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Anda

속보

더보기

[억만장자NOW] '차세대 버핏주' 5가지는?

기사입력 : 2014년12월03일 08:43

최종수정 : 2014년12월04일 05:09

제약회사 사노피, 오레오의 몬덜리즈 등에 주목

[뉴욕=뉴스핌 박민선 특파원]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투자자로 꼽히는 워렌 버핏의 포트폴리오 변화는 언제나 투자자들의 시선을 빼앗는다.

코카콜라,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웰스파고 등은 저평가된 주식을 골라 장기간 투자하는 워렌 버핏의 투자 방식을 대변해주는 이른바 '버핏주'의 대표 종목들로서 투자자들에게 너무나 익숙한 기업들이기도 하다.

그러나 버핏은 이들 대표주 뿐 아니라 꾸준히 새로운 종목으로의 투자 영역을 확대해가고 있어 그의 포트폴리오를 통해 제2의 코카콜라, 혹은 웰스파고를 발견하고자 하는 투자자들은 늘 북적인다.

<사진=AP/뉴시스>

전문가들은 현재 버핏의 포트폴리오에서 관심을 기울여볼 만한 종목으로 크게 5가지 정도를 꼽고 있다.

가장 먼저 사노피(Sanofi. 종목코드:SNY)는 프랑스에 본사를 두고 있는 다국적 제약 회사로 최근 몇년간 버핏이 조금씩 관심을 키우고 있는 기업이다. 버핏은 지난 2009년 1분기 SNY의 주식을 처음 매수하기 시작한 이후 현재 SNY의 주식 390만주, 1억8000만달러 규모를 보유 중이다.

세계 4위 규모인 SNY는 올해 경영진 문제와 당뇨병 관련 약물에 대한 부진한 판매 전망 등으로 어려운 한해를 겪어왔다. 올해 SNY의 수익률은 마이너스(-) 12% 수준.

그러나 최근 2020년 18개의 신약을 출시할 것이라는 계획을 밝히는 등 향후 5년간 최대 376억달러의 매출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아 시장의 관심을 받고 있다.

전문가들은 SNY의 폭넓은 라인업과 백신 등은 강력한 현금 흐름을 마련하는 데 유리하다고 평가하고 있다. 또한 기존 제품과 신제품 출시의 성장은 인슐린 시장에서 낮은 가격으로 인한 영향을 상쇄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당뇨병 환자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SNY의 란투스가 시장에서 강한 성장세를 보이며 업계의 선도적 지위를 유지한다는 점은 투자 매력의 안정성을 높이고 있다는 평가다.

다음으로 식료품업체인 몬덜리즈인터내셔널(Mondelez International:MDLZ)도 버핏의 효자 종목으로 자리를 굳힐 것이라는 기대를 받고 있다. 

오레오 쿠키와 리츠 크래커 등으로 유명한 MDLZ는 버핏이 지난 2012년 4분기 당시 MDLZ의 주식 1280만주를 공개한 뒤 2개 분기동안 자신의 보유 지분을 빠르게 처분했지만 이후 이 회사의 주식 매매를 중단한 채 흐름을 주시하고 있다.

버핏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MDLZ 주식 규모는 5780만주로 그가 지금까지 이 주식을 통해 거둔 수익률은 52% 가량이다.

버핏 뿐 아니라 조지 소로스와 MDLZ 주식 1억2920만주를 보유하고 있으며 레이 달리오도 MDLZ에 대해 지난 분기 '비중확대' 포지션을 취함으로써 보유 규모를 1410만주까지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와브코 홀딩스(WABCO Holdings/WBC)는 버핏이 지난 2012년 3분기부터 투자를 시작한 종목으로 같은해 4분기에 410만주까지 규모를 늘리며 관심을 기울여왔다. 이 회사의 주가는 지난 2년여간 70% 가량의 급등을 보일 만큼 버핏의 전체 투자 성과 중 알짜배기로 자리를 굳히고 있다.

차량용 전자 기계 제조업체인 WBC는 지난 10월 말 올해 연간 실적 전망치를 새롭게 제시하면서 EPS 예상치로 주당 5.45~5.55달러를 예상해 시장 전망치를 충족시킨 바 있다.

다음으로 뉴욕멜론은행(Bank of New York Mellon/BK)은 버핏이 4년째 주시하고 있는 종목이다. 

버핏이 은행주에 대한 투자 포트폴리오를 확대하던 2010년 당시 200만주 가량을 사들인 것을 시작으로 버핏은 현재 BK주식 규모를 2340만주까지 늘려놨다. 

그는 자신의 평균 매수가 대비 70% 가량 높은 상태에서 일부 주식을 차익실현에 나서는 등 BK를 통해 쏠쏠한 투자 성과를 거두는 데 성공하고 있어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또 토크마크 코퍼레이션(Torchmark Corperation/종목코드: TMK)는 버핏이 640만주 가량 보유하고 있는 종목이다. 지난 3분기 기준 TMK는 억만장자들의 공개 주식 포트폴리오 중 0.31%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TMK는 지난해 6%의 수익률을 기록했으며 지난달 오는 1월 중 주당 13센트위 분기 배당금 지급 계획을 밝힌 바 있다.


[뉴스핌 Newspim] 박민선 기자 (pms0712@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尹탄핵심판 '인용' 51.9% vs '기각' 44.8% [서울=뉴스핌] 김가희 기자 = 국민 과반이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를 인용해야 한다고 응답한 여론조사가 7일 공개됐다. 기각 여론도 만만치 않았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가 지난 5일부터 6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자동응답시스템(ARS) 조사 결과에 따르면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에 대해 어떤 결론을 내야 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 51.9%는 '인용해야 한다'고 답했다. '기각해야 한다'는 답변은 44.8%였다. 격차는 7.1%포인트(p) 였다. '잘 모름'은 3.3%였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인용해야 한다 50.1%, 기각해야 한다 47.7%, 잘 모름 2.2% 였다. 여성은 인용해야 한다 53.6%, 기각해야 한다 42.0%, 잘 모름 4.3%였다.  연령별로는 ▲만 18세~29세(인용 52.5%, 기각 46.6%, 잘 모름 0.9%) ▲30대(인용 56.9%, 기각 41.0%, 잘 모름 2.1%) ▲40대(인용 68.7%, 기각 30.3%, 잘 모름 1.0%) ▲50대(인용 60.9%, 기각 36.0%, 잘 모름 3.0%)에서 인용 의견이 더 많았다. 반면 ▲60대(인용 42.8%, 기각 53.9%, 잘 모름 3.3%) ▲70대 이상(인용 25.5%, 기각 64.7%, 잘 모름 9.8%)은 기각 응답이 더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대전·충청·세종에서 인용해야 한다는 응답(61.7%)이 가장 높았다. 기각은 37.4%, 잘 모름 0.9%였다. ▲광주·전남·전북(인용 56.5%, 기각 37.1%, 잘 모름 6.3%) ▲부산·울산·경남(인용 53.1%, 기각 42.5%, 잘 모름 4.4%) ▲서울(인용 51.2%, 기각 47.8%, 잘 모름 1.0%) ▲경기·인천(인용 50.5%, 기각 46.7%, 잘 모름 2.8%) ▲강원·제주(인용 47.2%, 기각 45.5%, 잘 모름 7.3%) ▲대구·경북(인용 42.7%, 기각 52.0%, 잘 모름 5.2%) 순이었다. 지지 정당별로 보면 ▲더불어민주당 지지자 90.5% ▲조국혁신당 지지자 93.0% ▲개혁신당 지지자 84.7% ▲진보당 지지자 86.5%가 탄핵이 인용돼야 한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 87.6%는 탄핵 기각을, 7.9%는 탄핵 인용을 주장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탄핵이 인용되면 대통령이 파면돼 권력 공백과 정국 혼란이 발생할 수 있지만, 국민의 민주주의 수호와 대통령의 중대한 잘못에 대한 바로잡기가 가능해질 수 있다는 여론이 우세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헌법재판소가 향후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에 대해 어떤 결론을 내릴지는 법적 근거와 증거의 유무, 국가와 국민에게 미친 영향, 사회적 여론과 정치적 상황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탄핵 절차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확보해 정치적 편향성을 최소화해야 국민의 신뢰를 얻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 활용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kgml925@newspim.com 2025-02-07 11:00
사진
정당지지율 국민의힘 43.2%·민주 41.4%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설날 전까지 10% 포인트(p) 가까이 차이를 보였던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이 오차 범위 내 접전 양상으로 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상승세를 타던 국민의힘 지지율은 꺾였고, 떨어지던 민주당 지지율은 소폭 회복됐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5~6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ARS(자동 응답시스템) 조사해 7일 발표한 결과 국민의힘 지지율은 43.2%로 집계됐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은 41.4%였다. 지난달 22일 발표된 조사와 비교해 국민의힘은 5.3%p 하락한 반면 민주당은 2.6%p 상승하면서 양당 지지율 격차는 9.7%p에서 1.8%p로 줄었다. 조국혁신당은 4.5%로 지난조사보다 0.7%p 상승했고, 개혁신당은 1.5%로 0.2%p 올랐다. 진보당은 0.7%(+0.3%p), '기타다른정당' 2.3%(+0.6%p), '지지정당없음' 5.9%(+4.2%p), '잘모름'은 0.5%(+0.4%p)로 기록됐다. 연령별로 보면 18~30대, 60대 이상은 국민의힘을, 40~50대는 민주당을 가장 많이 지지했다. 만 18세~29세는 국민의힘 46.3%, 민주당 35.5% 조국혁신당 5.2%, 개혁신당 3.9%, 진보당 1.2%, 기타다른정당 3.4%, 지지정당없음 3.3%, 잘모름 1.2%였다. 30대는 국민의힘 41.1%, 민주당 39.9%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2.6%,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8.7%, 잘모름 0.8%였다. 40대는 민주당이 55.9%, 국민의힘 29.0%, 조국혁신당 5.1%, 개혁신당 0.5%, 기타다른정당 2.1%, 지지정당없음 7.4%였다. 50대는 민주당 47.0% 국민의힘 35.3%, 조국혁신당 7.2%, 개혁신당 2.3%, 진보당 1.4%, 기타다른정당 0.4%, 지지정당없음 6.4%였다. 60대는 국민의힘 53.7%, 민주당 35.7%, 조국혁신당 2.8%, 진보당 0.5%,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4.4%였다. 70대 이상은 국민의힘 56.9%, 민주당 31.6%, 조국혁신당 1.9%, 진보당 1.0%,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4.8%였다. 국민의힘은 지역별로 서울과 경기·인천,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에서 높은 지지율을 기록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광주·전남·전북에서는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앞섰다. 서울은 국민의힘 47.2%, 민주당 38.5%, 조국혁신당 1.4%, 개혁신당 0.4% 진보당 1.4%,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8.3%였다. 경기·인천은 국민의힘 43.3%, 민주당 39.7%, 조국혁신당 4.0%, 개혁신당 1.5%, 진보당 0.9%, 기타다른정당 3.3%, 지지정당없음 6.0%, 잘모름 1.4%였다. 대전·충청·세종은 민주당 53.5%, 국민의힘 36.5%, 조국혁신당 4.5%, 개혁신당 0.8%, 기타다른정당 2.0%, 지지정당없음 2.6%였다. 강원·제주는 민주당 59.4%, 국민의힘 33.3%, 조국혁신당 2.4%, 지지정당없음 4.9%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국민의힘 44.4%, 민주당 35.2%, 조국혁신당 9.0%, 개혁신당 1.8%, 기타다른정당 1.5%, 지지정당없음 8.1%였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60%, 민주당 28.4%, 조국혁신당 3.7%, 개혁신당 2.8%, 통합진보당 1.5%, 기타다른정당 1.7%, 지지정당없음 1.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민주당 54.6%, 국민의힘 28.4%, 조국혁신당 6.9%, 개혁신당 3.5%, 기타다른정당 1.0%, 지지정당없음 5.5%였다. 성별로는 남성은 국민의힘 46.0%, 민주당 38.1%, 조국혁신당 3.8%, 개혁신당 2.5%, 진보당 0.8%, 기타다른정당 2.1%, 지지정당없음 6.7%였다. 여성은 민주당 44.6%, 국민의힘 40.5%, 조국혁신당 5.2%, 개혁신당 0.5%, 진보당 0.6%, 기타다른정당 2.5%, 지지정당없음 5.1%, 잘모름 0.9%였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국민의힘 지도부가 단체 면회를 가는 등 모습이 민주당 지지층을 결집시켰고, 일부 중도층도 야권으로 이동하면서 국민의힘 지지율은 큰 폭으로 하락한 반면 민주당 지지율은 소폭 상승했다"며 "여론은 언제든 변화할 수 있음을 보여준 결과"라고 분석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07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