버(Lenovo 聯想 롄샹)가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종합 정보기술(IT)기업으로 거침없는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레노버는 지난달 23일 미국 IBM으로부터 서버사업 부분을 인수한데 이어 불과 엿새만에 구글로부터 모토로라 스마트폰 사업부를 인수했다. 이어 중국에서는 요즘 레노버가 소니의 PC사업 부문을 다음 '사냥감'으로 골랐다는 소문이 빠르게 퍼지고 있다.

레노버가 모토로라의 스마트폰 사업부문 인수는 모토로라가 보유한 특허 소유권이 빠져있어 삼성전자의 '아성'을 위협하기엔 역부족이라는 분석도 있지만, 레노버가 PC 부분에서 IBM과의 격차를 좁혀간 '역사'를 돌이켜 보면 결코 방심할 수 없다.

1981년 IBM이 세계 최초의 개인용 컴퓨터(PC)를 출시한 후 3년이 지난 1984년 레노버는 중국 수도 베이징의 중관촌에 컴퓨터 회사의 '간판'을 걸었다 . 컴퓨터 산업의 성장가능성에 눈뜬 레노버 창립자이자 초대 CEO 류촨즈(柳傳志)가 자본금 20만 위안으로 회사를 설립한 것. 

창립 초기 직원 11명, 말이 컴퓨터 회사였지 실제로는 컴퓨터 수입 판매에 타자기를 제조하는 벤처 기업에 불과했다. 레노버는 회사 설립후 6년이 지난 1990년에서야 비로소 자사 브랜드의 로고가 찍힌 마이크로 컴퓨터를 출시할 수 있었다.

반면 IBM은 1992년 '싱크패드'로 노트북 컴퓨터 시대를 연데이어, 1993년에는 PC사업부를 설립하는 등 세계 컴퓨터 시장을 주도해나가고 있었다.

그러나 90년대 후반 레노버는 급격한 성장세와 함께 세계 시장에서 두각을 드러내며 IBM을 추격하기 시작했다. 1994년 홍콩거래소에 상장, 1998년 컴퓨터 100만 대 생산의 성과를 거두며 중국 컴퓨터 시장을 장악했다. 1999년에는 아시아 태평양 최대의 컴퓨터 제조업체로 성장했다.

2000년대 이후 레노버의 비상은 더욱 눈부셨다. 양위안칭(楊元慶) CEO로 수장을 교체한 후 레노버는 해외시장으로 눈을 돌렸다. 2003년 본격적인 글로벌 시장 진출을 앞두고 회사의 영문명을 '레전드(Legend·전설)'에서 새로움을 뜻하는 라틴어(novo)를 추가한 '레노버(Lenovo)'로 변경, 앞으로의 혁신경영을 예고했다.

2005년에는 미국 IBM의 PC 사업부문을 인수했다. 중국 컴퓨터 산업계의 '전설(레전드)'로 시작했던 레노버가 회사 창립 21년만에 세계 PC업계의 '전설'을 집어 삼키게 된 것이다. 2008년에는 포브스 선정 글로벌 500대 기업에 이름을 올렸다.

레노버의 시장에 대한 통찰력과 추진력은 2010년에도 어김없이 발휘됐다.  IT 산업의 중심축이 컴퓨터에서 스마트기기로 이동하는 변화를 정확히 읽어내고, 2010년 스마트폰을 출시, '대박'을 친 것. 2013년~2013년 1분기까지 중국 시장에서 레노버의 휴대전화 판매량은 360% 증가라는 폭발적인 성장세를 기록했다. 지난해 3분기 중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레노버의 판매량은 1080만 대(13.6%)를 기록, 삼성전자(21.6%)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레노버는 전통 PC사업분야에 스마트폰·스마트TV·태블릿PC를 합쳐 기업 성장의 엔진을 강화한  ′PC+′ 전략을 기초로 발빠른 사업 확장에 나서고 있다. 중국 언론과 업계 전문가는 2020년이면 레노버가 삼성전자를 추월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번 모토로라 휴대폰 사업부문 인수는 레노버가 삼성전자와의 격차 줄이기에 본격적으로 나섰음을 시사한다. 레노버는 스마트TV 분야에서도 삼성전자를 따라잡겠다는 다부진 꿈을 갖고 있다. 지난해 대만 훙하이 그룹과 난징(南京) 샤프 일렉트로닉스 인수 경합을 벌이는 등 TV 생산공장 인수 기회도 호시탐탐 노리고 있다.

지난해에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에 연구개발 본부 설립해 베이징과 싱가포르를 연계한 3개 본부 시스템을 완성, 중저가 시장인 신흥국가를 위주로 빠르게 세력을 확장하고 있다.



[뉴스핌 Newspim] 강소영 기자 (jsy@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뉴스핌-인공지능협회, CES2025 참관단 진행 [세종=뉴스핌] 이경태 기자 = 뉴스핌과 한국인공지능협회가 추진하는 CES2025 참관단이 오늘 출발했다. 최신 글로벌 정보통신산업(ICT) 기술이 집대성된 CES 행사장에서 참관단은 글로벌 시장의 미래를 내다볼 수 있게 됐다. 뉴스핌과 한국인공지능협회는 5~10일(현지 기준)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2025를 방문하는 참관단을 운영한다. 뉴스핌과 한국인공지능협회는 5~10일(현지 기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CES2025 참관단을 진행하며, 8일에는 'CES2025 인사이트 포럼'을 연다. [자료=뉴스핌DB] 2025.01.05 biggerthanseoul@newspim.com CES(Consumer Electronics Show)는 세계 최대의 정보 기술 및 가전 전시회로, 해마다 1월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된다. 이 전시회는 최신 기술과 혁신 제품을 선보이는 플랫폼으로, IT, 통신, 자동차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기업들이 참가해 신제품을 소개한다. 이번 참관단은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창업진흥원(창진원)이 운영하는 전시관 투어 프로그램에 참여한다. 창진원이 엄선한 국내 최고 전문가의 현장 안내에 동참한다. 창진원과 함께 하는 네트워크 행사도 뉴스핌이 협력, 글로벌 투자사를 비롯해 CES 2025 혁신상을 받은 스타트업과의 소통의 기회가 마련된다. 참관단은 이날 3일 출발해 오는 12일 돌아온다. 현지에서 진행하는 '뉴스핌-한국인공지능협회 CES2025 인사이트 포럼'을 통해 정부와 민간이 상호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CES2025 인사이트 포럼은 오는 8일 오후 6시께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다. Keith Lee(이원) 펜벤처스 이사가 참석해 글로벌 스타트업 진출과 투자에 대한 인사이트를 기조연설을 통해 전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김현수 하나증권 애널리스트가 이날 포럼에 참석, CES2025에 대한 리뷰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한국벤처캐피털 CES 참관단이 포럼에 참석해 글로벌 투자 및 한국 스타트업 투자 등을 논의한다. 이날 포럼에는 CES 혁신상을 수상한 네이션A 등 다수의 스타트업도 참석한다. 대한민국 1호 AI 생성형 영상 기업인 맥케이 역시 참석해 다수의 벤쳐캐피털과 소통을 할 예정이다. 맥케이는 AI PPL 사업의 국내 선두주자로 콘텐츠 사업 등에서 글로벌 시장의 관심을 받고 있다. 또 음재훈(Jay Eum) GFT 벤처러스 대표도 참석해 인사이트를 나눈다. GFT 벤처러스는 음재훈 대표와 제프 허브스트가 2021년 공동 설립한 미국 기반의 벤처캐피털 기업이다. 캘리포니아 팔로알토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약 1억 4000만달러 규모의 펀드를 조성한 것으로 파악됐다. biggerthanseoul@newspim.com 2025-01-05 16:57
사진
'애경家 3세' 채문선 유튜브 돌연 폐쇄 [서울=뉴스핌] 남라다 기자 = 애경그룹의 '오너 3세'인 채문선 탈리다쿰(Talitha Koum) 대표가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이 폐쇄됐다. 지난달 29일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여파로 채 대표가 채널을 삭제한 것이 아니냐는 의견이 나온다. 2일 업계에 따르면 탈리다쿰 유튜브 채널은 현재 사라지고 관련 숏츠 영상만 노출돼 있는 상태다.  애경그룹 '오너가 3세' 채문선 탈리다쿰(Talitha Koum) 대표가 유튜버로 데뷔했다. 사진은 탈리다쿰 유튜브 채널 내 '채문선의 달리다 꿈' 코너에서 발언하고 있는 채문선 대표 모습. [사진=유튜브 채널 '채문선의 달리다 꿈' 영상 갈무리] 채 대표가 지난해 9월 탈리다쿰 유튜브 채널 내에 '채문선의 달리다 꿈' 코너를 열고 유튜버 활동의 시작을 알린 지 3개월여 만이다. 일각에서는 애경그룹 계열사인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와 관련 있는 것 아니냐는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고 있다. 제주항공의 최대주주는 애경그룹이다. 애경그룹의 지주회사인 AK홀딩스가 제주항공의 지분 50.4%를 보유한 1대 주주로 올라 있다. 애경자산관리도 제주항공의 지분 3.22%를 갖고 있다. 제주항공 모회사인 애경그룹은 이번 여객기 참사 이후 책임론이 부각되면서 주가가 급락했다. 주가 하락으로 애경그룹 기업가치도 떨어졌다.  채문선 대표는 1986년생으로 장영신 애경그룹 회장의 손녀이자, 채형석 애경그룹 총괄부회장의 장녀다. 지난 2013년 '세아그룹 오너 3세' 이태성 세아홀딩스 대표(당시 상무)와 결혼했다. 비건 화장품 브랜드 '탈리다쿰'을 운영 중인 채 대표는 매일유업 외식사업부와 애경산업 마케팅 직무 등을 역임했다.  애경그룹은 장영신 회장의 남편인 고(故) 채몽인 창업주가 1954년 애경유지공업을 설립해 세탁비누를 생산하며 사업을 시작했다. 장남 채형석 총괄부회장이 제주 출신인 부친의 뜻에 따라 2005년 제주특별자치도와 손잡고 제주항공을 설립했다. 이번 참사 발생 후 채 총괄부회장이 무안 현장을 찾아 유족들에게 유족들에게 머리를 숙여 사죄의 뜻을 전했다. . nrd@newspim.com 2025-01-02 18:34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