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속보

더보기

젊은부호들 왜 단명했나, 중국 '부자박명'에 억만장자들 벌벌 (上)

기사입력 : 2016년04월27일 17:28

최종수정 : 2016년04월28일 06:43

72명중 19명 질병사 전체사망의 26%, 자살 피살도 가 17, 15명

[뉴스핌=서양덕 기자] '부호 박명(薄命)'   적지않은 중국 억만장자 전국적인 부호들이 각양각색의 이유로 40~50대의 젊은 나이에 유명을 달리한 것으로 조사돼 충격을 주고 있다.

경제 전문 매체 중국경영망(中國經營網)의 보도에 따르면 중국에서는 지난 2003년 이후 13년간 질병, 자살, 사고, 피살 등의 이유로 72명의 부호들이 목숨을 잃었다.  전체 사망 부호중 15명은 타살, 17명은 자살, 7명은 불의의 사고로 비운을 맞았다.  또 14명은 사형, 나머지 19명은 질병 등의 이유로 세상을 떠났다. 사망한 억만장자 72명 중 70명이 남성으로 조사됐다.

1. 4명중 한명꼴 19인 질병사,  평균 나이 48세

통계에 따르면 72명의 억만장자 중 전체의 26%에 달하는 19명이 질병으로 사망했다. 질병사는 억만장자가 가장 두려워하는 사망 요인이기도 하다.

2010년 4월 심장질환으로 사망한 왕강민(王江民) 강민신과기(江民新科技) 회장. <사진=바이두(百度)>

19명 중 심혈관질환에 의해 목숨을 잃는 경우가 9명으로 가장 많았다. 상해중발전기유한공사 (上海中發電氣(集團)有限公司) 장남민(長南民) 회장, 바이러스 백신회사 강민신과기(江民新科技) 왕강민(王江民) 회장, 철강기업 강소풍립그룹유한공사(江蘇豐立集團有限公司) 오악명(吴岳明) 회장, 인테리어 자재회사 녹야목업(綠野木業)의 허위림(許偉林) 회장, 여성의류 기업인 한백유한공사(漢帛(中國)有限公司) 고지위(高誌偉) 회장 등이 뇌혈관, 심근경색, 심장병으로 사망했다.

심혈관질환에 외에 암도 중국 억만장자들의 목숨을 앗아간 주범으로 꼽히고 있다. 항공운송회사 균요그룹(浙江均瑤集團) 왕균요(王均瑤) 회장과 손덕예(孙德棣) 왕이(网易 중국 4대 인터넷 포털) 대리수석집행관은 대장암으로 사망했다.

왕금성(王金城) 대중투자그룹(大中投資集團) 회장과 장평(長平) 남경반용금릉건설(南京蟠龍金陵建設) 회장은 췌장암, 합성섬유 제조사인 항주도원화섬그룹(杭州道遠化纖集團) 구덕도(裘德道) 회장은 간암으로 죽었다. 제약회사 북생약업(北生藥業) 하옥량(何玉良) 회장도 암으로 생을 마감했다.

이와관련, 장춘시건강교육센터(長春市健康教育中心) 관계자는 “부유층일수록 적극적으로 건강 관리를 하고 있다”며 “시간이 갈수록 억만장자가 병사하는 경우는 드물다”고 설명했다.

2. 자살로 목숨 잃은 17명; 사망 당시 평균 나이 50세

식자재 물류·유통 종합기업인 혜용상무유한책임공사(惠龍商貿有限責任公司) 금이빈(金利斌) 회장은 사채 빚을 갚지 못해 44세의 나이에 가장 고통스러운 죽음으로 알려진 분신자살(몸에 불을 지르거나 불 속에 뛰어들어 죽음)로 생을 마감했다. 금 회장의 시신은 탄화가 심하게 진행된 상태로 발견돼 주위를 안타깝게 했다.

제약회사 안휘화원(安徽華源) 구조이(裘祖貽) 회장은 자사 제품에 심각한 부작용이 생겨 사회적 논란이 일자 사죄한다는 내용의 유서를 남기고 목을 매 자살했다. 중국 최대 완구 수출업체 이달완구(利達玩具) 장수홍(張樹鴻) 회장도 미국에서 자사 제품에 문제가 생겼다는 논란이 일자 완구공장의 한 구석에서 목을 매 숨졌다. 2008년에는 제약회사 구지당(九芝堂)그룹의 미동(魏東) 회장이 스트레스와 우울증에 시달리다가 투신자살했다.

소화해(邵和諧) 강서신의부동산개발그룹(信義房地產開發集團) 회장 등 7명의 억만장자는 목을 매 자살했고, 컨설팅기업 진능합공대고과기술풍험투자유한공사(辰能哈工大高科技風險投資有限公司) 조경빈(趙慶斌) 회장 등 5명은 투신자살로 목숨을 끊었다.

또 건자재 회사인 주광그룹절강강결구유한공사(珠光集團浙江鋼結構有限公司) 노입강(盧立強) 회장은 강에 몸을 던져 생을 마감했다. 가축사료 대기업인 삼묘그룹(森渺集團)의 후업부(侯業富) 회장 등 2명은 음독자살을 택했다.

이들이 자살한 이유로는 업무 과중이나 사업 실패로 인한 우울증이 주 원인으로 밝혀졌다.

한 심리 전문가는 "중국 억만장자들이 부를 거머쥐기 전에는 사업을 일으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지만 목표를 달성하면서 목적의식은 사라지고 사회적 위신, 사업에서 오는 스트레스 등 심적 압박 요인이 늘면서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고 분석했다.

3. 피살당한 15인; 사망 당시 평균 나이 44세

억만장자들이 친인척, 친구, 비즈니스 파트너 등에 의해 살해당한 경우 주된 이유는 금전문제 때문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해창(李海倉) 전국공상연부주석은 사소한 다툼으로 인해 자신의 사무실에서 가장 친한 친구에게 피살당했다. 선박회사 임해강해조선유한공사(臨海江海造船有限公司) 엄보용(嚴寶龍) 회장은 원한관계로 추정되는 괴한에 의해 권총으로 살해됐다.  

모피회사 북경조표모피보료종합시장(北京祖豹毛皮輔料綜合市場) 주조표(周祖豹) 회장은 아들의 결혼식장으로 향하던 도중 회사 거래업체 직원의 흉기에 찔려 피살당했다.

기업가 운전민(云全民)을 생매장해 살해한 납치범 4명이 2006년 8월  후허하오터(呼和浩特) 중급인민법원에서 재판을 받고 있다. <사진=바이두(百度)>

의류기업 기태복시고분(祺泰服饰股份) 운전민(云全民) 회장은 역대 피살 사례 가운데 가장 잔혹한 죽음을 맞은 한 명으로 기록됐다.

운 회장은 2005년 9월 25일 출근길에 납치를 당했다. 납치범들은 운 회장의 몸값으로 240만위안을 그의 가족에게 요구했다. 이튿날 가족들은 240만위안(4억2400만원)을 납치범들에게 건넸지만 이때는 이미 운 회장이 생매장 당해 숨을 거둔 후였다. <下편으로 이어짐> 

[뉴스핌 Newspim] 서양덕 기자 (syd@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단독] 日 여행객 'K-쌀' 사간다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일본 여행객이 한국을 방문, 한국 쌀을 직접 구매해 들고 나가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일본 내 쌀값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가운데 '밥맛 좋은 한국 쌀'이 대체제로 급부상하면서 벌어지는 현상이다. 3일 <뉴스핌>이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상반기 동안 일본 여행객이 한국에서 직접 구매해 일본으로 들고 간 국산 쌀은 3만3694kg로 집계됐다. 일본은 지난 2018년부터 휴대식물 반출 시 수출국 검역증을 의무화한 나라로, 병해충과 기생식물 등 식물위생 문제에 매우 엄격하다. 특히 쌀처럼 가공되지 않은 곡류는 검역 과정이 매우 까다롭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 여행객들의 한국산 쌀 열풍은 지속됐다. 지난해 한 해 동안 일본 여행객이 반출한 국산 쌀은 1310kg에 불과했지만, 올해는 상반기에만 무려 25배 이상 급증했다. 같은 기간(2024년 1~6월)으로 비교하면 작년 106kg에서 올해 3만3694kg로 약 318배 증가한 셈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일본 여행객들의 '쌀 쇼핑'이 열풍을 불면서 관련 문의가 급증했다"며 "한국쌀이 일본쌀에 비해 맛과 품질이 뒤떨어지지 않는다는 인식이 생기면서 반출되는 양도 많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쌀을 화물로 탁송하는 사례도 동반 상승했다. 올해 상반기 기준 화물검역을 통해 일본으로 수출된 국산 쌀은 43만1020kg에 달한다. 지난해 화물 검역 실적이 1.2kg에 그쳤던 것과 비교하면 폭증 상태다. 업계에서는 이번 흐름이 국산 쌀에 대한 일시적 특수로 끝나지 않고 국내에서 정체된 쌀 소비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임정빈 서울대 농경제학과 교수는 "일본에서 쌀 가격이 두 배 이상 올랐으니 한국에 와서라도 쌀을 구매하는 여행객이 늘어난 것"이라고 짚었다. 이어 "다만 일본의 쌀 관세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한국 쌀의 가격만 보지는 않았을 것"이라며 "국산 쌀의 품질이 높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도 합격점이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영종도=뉴스핌] 윤창빈 기자 = 11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에 중국발 여행객들이 입국하고 있다. 2023.03.11 pangbin@newspim.com 정부 역시 이같은 수요에 대응해 일본 관광객을 대상으로 검역제도 안내·홍보에 나서기로 했다. 현재는 농림축산검역본부를 통한 사전신청, 수출검역, 식물검역증 발급, 일본 통관까지 최소 3단계 이상이 요구된다. 다만 한국 쌀을 일본으로 반출할 때 한국에서 식물검역증을 발급받아야 한다는 사실을 모르는 일본 관광객이 일본에 돌아가 쌀을 폐기하는 일이 생기면서 홍보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농식품부 고위 관계자는 "지난달 오사카 엑스포 현장 방문을 계기로 일본 농림수산성과 예방할 기회가 주어졌는데 그 자리에서 쌀 검역 문제가 논의됐다"며 "한국 정부는 일본 여행객이 애써 한국 쌀을 구매한 뒤 일본으로 돌아가 폐기하는 일이 없도록 제도 홍보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전했다. plum@newspim.com 2025-07-03 11:10
사진
내란특검, 尹재판 증인 72명 신청 [서울=뉴스핌] 김신영 기자 =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 사건을 수사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 재판에서 증인 72명을 추가 신청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재판장 지귀연)는 3일 내란우두머리·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윤 전 대통령의 9차 공판기일을 열었다. 조은석 내란 특별검사. [사진=뉴스핌DB] 특검 측은 앞서 1차로 38명의 증인을 신청한 데 이어 이날 재판부에 증인 72명을 추가로 신청하겠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오는 10일 열릴 10차 공판에서는 이날 증인신문을 마치지 못한 고 전 처장에 이어 정성우 전 방첩사 1처장(준장), 김영권 방첩사 방첩부대장(대령)을 불러 신문할 예정이다. 정 전 처장은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으로부터 선관위 전산실 통제와 서버 확보를 지시받은 인물이며 김 부대장은 비상계엄 당일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이 윤 전 대통령으로부터 지시받을 당시 함께 합참 지휘통제실에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날 재판에서 윤 전 대통령 측은 조은석 특검이 검찰로부터 사건을 이첩받은 절차가 위법해 무효라고 주장했으나, 특검은 "법과 상식에 비춰봤을 때 납득할 수 없는 주장"이라고 반박하며 신경전을 벌였다.  sykim@newspim.com 2025-07-03 20:47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