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라이브
KYD 디데이

[중국주식100선] ‘제2의 샤오미 신화’ 꿈꾸는 中 러스모바일

기사입력 : 2016년02월29일 11:50

최종수정 : 2016년02월29일 11:50

동영상업체서 스마트폰 톱10, 전기차에도 출사표

[편집자] 이 기사는 02월 17일 오전 11시48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스핌=홍우리 뉴스핌 홍우리 특파원] 동영상 서비스업체로 출발해 스마트폰·전기차 시장에 출사표를 던진 러스왕(樂視網, 300104.SZ)의 선전이 눈부시다. 특히 러스의 스마트폰 부문 러스모바일(樂視手機)은 경쟁이 치열한 저가 스마트폰 시장에서 기반을 다지며 업계 경쟁상대인 샤오미(小米)·화웨이(華為)의 자리를 위협하고 있다. 차별화한 콘텐츠와 서비스로 ‘러스 생태계’를 구축하여 향후 스마트폰 시장을 제패할 것이라는 야심을 드러냈다.

 

<이미지=바이두(百度)>

 

◆ 최단 기간 500만대 판매 기록, 샤오미·화웨이 턱밑 추격 

러스왕은 러스모바일스마트기술유한회사(樂視移動智能信息技術有限公司)를 설립하며 지난해 1월 스마트폰 시장 진출을 공식화했다. 중국 국내외 유수 IT 기업 출신으로 구성된 1000여 명의 R&D 팀을 구성하고, 레노버 모바일인터넷·디지털홈(MIDH) 중국사업부 대표 출신인 펑싱(馮幸) 등 유명 기업인이 대거 포진한 화려한 경영진을 선보였다.

그러나 이미 레드오션으로 분류된 스마트폰 시장으로의 진출에 대해 업계의 반응은 회의적이었다. 고가 스마트폰 시장은 애플과 삼성이, 저가 시장은 샤오미가 장악하고 있는 상황에서 생존 자체가 불투명하다는 관점이 지배적이었다.

업계 우려를 안고 지난해 5월 19일 첫 스마트폰을 출시한 러스. 결과는 예상 밖이었다. 불과 8개월 만인 올해 1월 21일까지 무려 500만 대 이상의 스마트폰을 판매하며 신진 브랜드 중 가장 단기간에 500만대 판매 달성 기록을 세웠다. ‘좁쌀’ 돌풍을 일으킨 샤오미와 업계 선두 브랜드로 우뚝 선 화웨이를 크게 앞지른 속도다.

지난달 29일 중국 시장조사기관인 시노(Sino)마켓리서치가 발표한 2015년 12월 중국 모바일시장 EBP시장 월간 분석보고서에 따르면, 러스 스마트폰은 애플과 화웨이·메이쭈·삼성을 넘어서 9.3%의 시점 점유율을 기록하며 오프라인 판매량 3위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러스의 러1S의 경우 12월 한달 동안 100만 대 이상 팔리며 1000위안대 스마트폰 중 판매량 1위를 기록했다.

이와 함께 12월 온·오프라인 전체 모바일 시장에서도 러스 스마트폰은 판매량 기준 11위에 이름을 올렸고, 지난 한 해 총 400만 대의 판매량을 기록하며 연간 100만대 판매 목표를 가뿐히 달성했다.

시노 보고서에 따르면, 12월 샤오미·화웨이 등 경쟁업체의 판매량이 마이너스 혹은 0% 성장률을 보인데 반해 러스 스마트폰의 약진세는 두드러졌다. 온라인 판매 상황을 보면, 12월 각각 200만 대 이상씩 팔린 화웨이 스마트폰 룽야오(榮耀, HONOR)와 샤오미가 각각 온라인 판매량 1,2위를 차지했지만 다른 브랜드에 비해 월간 시장 점유율은 3% 이상씩 하락했다. 또한 애플과 메이쭈, 레노버 등 역시 부진세를 면치 못한 가운데서 러스 스마트폰은 90만4000대의 판매고를 올리며 시장 점유율을 전달 대비 2.2% 확대된 9.3%까지 끌어올렸다.

B2C 판매 순위에서도 러스 스마트폰은 9.5%의 점유율로 화웨이·치쿠·삼성·레노버·중씽 등을 앞지르며 업계 3위를 차지했다.

업계 전문가들은 "러스는 단말기 자체뿐만 아니라 콘텐츠 다원화 및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고객 만족도를 높였다"며 "가격대비 성능과 체감도가 높다는 것이 성공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 콘텐츠 유료 회원 등으로 안정적 수익 실현 중

스마트폰 출시 순간부터 현재까지 러스의 전략은 하드웨어 판매가 아닌 ‘러스모델’, 이른바 ‘러스 생태계’를 통한 수익 창출이다.

펑싱 러스모바일 총재는 “누군가 ‘얼마나 손해 보려고 하냐’고 물었지만 우리는 결코 손해보고 있지 않다”며 “하드웨어 판매수익 마이너스가 회사 전체 수익이 마이너스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라고 강조한다.

펑싱에 따르면, 모바일을 포함한 러스 전 부문은 회원과 광고·어플리케이션에서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수익 규모가 어느 정도인지 구체적인 수치가 알려지진 않았지만 ‘러스 생태계’의 수익모델은 점차 내실을 강화해 가는 중이다.

러스가 공개한 데이터에 따르면, 러스 스마트폰 사용자 500만 명을 제외하고 러스 수퍼TV 가입자 또한 500만 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휴대폰과 TV 사용자를 각각 500만 명씩, 1000만 명 보유하고 있다는 것은 ‘러스 생태계’ 발전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그 수익성이 매우 높다고 펑싱은 설명했다.

실제로 공개 자료에 따르면, 러스의 유료회원 수는 1220만 명을 넘어섰으며, 이 중 러스 휴대폰 회원 비중은 12% 가량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1-3분기 러스의 총 수익은 18억 위안으로, 이 중 유료회원 수익이 전체의 10%라고 추산할 경우 1000만 회원으로부터 6억-7억 위안의 수익이 발생하는 셈이다.

광고수입은 더욱 낙관적이다. 자웨팅(賈躍亭) 러스왕 설립자 겸 회장은 앞서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러스 광고수입을 방송국과 비교하며 “후난(湖南)위성TV를 포함한 대형 방송국 인기 프로그램의 시청률이 보통 1.5-2% 가량 나오고, 약 400만-500만 가구만이 해당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셈이지만 이들 방송국의 광고수입은 최대 60억-70억 위안에 달한다”며 “러스 가입자 수가 100만, 1000만 규모로 확대된다면 광고수입이 매우 클 것”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어플리케이션 수입 또한 성장 공간이 크다. 펑싱은 “현재 러스 어플리케이션 스토어를 통한 다운로드 건수가 1억 건을 넘어섰다. 이 부분에서도 매월 상당액의 수입이 발생하고 있다”고 말했다.

◆ 중국·해외 두 마리 토끼 잡아 업계 선두 지위 확보할 것

지난해 화려한 성적을 거두며 자신감을 얻은 러스는 올해 ‘헤비급’ 판매 목표를 세웠다. 2016년 러스 스마트폰 판매량을 2500만-3000만대까지 끌어올리기로 하고, 이 중 1500만대를 중국 국내에서 팔겠다는 계획이다.

이미 포화상태에 진입한 중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판매량을 1000만 대 이상 늘리기 위해선 기타 브랜드의 판매량이 그만큼 감소해야 가능한 일. 펑싱 역시 이 같은 목표가 ‘호랑이 먹이를 빼앗는 것과 같다’고 비유했다.

중국 로컬 스마트폰 업체의 2016년 전략은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나뉜다. 그한가지는 ‘글로벌화’ ‘해외진출’로, 뉴델리·뭄바이 등 인도 시장이 주요 공략 대상이다. 러스 역시 1월 20일 인도시장 진출을 대대적으로 선언하며 현지에서 러맥스(le Max)와 러IS(le IS)를 출시했다. 펑싱은 “러스는 단순히 단말기만 파는 것이 아니라 러스 전체 생태계를 인도에 뿌리내리게 할 것”이라며 “러스 콘텐츠와 TV, 스마트폰이 동시에 인도 시장에 진출할 것”이라고 밝혔다.

인도 진출에 앞서 러스는 동남아 주요 시장 중 하나인 태국에 진출, 태국 이동통신업체와 단말기 100만대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이와 함께 러스는 미국과 유럽 시장 진출을 모색 중이며, 현재 미국에서 러스 제품 전문 판매 플랫폼인 러몰(LeMall)이 시범 운영 중이다.

해외시장 진출과 함께 오프라인 채널 확대 및 농촌 등 소도시에서의 판매량 제고 또한 중요한 전략이다. 온라인 판매시장 성장공간이 날로 축소되고 있는 가운데, 주요 스마트폰 업체들은 4-6선급 지방 소도시에서의 오프라인 판매채널을 모색 중이다.

이 같은 흐름을 일찌감치 감지한 러스는 농촌 및 소도시에서의 오프라인 판매 채널 구축에 힘쓰며 현재 중국 전역에 3500개의 협력채널을 확보했고, 올해도 이 같은 노력을 배가한다는 방침이다.

펑싱은 “2016년은 휴대폰 업계의 분수령이 되어 업계 판도가 재정비 되면서 적지 않은 업체가 사라질 것”이라며 “스마트폰 시장 환경이 더욱 열악해지겠지만 러스는 쓰러진 강자를 딛고 전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홍우리 뉴스핌 홍우리 특파원 (hongwoori@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소상공인 배달·택배비 지원 신청 접수 [세종=뉴스핌] 김기랑 기자 = 중소벤처기업부는 오는 17일부터 '소상공인 배달·택배비 지원사업' 신청 접수를 받는다고 9일 밝혔다. 배달·택배비 지원사업은 정부가 지난해 7월 발표한 '소상공인·자영업자 종합 대책'의 후속 조치 일환이다. 고물가·고금리 등으로 가중된 소상공인의 경영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이들의 배달·택배비를 올해 한시적으로 지원하는 사업이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배민라이더스 배달기사 노조가 23일 오후 서울 송파구 배달의민족 본사 앞에서 기본배달료 인상, 오토바이수당 및 픽업거리 할증 도입을 촉구하는 집회를 마치고 오토바이로 행진을 하고 있다. 2021.12.23 pangbin@newspim.com 지원 대상은 ▲2023년 또는 지난해 연 매출액이 1억400만원 미만이며 ▲배달·택배 실적이 있고 ▲신청일 기준 폐업하지 않은 개인·법인 사업자다. 또 배달·택배를 주업으로 하는 업종과 소상공인 정책 자금 제외 업종을 제외한 전 업종을 지원 대상으로 한다. 지원 금액은 최대 30만원으로 1인당 1개 사업체만 신청해 지원받을 수 있다. 배달·택배비는 지난해 실적과 과거 증빙자료 등을 보관하지 않거나 확인이 어려운 경우를 감안해 올해까지의 실적도 폭넓게 인정한다. 중기부는 소상공인의 배달·택배비 증빙자료 확보 용이성을 토대로 신청자 유형에 따라 순차적으로 신청 접수를 개시할 예정이다. 연내 차질 없는 지원을 목표로 '신속 지급'과 '확인 지급' 절차로 나눠 실시한다. 지원 대상자 유형별 신청 일정 [자료=중소벤처기업부] 2025.02.08 rang@newspim.com 먼저 신속 지급 절차는 약 8만개사를 대상으로 한다. 중기부는 온라인 신청과 증빙자료 등록 등에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들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지원받을 수 있도록 신속 지급 절차를 마련했다. 중기부는 소상공인들의 자료 증빙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배달의민족 ▲요기요 ▲쿠팡이츠 ▲생각대로 ▲바로고 ▲부릉 등 6개 배달 플랫폼과 배달 대행사로부터 소상공인이 지출한 배달비 제공에 대한 협조를 받았다. 신속 지급 대상자 데이터베이스(DB)에 포함된 약 8만개사 소상공인들은 별도의 증빙자료 없이 사업자등록번호와 계좌번호 등의 정보만 입력하면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증빙 부담이 대폭 줄고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신속 지급 대상자들은 오는 17일부터 신청이 가능하며, 신청 단계에서 사업자등록번호를 입력할 시 신속 지급 대상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최초 신청 후 지원금이 30만원 미만이더라도 추가 신청 없이 올해 12월까지 배달비 실적이 확인되면 누적 금액 최대 30만원까지 차액을 지급한다. 신속 지급 대상자 DB에 포함되지 않은 확인 지급 대상자는 4월 중 신청할 수 있다. 확인 지급 대상자는 신속 지급 대상자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로 모든 택배와 배달 플랫폼, 배달대행사, 퀵서비스, 심부름센터 등을 이용해 직접 자료 증빙이 가능한 자를 말한다. 혹은 배달 플랫폼 또는 택배사를 이용하지 않고 소상공인 대표 또는 직원이 상품을 고객에게 직접 배달해 증빙이 어려운 경우를 일컫는다. 직접 자료 증빙이 가능한 소상공인은 지난해 1월 1일부터 올해 12월 31일까지 상품 판매를 위해 배달 또는 택배를 이용한 건에 대한 증빙자료를 시스템에 직접 입력하는 방식으로 제출하면 된다. 증빙자료는 배달·택배비 사용 금액이 확인 가능한 전자세금계산서와 택배 운송장, 배달 정산 내역서 등이 있다. 직접 배달 소상공인은 특성상 실적에 대한 직접 자료증빙이 어려운 만큼 관련 협·단체 등 업계 의견을 충분히 반영해 합리적인 배달·택배비 지급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확인 지급 대상자에 해당하는 두 가지 경우 모두 소상공인이 직접 자료를 입력해야 한다. 중기부는 증빙 방안을 다음 달 말까지 마련해 4월부터 신청을 받을 계획이다. 사업 신청은 전용 사이트인 '소상공인배달택배비지원.kr'이나 '소상공인24'를 통해 가능하다. 오는 17일 신속 지급 신청 시행 이후 첫 이틀간은 접속자 분산을 위해 사업자등록번호 끝자리 기준으로 홀짝제를 적용한다. 세부적인 내용은 중기부 누리집 혹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누리집 공고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소상공인 배달 택배비 지원 콜센터를 통해서도 안내받을 수 있다. 배달 택배비 지원사업 진행 절차 [자료=중소벤처기업부] 2025.02.08 rang@newspim.com rang@newspim.com 2025-02-09 12:00
사진
尹탄핵심판 '인용' 51.9% vs '기각' 44.8% [서울=뉴스핌] 김가희 기자 = 국민 과반이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를 인용해야 한다고 응답한 여론조사가 7일 공개됐다. 기각 여론도 만만치 않았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가 지난 5일부터 6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자동응답시스템(ARS) 조사 결과에 따르면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에 대해 어떤 결론을 내야 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 51.9%는 '인용해야 한다'고 답했다. '기각해야 한다'는 답변은 44.8%였다. 격차는 7.1%포인트(p) 였다. '잘 모름'은 3.3%였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인용해야 한다 50.1%, 기각해야 한다 47.7%, 잘 모름 2.2% 였다. 여성은 인용해야 한다 53.6%, 기각해야 한다 42.0%, 잘 모름 4.3%였다.  연령별로는 ▲만 18세~29세(인용 52.5%, 기각 46.6%, 잘 모름 0.9%) ▲30대(인용 56.9%, 기각 41.0%, 잘 모름 2.1%) ▲40대(인용 68.7%, 기각 30.3%, 잘 모름 1.0%) ▲50대(인용 60.9%, 기각 36.0%, 잘 모름 3.0%)에서 인용 의견이 더 많았다. 반면 ▲60대(인용 42.8%, 기각 53.9%, 잘 모름 3.3%) ▲70대 이상(인용 25.5%, 기각 64.7%, 잘 모름 9.8%)은 기각 응답이 더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대전·충청·세종에서 인용해야 한다는 응답(61.7%)이 가장 높았다. 기각은 37.4%, 잘 모름 0.9%였다. ▲광주·전남·전북(인용 56.5%, 기각 37.1%, 잘 모름 6.3%) ▲부산·울산·경남(인용 53.1%, 기각 42.5%, 잘 모름 4.4%) ▲서울(인용 51.2%, 기각 47.8%, 잘 모름 1.0%) ▲경기·인천(인용 50.5%, 기각 46.7%, 잘 모름 2.8%) ▲강원·제주(인용 47.2%, 기각 45.5%, 잘 모름 7.3%) ▲대구·경북(인용 42.7%, 기각 52.0%, 잘 모름 5.2%) 순이었다. 지지 정당별로 보면 ▲더불어민주당 지지자 90.5% ▲조국혁신당 지지자 93.0% ▲개혁신당 지지자 84.7% ▲진보당 지지자 86.5%가 탄핵이 인용돼야 한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 87.6%는 탄핵 기각을, 7.9%는 탄핵 인용을 주장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탄핵이 인용되면 대통령이 파면돼 권력 공백과 정국 혼란이 발생할 수 있지만, 국민의 민주주의 수호와 대통령의 중대한 잘못에 대한 바로잡기가 가능해질 수 있다는 여론이 우세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헌법재판소가 향후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에 대해 어떤 결론을 내릴지는 법적 근거와 증거의 유무, 국가와 국민에게 미친 영향, 사회적 여론과 정치적 상황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탄핵 절차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확보해 정치적 편향성을 최소화해야 국민의 신뢰를 얻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 활용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kgml925@newspim.com 2025-02-07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