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Anda 중국

속보

더보기

상반기 10대 M&A에 나타난 중국 산업 뉴트렌드

기사입력 : 2015년06월22일 17:32

최종수정 : 2015년06월26일 08:02

올해 상반기 M&A 2014년 전체 규모에 육박

이 기사는 6월 22일 오후 5시 32분 뉴스핌의 프리미엄 뉴스 ′안다(ANDA)′에서 표출한 기사입니다.

[뉴스핌=강소영 기자] 2014년에 이어 올해도 중국 인수·합병(M&A) 시장이 폭발적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2015년 1월부터 5월 31일까지 중국에서 진행된 M&A 건수는 총 880건(지분투자 포함), 거래규모는 278억 달러(약 30조 7718억 원)에 달한다. 반년도 채 되지않아  2014년도 1년 M&A 시장 규모인 304억 달러 수준에 다다르고 있는 것. 지난해 중국의 M&A 시장이 전년 대비 89%의 성장률을 기록한 점을 고려하면 올해 시장의 뜨거운 열기를 실감할 수 있다.

올해 상반기 M&A 시장의 특징을 인물·업종·내용 면으로 분류해 '키워드'로 정리하면 '마윈, 전자상거래, 업계 간 통합 가속화'로 정리할 수 있다. 

시장의 관심이 집중된 10건의 M&A 중 알리바바와 관련된 거래가 4건에 달한다. 알리바바는 기업 인수와 합병, 지분투자를 통해 스마트폰·엔터테인먼트·빅데이터 사업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업종별로 보면 전자상거래 관련 분야의 업계 통합이 두드러졌다. 특히 호텔·항공권·여행상품 등을 인터넷으로 예약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관광 업체들이 경쟁 관계에서 협력사로 결합하는 경향이 눈에 띄었다. 중국 온라인 관광 업계가 대형화하고 있음을 짐작게 한다. 

업계 통합과 대형화는 다른 분야에서도 활발하게 진행됐다. 온라인 뮤직 서비스, 외식, 생활정보 포털 등 다양한 분야의 전자상거래 업체가 합병을 통해 시장 점유율과 영향력 확대에 나섰다. 

중국의 투자전문 분석 매체 PE데일리가 올해 상반기 시장에서 가장 관심을 받은 M&A 사례 10건을 골라 보도한 내용을 정리해 소개한다. 



1. 알리바바, 스마트폰 업체에 대규모 투자

올해 2월 알리바바는 중국 스마트폰 제조업체 메이주(魅族)에 5억 9000만 달러(약 6530억 7100만 원)를 투자했다. 알리바바 투자 후 하이퉁카이위안펀드도 메이주에 6000만 달러를 투자했다.

메이주에 대한 투자는 알리바바가 미국 증시 상장 후 진행한 최대 규모 투자라는 점과 알리바바의 스마트폰 업계 진출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큰 화제가 됐다.

앞으로 메이주는 알리바바 산하의 스마트 클라우드 플랫폼과 메이주의 시스템을 연결, 알리바바의 클라우드 플랫폼에 최적화된 스마트폰을 생산할 예정이다.

2. 콜택시 앱 양대 산맥 디디다처와 콰이더다처 합병

중국의 양대 콜택시 앱 기업 디디다처(滴滴打車)와 콰이더다처(快的打車)는 2월 합병 소식을 전했다. 그간 중국 모바일 차량 예약 시장에서 치열하게 경쟁하던 경쟁사 간의 합병 결정에 시장은 놀라움을 감추지 못했다. 모바일 차량 예약 업계의 과도한 경쟁으로 수익성이 악화되자 전략적 통합을 결정한 것으로 풀이된다.

디디다처와 콰이더다처의 합병으로 중국에는 최대 규모의 모바일 차량 예약 시스템이 탄생하게 됐다. 그러나 양사는 디디다처와 콰이더다처를 하나의 상품으로 결합하지 않고, 독립적인 영업 방식을 고수하기로 했다.

디디다처와 콰이더다처의 합병은 이 두 기업 배후의 투자자가 텐센트와 알리바바라는 점에서 더욱 눈길을 끌었다. IT 업계의 경쟁사인 두 투자자가 콜택시 시장에선 손을 붙잡게 된 상황이 연출됐기 때문. 이번 합병으로 IT 업계의 숙적이 '사돈'지간이 됐다는 우스갯소리도 나왔다.

디디다처는 4차례에 걸쳐 텐센트로부터 8억 달러의 투자금을 유치했고, 택시 결제 시에는 텐센트의 온라인 결제 시스템인 위챗페이(微信支付)로 연결된다. 콰이더다처는 5차례에 걸쳐 알리바바의 자금 8억 달러를 유치했고, 택시 이용료 결제는 알리페이를 이용한다.

3. 알리바바, 샤미뮤직 톈톈둥팅 인수로 온라인음악 사업 강화

알리바바는 3월 15일 온라인 음악다운로드 업체인 샤미뮤직(蝦米音樂)과 톈톈둥팅(天天動聽)을 인수해 아리뮤직(阿里音樂)을 설립한다고 밝혔다.

아리뮤직은 온라인 뮤직 다운로드 서비스 외에도 중국의 유명 음반회사와 협력해 신인 음악가 발굴하는 등 엔터테인먼트 분야에 대한 투자를 확대할 예정이다. 

4. 차이나라이프 미국 우버택시에 2억 달러 투자

4월에는 중국의 대형 보험사 차이나라이프(中國人壽)가 미국의 콜택시 앱 업체 우버(Uber)에 2억 달러를 투자했다. 우버는 2013년 11월 중국 시장에 진출했지만, 현지 사업이 순탄치 않은 상황이다.

그러나 2014년 중국 대형 검색엔진 바이두(百度)를 전략적 파트너로 영입했고, 올해는 차이나라이프의 투자를 유치해 중국 시장 개척을 위한 '실탄' 마련에 성공했다.

바이두가 보유한 방대한 중국 지도는 우버의 중국 시장 영업에 결정적 역할을 할 빅데이터 자료가 될 것이고, 바이두는 중국 정부와의 소통에서도 우버의 든든한 후원자가 될 전망이다.

차이나라이프는 우버 서비스 이용에 대한 안전성 문제를 해결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카풀 문화가 생소한 중국에서는 모르는 사람과 함께 차량을 이용하는 데 막연한 두려움을 느끼는 소비자가 많다. 차이나라이프가 이런 소비자를 겨냥한 자동차 보험을 출시하면 양사는 윈윈 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5. 생활정보 포털업계 1·2위 58둥청(同城)과 간지왕(趕集網) 합병

구인구직, 부동산 임대, 중고 매매 등 종합 생활 서비스 정보 제공 업체인 58둥청(同城)과 간지왕(趕集網)이 4월 16일 합병을 발표했다. 58둥청은 현금 4억 1220만 달러와 ADS(미국주식예탁증권) 1700만주로 간지왕 지분 43.2%를 인수했다.

양사는 합병 후에도 58둥청과 간지왕을 독립적으로 운영하기로 했다. 간지왕은 2009년 이후 블루런벤처스(BlueRun Ventures), 세콰이어캐피탈(Sequoia Capital), 온타리오교직원연금(OTTP), 맥쿼리 등 다양한 국내외 투자자로부터 3억 8800만 달러를 유치한 바 있다.

업계 1·2위 업체의 합병으로 중국의 생활정보 포털 업계는 사실상 한 업체가 장악하는 독점구도가 형성됐다.

6. 징둥상청(JD닷컴), 투뉴닷컴(tuniu.com) 지분 인수

5월 8일 온라인 여행 상품 예약 사이트 투뉴닷컴(tuniu.com)은 징둥상청, 씨트립, 테마섹, 세콰이어캐피털 등 국내외 투자자로부터 5억 달러를 유치했다고 발표했다.

이중 징둥상청이 2억 5000만 달러의 현금과 1억 달러 상당의 경영 지원을 약속하고 투뉴왕의 지분 27.5%를 인수해 최대 주주가 됐다.

징둥상청은 빅데이터, 금융서비스, 트래픽 관리 등 다방면에서 투뉴닷컴을 지원할 예정이다. 투뉴왕은 징둥상청 산하 온라인 여행 플랫폼의 운영을 전담하고, 자사의 상품을 징둥상청에서 판매할 수 있게 됐다.

7. 씨트립(携程), 이룽지분 62.4% 인수

5월 22일 중국 온라인 관광 업계의 강자 씨트립(携程 셰청)이 글로벌 최대 온라인 여행 예약 사이트 익스피디아로부터 이룽(藝龍)의 지분 62.4%를 인수한다고 발표했다.

이룽은 중국 온라인 관광 업계에서 씨트립과 '쌍벽'을 이루는 업체로, 양사는 지난 10여 년간 치열한 경쟁을 펼쳐왔다. '적수'나 다름없는 업계 공룡의 연합에 시장은 크게 놀랐다.

시장 점유율이 높은 두 업체가 합병하면서 중국 온라인 관광 시장은 다수의 업체가 경쟁하던 구조에서 벗어나 소수의 대형 업체가 시장을 장악하는 구도로 변화하고 있다. 온라인 호텔 예약 시장만 보더라도 셰청과 이룽이 전체 시장의 50%를 장악하고 있다.

한편, 온라인 여행 예약 시장에서 BAT(바이두, 알리바바, 텐센트)의 영향력은 점점 약해지고 있다.

8. 알리바바, 8억 3000만 위안에 위에커소프트웨어(粤科軟件) 인수

6월 2일 알리바바픽처스(阿里影業)는 영화티켓판매 시스템 제공업체인 위에커소프트웨어의 지적재산권을 양도받는 방식으로 이 업체를 인수한다고 밝혔다. 인수 비용은 현금 8억 3000만 위안으로 알려졌다. 관련 절차가 마무리되면 위에커소프트웨어는 알리바바픽처스의 완전 자회사가 된다.

위에커소프트웨어 인수로 알리바바픽처스는 영화 시장에 대한 영향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을 전망이다. 이 업체는 중국 전체 영화관의 1/3에 해당하는 1500개 영화관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9. 알리바바, 제일재경일보(第一財經日報)에 12억 위안 투자

6월 5일 알리바바그룹은 상하이미디어그룹(SMG) 본사에서 중국의 종합경제매체 제일재경(第一財經)의 지분 30%를 12억 위안에 매입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마윈 알리바바그룹 총재는 이 자리에서 양사의 협력이 빅데이터 자원 활용과 유료화를 위해서라고 강조했다. 마윈 총재가 자신이 줄곧 강조해온 DT(data technology) 시대를 위한 실질적 행동헤 나선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시장은 IT시대에 알리바바그룹이 눈부신 활약을 했던 것처럼 DT 시대의 포문 역시 알리바바가 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중국에서도 블룸버그와 같은 금융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유력 매체가 탄생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10. 워워(窩窩)닷컴, 홍콩 씨씨조인(ccjoin) 합병

6월 5일 중국의 생활 서비스 전자상거래 업체인 워워닷컴과 홍콩 씨씨조인이 합병을 발표했다. 두 업체는 양사의 플랫폼을 하나로 통합해 운영할 계획이다.

두 업체의 결합으로 중국에선 최대 규모의 외식 호텔 인터넷 예약 업체가 탄생하게 됐다.

[뉴스핌 Newspim] 강소영 기자 (jsy@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미중 관세협상, 명백한 중국의 승리" [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미중 관세협상에 대해 중국내에서는 미국에 대항해 '승리'를 거뒀다며 고무된 분위기다. 중국의 매체들은 13일 일제히 미중관세협상 결과를 보도하고 나섰다. 관영매체들은 '승리했다'는 표현을 자제하고 있지만, 협상이 성공적이었다는 논조를 유지했다. 중국의 SNS상에서는 미국에 대항해 중국이 승리했다는 반응 일색이다.  12일 미중 양국의 협상단은 스위스 제네바 공동성명을 통해 미국은 중국에 대한 추가 관세율을 145%에서 30%로, 중국은 미국에 대한 관세율을 125%에서 10%로 낮추기로 했다. 공동성명에서 양국은 추가적인 협상을 벌이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는 5년전인 2020년 1월 타결됐던 미중 관세협상 결과와는 차이가 크다. 당시 중국은 2000억달러 규모의 미국 제품 구매할 것을 약속했고, 강도 높은 지재권 보호 , 금융 서비스 시장 개방, 환율 투명성 강화 등을 보장했다. 이에 대한 대가로 미국은 관세를 일부 인하했다. 하지만 이번 미중 관세협상에서는 양국이 모두 동등하게 115%의 관세를 취소하거나 연기했다. 중국의 미국산 물품 구매나 시장개방에 대한 약속은 없었다. 양보 일변도였던 5년전과 달리 이번 미중 관세협상은 공평하고 평등했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미국 매체 블룸버그는 "이번 미중 무역협상에서 중국은 기대할 수 있는 최고의 결과를 얻었고, 미국은 끝내 양보했다"며 "시진핑(習近平) 주석의 강대강 전술이 효과를 거뒀다고 평가했다. 중국 매체 관찰자망은 "양국의 제네바 경제·무역 회담 공동성명 발표는 중국이 무역 전쟁에서 거둔 중대한 승리이자 중국이 투쟁을 견지한 결과"라며 "미국의 무역 괴롭힘에 맞서 항쟁할 용기가 조금도 없는 국가들과 비교하면 이번 승리의 무게가 더 무겁다"고 논평했다. 광다(光大)증권은 13일 보고서를 통해 "중국은 국제 무역 투쟁에서 패권을 두려워하지 않고 굳건하게 맞선 결과 단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중국은 가장 먼저 미국에 대등한 보복성 관세를 부과하는 한편 국내적 국제적으로 대응조치를 내놓았다"고 덧붙였다. 자오상(招商)증권은 "중국은 미국과 공평하고 평등한 협상을 진행했으며,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었다"고 호평했다. 이어 "중국은 우호적인 국가들을 확보하고 있었으며, 중국 경제의 대미 의존도를 낮췄고, 기술 진보와 군사력 확충 등이 이뤄졌다는 자신감을 바탕으로 이같은 성과를 냈다"고 분석했다. 여론이 지나치게 고무되는 것을 경계하는 논설기사도 나왔다. 신화사는 '중미 경제무역 회담이 세계 경제 압박을 낮추고 신뢰를 증진시켰다'라는 제목의 논설에서 "양국의 대화 재개는 기쁜 일이지만, 양국간의 의견 차이 해소는 복잡하고 어려우며 장기간이 소요된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국 오성홍기와 미국 성조기 [사진=로이터 뉴스핌] ys1744@newspim.com 2025-05-13 09:53
사진
대법 "대법원장 청문회 출석 곤란" [서울=뉴스핌] 이성화 기자 = 대법원은 조희대 대법원장과 대법관들이 오는 14일 예정된 '사법부의 대선개입 의혹 진상규명 청문회'에 출석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국회에 전달했다. 대법원 관계자는 12일 기자단 공지를 통해 "재판에 관한 청문회에 법관이 출석하는 것은 여러모로 곤란하다는 입장"이라며 "출석 요청을 받은 16명의 법관 모두 '청문회 출석요구에 대한 의견서'를 국회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조희대 대법원장. [사진=뉴스핌DB] 앞서 대법원 전원합의체는 지난 1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사건에서 무죄를 선고한 항소심 판결을 파기하고 유죄 취지로 사건을 파기환송했다. 민주당은 대법원이 이 후보 사건을 이례적으로 신속하게 심리·선고해 사실상 대선에 개입했다며 대법원장에 대한 청문회를 열기로 했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는 지난 7일 전체회의에서 국민의힘 의원들이 퇴장한 가운데 청문회 실시계획서 채택과 증인·참고인 출석 요구 등을 의결했다. 청문회 증인으로는 조 대법원장과 판결에 관여한 대법관 11명이 전원 채택됐으며 대법원 수석·선임재판연구관, 대법원장 비서실장, 법원행정처 사법정보화실장 등 판사들도 포함됐다.  shl22@newspim.com 2025-05-12 18:24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