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홍승훈 기자] "OECD국가 중 시가배당률이 국채수익률보다 낮은 나라는 우리와 터키밖엔 없다죠. 그러니 주식투자문화가 단타에서 벗어나질 못하는 겁니다."
지난 2일 한국거래소 기자실로 전화가 걸려왔다. 삼성전자 소액주주라고 소개한 이 투자자는 전일 뉴스핌이 보도한 <"노코멘트"… 애널리스트 손 떠난 삼성전자 실적> 기사를 보고 가슴이 후련했다며 말문을 열었다. 당시 기사는 최근 삼성전자가 이건희 회장 와병 속에서 경영승계에 따른 지배구조 문제, 이에 따른 증여세 이슈 등으로 회사측이 주가하락을 용인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증권가 관측을 토대로 썼다.
전화를 걸어 온 이 소액투자자는 삼성전자 주식을 사서 10년째 보유하고 있다고 했다. 삼성전자 주식 보유가치만 수십억원이라고 하니 언듯 '소액'이란 말이 다소 무색하긴 하다.
게다가 십 년 전 삼성전자 주가(40~50만원대)를 감안하면 투자 수익률만 200~300%다. 시세차익만 일반 서민이 상상하는 수준을 뛰어 넘는다. 삼성 주가가 요즘 실적쇼크로 떨어지긴 했지만 이를 이 만큼 들고 있는 투자자가 평범한 서민 기자가 보기엔 배부른 고민 같았다.
이를 예상했던지 그는 "손해봐서, 화가 나서 전화한 게 아닙니다"고 운을 뗐다. 대한민국 간판기업이자 글로벌기업으로 성장했지만 주주정책만은 여전히 구멍가게 수준의 전략을 펴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자 고민끝에 어렵게 전화연결을 했단다.
그는 '코리아디스카운트'의 더 큰 원인을 남북문제가 아닌 재벌의 지배구조라고 봤다. "해외에서 말하는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처음엔 북한리스크 때문인줄 알았다. 하지만 투자를 하면서 외국인 투자자들 상당수를 만나봤더니 그런 게 아니더라. 오히려 한국기업의 불투명한 지배구조에 대해 우려하는 시각이 많다"고 말했다.
최근 세간에 회자되는 삼성전자의 3분기 영업이익 5조원 추락 우려에 대해서도 "수많은 해외사업장을 활용하면 비용처리를 통해 이익을 상당부분 낮출 수 있다. 삼성의 실적 추락이 사실일지라도 삼성전자의 주주대응만을 두고 보면 주주에 대한 배려가 없어도 너무 없다"는 게 요지였다.
그렇다면 미국의 애플과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로 성장한 삼성전자의 주주정책은 대체 어느정도 수준일까.
삼성의 주주배당은 글로벌 평균을 크게 밑도는 게 사실이다. 지난해 삼성전자의 배당성향은 7.2%. 전년대비 소폭 늘었지만 경쟁사 애플의 배당성향(28.5%)과 비교하면 턱없이 낮다. 배당수익률 역시 1% 수준이다. 애플과 인텔 등 경쟁사들의 절반에 그친다. 지난 7년간 자사주 매입은 한 차례도 없었다.
월가의 유력 금융일간지인 월스트리트저널(WSJ) 지는 지난 7월 삼성전자에 대해 해외 큰 손들이 배당확대 등의 강한 압박을 하고 있다고 보도하며 삼성전자의 보수적인 경영스타일을 지적하기도 했다.
한 예로 삼성의 최근 상황을 애플의 2년전 모습과 비교했다. 1000억달러 현금성 자산을 보유하면서도 배당과 자사주 매입에 소극적이던 애플이 기업사냥꾼인 '칼 아이칸' 등 행동주의 투자자들의 거센 요구에 결국 배당을 확대했고 자사주도 매입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후 애플은 실적 목표치를 상향하지 않고도 지난해 주가가 66% 급등했다. 결국 삼성전자가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글로벌기업으로서 성장을 위해선 주주들의 요구에 귀를 더 기울여야 한다는 게 월스트리트저널의 결론이다.
비단 삼성전자만의 문제는 아니다. 한국거래소가 보통주 기준 지난해 12월 결산법인 상장회사 1786개 기업을 조사한 결과, 이 중 절반인 877개사가 배당을 실시했으나 2% 이상의 시가배당률을 보인 곳은 전체의 16%(286개사)에 불과했다.
이에 최경환 경제팀이 유보금 과세를 선언하며 기업의 배당확대를 유도하고 있지만 아직 기업들의 이렇다 할 변화 조짐은 없다. 애플은 성장을 위한 투자를 하지 않아서 이 같은 주주친화정책을 펼치는 걸까.
그럼에도 이 삼성전자 소액주주는 지금껏 10년을 보유한 이 주식을 계속 갖고 갈 거라고 한다. 100만원을 하회해도 그는 언젠가 삼성전자가 제 가치를 인정받을 날이 있을 거란 믿음을 내비쳤다.
"경영승계가 이뤄지면 배당, 자사주매입은 물론 액면분할도 할 것으로 봅니다. 그럼 주식으로서도 제 가치를 찾아가겠죠."
상속과 증여 이슈 속에서 인위적으로 주가를 누르고 있다는 관측이라든지 여전히 과거의 성장논리에 빠져 배당을 등한시하는 삼성의 행태가 현대차 등 마찬가지로 지배구조 이슈가 남아있는 여러 대기업들에서도 반복될까 우려하는 이 소액주주의 모습에서 글로벌기업 '삼성'의 행보가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뉴스핌 Newspim] 홍승훈 기자 (deerbear@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