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보유고 급감…시장 불투명성 지속돼
[뉴스핌=노종빈 기자] 러시아 루블화 가치가 폭락하면서 주식시장도 급락세를 보이는 등 러시아 통화 위기가 확산 양상을 보이고 있다.
<사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
◆ 루블화 폭락 배경에는 러시아 정부 무능
러시아 중앙은행은 전일 기준금리를 10.5%에서 17%로 전격적으로 올렸음에도 루블화 폭락세를 진정시키는 데 실패했다.
이 같은 러시아의 금융위기 배경에는 정부와 중앙은행의 정책 실기와 무능이 자리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러시아 루블화 하락에 따른 위기는 직접적으로는 국제유가 급락으로 촉발됐다. 하지만 국제유가는 배럴당 60달러 수준에서 등락을 보이면서 안정을 찾아가고 있는 모습이다.
반면 러시아 증시와 루블화는 여전히 불안정하다. 서방진영의 경제제재와 유가 급락에 따라 러시아 기업들이 유럽에서 발행한 채권들이 상환되거나 대환되기는 어려워 보이기 때문이다.
◆ 외환보유고 급감…정책 실기 가능성
지난달까지 러시아의 금보유고와 IMF 특별인출권(SDR)을 제외한 외환보유고는 3610억달러 수준으로 1년 전에 비해 21.7% 줄어들었다.
여기에 내년 말까지 만기가 돌아오는 러시아 대외채무는 1250억달러에 이르고 있다. 반면 올해 6월 현재 러시아 민간부문의 대외채무는 5020억달러로 지난 2007년말 3250억달러에 비해 늘어났다.
여기에 러시아 기업들의 해외 자회사들이 발행한 채권은 포함돼 있지 않다.
신흥시장 기업들의 해외 자회사들이 지난 2012년 6월부터 1년간 발행한 채권은 950억달러 규모로 선진국 기업 해외자회사들의 발행액 320억달러에 비해 약 3배 많았다.
러시아 정부의 정책 실기도 작용하고 있다. 일례로 러시아 당국은 서방의 경제제재에 맞서 유럽으로부터의 음식료품 직접 수입을 금지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벨로루시를 통한 2차 수입 형태로 변하면서 더 높은 음식료품 비용을 초래하고 있다.
◆ 시장 불투명성 지속…파국 앞둬
이달 초 러시아의 2015년~2017년 연방 예산안은 연간 2.5%의 국내총생산(GDP) 성장과 5.5% 물가인상, 배럴당 96달러의 국제유가를 전제로 하고 있다.
하지만 불과 2주 만에 국가 예산 자체가 대단히 비현실적인 상황이 됐다.
지난 2008~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러시아 중앙은행은 금융시장 혼란을 막기 위해 금리를 13%로 올린 적이 있다. 당시 러시아는 GDP 8%대 하락 등의 우여곡절 끝에 사태를 수습할 수 있었다.
하지만 러시아 중앙은행은 이번 루블화 폭락에 따른 외환위기를 막기 위해 전일 기준금리를 17%로 올렸지만 시장 상황은 여전히 불투명하며 개선되지 않고 있다.
이에 따라 서방의 경제제재가 해제되지 않고 유가가 반등하지 않는다면 러시아 경제는 최악의 파국을 맞게 될 전망이다.
[뉴스핌 Newspim] 노종빈 기자 (unti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