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국 "기대 이상"..전체 거래 중 무역거래는 단 3%, 향후 과제로 남아
[뉴스핌=정연주 기자] 기획재정부 등 외환당국과 전문가들은 1년간의 원/위안화 직거래 시장을 두고 "기대 이상이었다"라고 평했다. 실수요, 즉 무역결제 비중은 아직 미미하지만 시간이 필요한 문제라는 판단이다.
상하이 내 개설될 원/위안화 직거래 시장을 발판으로 시장의 질적인 성장에 거는 기대도 크다. 올해는 인프라 구축에 의미를 둘 수 있으며, 향후 시장의 성패는 금융기관에 달려 있단 진단도 나온다. 다소 위험부담이 있더라도 관련 상품 개발 등으로 시장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1일 뉴스핌은 원/위안화 직거래 시장 개설 1주년을 맞아 송인창 기획재정부 국제금융정책국장, 개설부터 실무를 총괄한 김웅렬 중국 교통은행 서울지점 부장, 지만수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과의 전화 인터뷰를 진행하고 그 내용을 지상 좌담 형식으로 재구성했다.
(왼쪽부터) 송인창 기획재정부 국제금융정책국장, 김웅렬 중국 교통은행 서울지점 부장, 지만수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
▲ 송인창 기재부 국제금융정책국장(이하 송): 기대 이상으로 좋았다. 직거래 규모도 일평균 1억~2억불에 그칠 줄 알았는데 현재 20억불 이상이다. 10배 이상 규모가 커졌다. 다만 실제 위안화 관련 무역결제 비중은 3% 정도로 작다. 하지만 그 비중은 점진적으로 늘고 있다.
한중 정상회담에서 알큐피(RQFII) 등 양국 협력을 지속하기로 했고 위안화 외평채도 곧 발행된다. 상하이에 내년 원/위안화 직거래 시장도 생기는 것을 고려하면 예상보다 잘되고 있다고 본다.
▲ 김웅렬 중국 교통은행 부장(이하 김): 상당히 잘 됐다고 본다. 거래량도 많았고 시장 조성자나 은행들의 적극 참여도 좋았다. 알큐피 한도도 증액돼 직거래 시장을 통해 중국으로 투자하는 규모도 커질 것 같다. 여러가지 면에서 효과와 실적도 긍정적으로 보며, 앞으로 발전 전망도 밝다.
▲ 지만수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이하 지): 현재까지 시스템 인프라 측면에서 잘 운영됐다고 본다. 실제 위안화 수요가 얼마나 되느냐 보다는 전체 시스템에서 수요와 공급이 어떻게 이뤄지느냐가 중요하다. 그게 잘돼야 장기적으로 거래량이 생길 수 있가 때문이다.
위안화 관련 무역거래는 아직 많이 늘어나지 않았다. 달러에 비해 기업들이 위안화를 쓸 이유가 없다. 중국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쓰지 않는 한 한국에서도 이를 쓸 이유가 없는데, 중국은 아직 위안화를 무역결제시 적극 사용하는 분위기는 아니다.
실제 알큐피 제도 이후 일부에서는 금융투자가 많이 되고 있다. 다만 중국 금융시장이 안정돼야 투자가 더 늘어날 수 있다. 현재 부진한 측면은 거래 시스템 문제라기보단 시장 상황이 불안했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투자를 늘리나는 정책 방향이 나올 상황이 아니었다. 중국 시장이 변수였다.
- 여전히 실수요 부진이 직거래 시장의 한계로 꼽히고 있다. 문제점들을 지적한다면.
▲ 송: 실수요 문제는 보기에 따라 다른 문제다 달러/원 거래량은 100억달러가 조금 안되는데 실수요인 무역결제 비중은 10%도 안된다. 대부분이 금융거래나 포지션 거래다. 원/위안화 무역결제 비중(3%)은 적긴 하지만 하루 아침에 급증할 수 없는 문제다. 꾸준히 증가하는게 중요하다.
원/위안화 관련 금융상품이 많이 나오지 않고 있다. 다른 금융회사들도 서울로 와서 위안화 관련 상품 거래를 해줘야 하는데 아직까지는 미미하다. 올해는 원/위안화 시장 인프라를 만들었다면 내년에는 그 인프라를 중심으로 다양한 위안화 상품이 나와야 한다.
▲ 김: 아직 한국에 시장 홍보가 많이 안 돼 있다. 그렇다보니 거래 당사자들이 홍콩 등 해외시장을 이용하는 듯하다. 앞으로 이 시장을 통해 한국이 금융허브가 된다는 측면에서 한국 당사자들이 경쟁 해외 허브를 이용하는 것보단 직거래 시장을 이용할 필요가 있다.
실수요 문제는 장기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고 본다. 원/위안화 직거래 시장의 장점이 역외 홍콩시장보다 더 좋다. 개선 여건은 충분하다.
▲ 지: 더욱 발전하려면 갖춰야 할 조건이 있었는데 많은 부분은 제도의 문제라기 보단 증시나 환율 등 양국 금융시장이 불안했던 것이 원인이었다. 특히 달러화의 방향성도 불투명했다.
- 원/위안화 직거래 시장이 상하이에 개설된다. 원화의 첫 역외거래가 되는 셈인데, 어떻게 보나.
▲ 송: 양 방향으로 모두 걱정을 하고 있다. 거래가 너무 안될 수도 있어 걱정하는 한편 거래량이 너무 커 원화의 역외거래가 많아진다면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어 이 역시 우려하고 있다. 그렇다고 개설을 안할 문제는 아니고, 상황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하려고 한다. 걱정되지만 원화의 해외 활용 제고를 위해 가야할 길이다. 당장 거래 규모가 제한적이라 관리 가능한 범위 내에서 거래가 있을 것이다.
▲ 김: 상하이 시장도 전망이 아주 밝다. 상하이 거래 시장도 현재 서울내 시장과 마찬가지로 거래 방식이 정해질 것이다. 위안화도 아직 완전 국제화가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원화도 상하이 시장을 통해 완전 국제화를 추구하는 것은 아닌걸로 알고 있다. 상하이 시장은 부분적인 국제화이 일환이다. 국내 기업들의 상하이 거래가 많으니 원화 거래도 한국 내 위안화 시장과 연계돼 확돼될 가능성이 높다.
▲ 지: 원/위안화 직거래 시장 개설 합의 후 미국과 일본 등 주요국을 제외하고는 직거래 시장에 참여하는 나라가 워낙 많았다. 어떠한 경제적 기회를 만들었다기보다는 남들이 다 하는데 안하는 상황을 피할 수 있었다는 점에 우선 의미가 있다. 지난 1년간 직거래 시장은 급속도로 성장했다. 늦지 않게 인프라를 갖춰서 시장 변화 상황을 대응할 수 있는, 뒤쳐지지 않을 기반을 마련했다.
공은 이제 시장으로 넘어 왔다. 비즈니스로 이 시장을 활용하고 능력을 보여주는 좋은 성공 사례가 나오기를 기대한다.
- 향후 전망 또는 기대하는 부문은?
▲ 송 :중국 금융·자본시장에서 홍콩 등 중화권 나라를 제외하고는 미국이나 일본보다 앞서 있다. 지금까지는 정부가 나서서 인프라를 깔았으니 이제는 금융기관이 나서줘야 한다. 금융기관들이 이익 확보를 위해 위험을 무릅쓰고 보다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줬으면 한다.
▲ 김: 한중FTA가 체결되면서 양국간 실물 교역이 많아질 것이라고 본다. 금융자본거래(환전, 채권발행,대출 등) 규모는 실물거래보다 5~10배 정도 크다. FTA로 실물거래가 활성화되면 환리스크 부담 등이 줄어들게 되고, 비슷한 방식으로 자본거래도 활성화 될 수 있다. 원/위안화 직거래 시장의 전망은 밝다.
▲ 지: 시장 상황은 예전보다 불안해졌지만 중국의 위안화 국제화 의지가 확고하고 특히 영국은 위안화 금융 비즈니스에 적극적이다. 직거래 시장은 위안화가 국제화되는 측면에서 기본적으로 해야 하는 부분이다.
그 안에서 금융기관이 각자 능력을 통해 평판(reputation)이 쌓여야 한다. 이는 1~2년만에 쌓이는 부분이 아니다. 이종통화 비즈니스 네트워크를 갖추고 헤징이나 대금 결제 등 수수료 관련 비즈니스 등을 하기까지 모두 장기적으로 봐야 한다. 특정 금융사가 실적을 내거나 관련 비즈니스를 키우려면 시간이 걸린다.
평가 기준은 시장으로 넘어갔다. 과제의 성격이 변했다. 상하이 시장 추가 개설도 그 자체가 실적이다. 이제 시스템 자체 성과보다 시장주체가 이를 얼마나 이용하느냐에 달렸다. 정부보다 시장의 역할이 중요해졌다.
[뉴스핌 Newspim] 정연주 기자 (jyj8@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