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판 ‘블프’ 광군제 개막, 알리바바 매출 ‘200억 달러

기사입력 : 2016년11월11일 11:44

최종수정 : 2016년11월11일 11:44

오락처럼 쇼핑 , VR AR 인터넷생방송 기법 총동원

[뉴스핌=배상희 기자] 중국을 넘어 전세계 쇼핑 축제로 거듭난 광군제(光棍節∙독신자의 날,11월 11일) 시작 첫 날, 알리바바가 운영하는 B2C 온라인쇼핑몰 톈마오(天猫∙티몰)의 매출이 시간대별로 신기록 행진을 이어갔다.

11일 오전0시. 광군제의 시작을 알림과 동시에 알리바바는 52초만에 10억 위안의 매출액을 달성했다. 100억 위안을 돌파하는 데는 단 6분 58초가 걸렸다. 이는 지난해 12분28초의 기록을 5분30초 앞당긴 수준이다. 개장 후 1시간 동안 달성한 매출액은 353억 위안으로 이는 2013년 광군제 기간 전체 매출액(350억 위안)을 넘어서는 수치다.

중국 시간으로 11일 10시 기준  현재 매출액은 721억 위안을 넘어섰다. 중국의 거대한 소비 파워를 등에 업은 알리바바의 무시무시한 영향력이 또 한번 입증되는 순간이다. 

현재까지 전체 판매액 중 84.41%는 모바일을 통해 이뤄졌다. 브랜드별로는 유니클로, 쑤닝(蘇寧)가전, 샤오미(小米), 화웨이(華為)의 스마트폰 신제품인 룽야오(榮耀)가 매출 순위 4위권에 들었다.

올해 광군제의 최대 관전포인트인 알리바바의 매출액과 관련해, 업계 전문가들은 신기록 달성은 물론, 최대 40%의 매출 신장이 가능할 것으로 점치고 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5명의 애널리스트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알리바바의 올해 광군제 매출은 지난해 1250억 위안보다 29% 오를 것으로 예측했다. 또 뉴욕연구기관 펑 글로벌 리테일 앤 테크놀로지(Fung Global Retail & Technology)는 올해 알리바바의 매출이 전년대비 40% 증가해 200억 달러(약 23조3400억원) 돌파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알리바바가 신기록 달성을 위해 내건 3대 전략 키워드는 ▲엔터테인먼트화 ▲개성화 ▲글로벌화다. 전문가들은 알리바바의 대대적인 판촉 활동과 함께,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기술을 활용한 오락성 이벤트, 중국 소비자의 해외브랜드 수요 확대가 매출 신기록 경신의 핵심 포인트가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2016년 11월 11일, 알리바바가 개장 후 1시간 만에 매출액 353억 위안을 돌파했다. <사진=바이두>

VR, AR 신기술로 쇼핑을 오락처럼

알리바바가 앞세운 ‘2016 광군제’ 전략 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은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기술을 융합한 오락성 이벤트다.

알리바바는 올해 최초로 가상 쇼핑체험인 ‘바이플러스(BUY+)’를 선보였다. 소비자들이 개별 구매한 VR 안경을 쓰고, 시선을 따라 움직이는 것 만으로도 제품 선택에서부터 구매, 지불 단계까지 완료할 수 있다.

증강현실 게임 ‘포켓몬 고’를 응용해 알리바바가 개발한 증강현실 게임 ‘광란의 고양이를 찾아라(尋找狂歡貓)’도 소비자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소비자들이 알리바바의 온라인 플랫폼을 벗어나 오프라인 매장과 현실 속에서 티몰의 마스코트인 고양이를 찾으면 100위안~4999위안 상당의 훙바오(紅包∙보너스) 또는 커피 쿠폰, KFC의 치킨 패밀리세트 쿠폰, 영화티켓을 제공하는 이벤트다.  이미 이 게임은 지난달 27일부터 전국 2000개 이상의 스타벅스 매장, 4000개 이상의 KFC 매장, 5000개 이상의 극장 등을 통해 선보여졌다.

알리바바의 조 차이(Joe Tsai) 부회장은 “알리바바는 인터넷쇼핑이 오락처럼 변하기를 원한다면서, 쇼핑과 재미를 동시에 잡을 수 있는 전략을 추구한다”고 말했다.

◆ 왕훙, 즈보 등 차별화 마케팅, ‘알리바바의 축제로’

올해 광군제를 앞두고 알리바바는 즈보(直播∙라이브 스트리밍)와 왕훙(網紅∙인터넷스타) 등 최신 유행 트랜드를 반영한 개성화된 홍보 전략을 펼쳐왔다.

알리바바는 광군제를 하루 앞둔 전날 저녁 선전(深圳)에서 열린 알리바바 갈라쇼 또한 생방송으로 중계했다. 이날 세계적 축구스타 데이비드 베컴부부, 록벤드 원 리퍼블릭, NBA 농구선수 코비 브라이언트 등을 초대해 소비자들의 시선을 끌었다. 이날 갈라쇼에 참석한 대만 배우 린즈링(林志玲)은 무대에서 스마트폰을 통해 알리바바의 AR 게임 ‘광란의 고양이를 찾아라’를 시연하기도 했다.  

아울러 알리바바는 올해 처음으로 ‘현장에서 보고, 현장에서 구매하는’ 쇼핑 모델을 선보였다. 앞서 지난달 23일 알리바바는 상하이에서 50여개 브랜드가 참여하는 8시간짜리 패션쇼를 생중계하면서 고객들로 하여금 생방송 중에 옷을 선주문할 수 있게 했다. 광군제 전까지 미리 쇼핑카트에 제품을 넣어둔 품목은 광군제 당일인 11일 자정에 알리페이로 자동 결제되는 방식이다.

중국 온라인 시장의 최대 화두인 ‘왕훙 마케팅’도 알리바바만의 개성화된 2016년 광군제 전략이다. 알리바바는 지난달 21일부터 11일까지 광군제 마케팅을 위한 300편의 인터넷 생방송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배우와 가수 등 100여명의 스타들 외에, 16명의 왕훙이 이번 생방송에 참여한다. 특히, 이번 마케팅에는 1971만7000명의 팔로워를 거느린 중국 1위 인터넷방송 BJ 파피장(papi醬)이 참여해, 거대한 왕훙 팬층의 시선을 끌었다.

 

11월10일 저녁 열린 알리바바 갈라쇼에 초청된 데이비드 베컴 부부. <사진=알리바바 시나웨이보>

광군제 축제엔 국경 없다, ‘중국을 넘어 세계로’

알리바바는 글로벌 전략의 일환으로 광군제 시작 며칠 전부터 일본 도쿄타워, 미국 뉴욕 타임스퀘어의 나스닥 전광판 등에 티몰을 홍보하는 광고물을 게시하고, 길거리에서 홍보 행사를 펼쳤다.

올해 알리바바는 ‘글로벌화 2.0 전략’을 내걸고 늘어나는 중국 하이타오족(海淘族∙해외직구족)의 글로벌 브랜드 수요에 맞춰, 판매 브랜드 품목을 대폭 늘렸다.

특히, 올해 처음으로 홍콩 티몰 플랫폼(tmall.hk)을 개시하고, 홍콩 소비자 공략에 나섰다. 그간 중국 본토 플랫폼을 통해 쇼핑을 해야했던 홍콩 소비자들은 현지 플랫폼에서 물건을 구매하고, 홍콩 달러로 결제할 수 있다. 앞서 알리바바는 홍콩 현지의 방송, 신문, 잡지, 지하철 등에 알리바바의 광군제 이벤트를 알리며, 대대적인 홍보에 나섰다.

마윈(馬雲) 알리바바 회장은 전자세계무역플랫폼(eWTP∙Electronic World Trade Platform) 구축이라는 구호를 내걸고 거대한 ‘글로벌화 2.0 전략’을 구상 중이다. eWTP는 지난 9월 중국 항저우(杭州)에서 열린 제11차 주요 20개국 정상회의(G20) 선언문에도 반영됐다. 중국 가정과 중소기업이 글로벌화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소비자들이 이 플랫폼을 통해 ‘전세계가 사고, 전세계가 파는’ 모델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알리바바의 국제화 속도도 빨라지고 있다. 지난해 광군제에는 중국을 제외하고 총 232개 국가와 지역이, 올해는 243개 지역이 참여했다. 그 중 러시아, 스페인, 미국, 프랑스, 영국 등이 높은 관심을 보였다.

 

 

[뉴스핌 Newspim] 배상희 기자(bsh@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뉴스핌, AI 기반 맞춤형 MY뉴스 출시 [세종=뉴스핌] 이경태 기자 = 매일 쏟아지는 수만 개의 뉴스 중에서 정작 나에게 필요한 뉴스를 찾기는 쉽지 않다. 이런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국내 최초로 AI(인공지능)로 독자에게 뉴스를 추천해주는 'AI MY뉴스'를 11일 본격 출시했다. AI MY뉴스의 핵심은 지능형 구조에 있다. 그동안 미디어는 독자가 선택한 관심 분야에 의존해 단순히 뉴스를 선별해 제공했다. 그러나 AI MY뉴스는 독자를 이해하고 학습해가며 개인에게 꼭 필요한 뉴스를 골라 제공한다. ◆ AI 추천뉴스·글로벌투자·AI 어시스턴트 출시 'AI 추천뉴스'는 독자가 첫 번째 기사를 클릭하는 순간부터 작동한다. 관심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기사를 읽을 때마다 AI 시스템이 독자의 취향을 기억하고 분석한다. 경제 뉴스를 자주 읽는 독자라면 점차 반도체, 주식, 부동산 등 세부 관심사까지 파악해 더욱 정확한 뉴스를 추천한다. '모닝 브리핑'과 '런치 브리핑'은 바쁜 현대인을 위한 맞춤 서비스다. 모닝 브리핑은 AI가 밤새 분석한 전날과 당일 새벽까지의 주요 뉴스를 5~7개 헤드라인으로 정리해 제공한다. 런치 브리핑은 오전 7시부터 정오까지의 뉴스를 공공·정치, 산업시장, 글로벌, 전국 이슈 등 4개 분야로 나눠 각각 5개씩 핵심 내용을 전달한다. '글로벌 투자' 서비스는 AI MY뉴스의 핵심 콘텐츠다. 뉴스핌 마켓 전문기자들의 고품질 투자분석 'GAM(Global Asset Management)'을 독자에게 제공한다. '글로벌 브리핑'은 미국 증권시장 상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날마다 시장 개요부터 투자자 관점까지 4개 섹션으로 체계화된 분석을 제공한다.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등 주요 기술주를 별도 추적해 대형 기술주의 시장 영향력을 정밀 분석한다. '파워 특징주 포트폴리오'는 일일 수익률, 변동성, 이동평균 편차 등 핵심 지표를 종합해 수익률 상위 종목을 분석하고, '이 시각 증시 시그널'은 글로벌 이슈를 실시간으로 찾아 미국 증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신호로 정리해 제공한다. '주간 연준 인사이트'는 연방준비위원회 공식 브리핑을 투자자 관점에서 재해석하며, '뉴욕증시 전문가 팁'은 매일 뉴욕 현지 증시 전문가들의 생생한 조언을 5개의 구체적인 팁으로 가공해 전달한다. 이 가운데 '뉴스 종목 추적기'는 전 세계 글로벌 뉴스에서 미국 시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실시간으로 포착한다. S&P500 전체 기업을 대상으로 긍정적·부정적 영향을 받을 종목을 각각 5개씩 찾아 구체적인 이유도 내놓는다. 뉴스핌이 새롭게 내놓는 AI MY뉴스 서비스 모습 [자료=뉴스핌DB] 2025.08.08 biggerthanseoul@newspim.com 뉴스핌은 글로벌 AI 검색 기업 퍼플렉시티와 협력해 생활 밀착형 AI 어시스턴트도 제공한다. '뉴스 전략 24시'는 그동안 축적된 뉴스 데이터를 바탕으로 독자의 질문 의도를 파악해 맞춤형 답변과 생활 전략을 제시한다. 미국 증시 투자 전략도 함께 제공해준다. '정책 배달 119'는 정부 정책브리핑의 모든 데이터를 기반으로 개인 상황에 맞는 정책을 찾아 신청 방법까지 안내하는 개인 맞춤형 정책 컨설턴트 역할을 한다. 단순 검색에서 그치지 않고 독자의 행동을 이끌 수 있는 현실적인 답변을 제시한다. 뉴스핌의 모든 기사는 50개 국어로 번역돼 국내 거주 외국인과 해외 독자들도 모국어로 한국 뉴스를 접할 수 있다.  ◆ "독자와 함께 성장하는 새로운 미디어 경험의 시작" 민병복 뉴스핌 회장은 "AI MY뉴스는 정보 홍수 시대에 진정으로 필요한 뉴스를 선별해 전달하는 새로운 미디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며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도 국민 모두의 삶에 힘이 되는 뉴스를 제공하겠다"고 강조했다. 민 회장은 "AI MY뉴스는 독자와 함께 성장하며 개인의 삶에 진정한 가치를 더하는 새로운 미디어 경험의 시작"이라며 "AI를 활용해 새로운 결과를 도출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에 직접 AI로 콘텐츠를 만들어 국민 모두가 제한 없이 무료 서비스를 바로 활용할 수 있게 했다"고 말했다. 이번 AI MY뉴스 서비스는 첫 버전(V 1.0)이다. 우선 모바일 웹페이지에서 서비스가 제공된다. 뉴스핌은 국민을 대상으로 맞춤형 콘텐츠 수요를 직접 파악해 국민이 원하는 서비스를 지속 개발해나갈 예정이다.  분야별 독자들의 성향을 파악해 다양한 콘텐츠 설계 아이디어를 받아 매월 지속적인 콘텐츠 업데이트에 나설 예정이다.  이어 이미 서비스에 나선 AI 아나운서 글로벌 투자 콘텐츠는 물론, 다양한 영상 콘텐츠도 선보일 계획이다.  이를 토대로 뉴스핌은 국내를 뛰어넘어 세계 시장에서 AI를 잘 활용하는 글로벌 뉴스통신사로 도약하는 데 속도를 낼 예정이다.  biggerthanseoul@newspim.com 2025-08-11 12:54
사진
비만치료제 '마운자로' 21일부터 처방 가능 [서울=뉴스핌] 김신영 기자 = 한국릴리가 비만치료제 '마운자로'(성분명 터제파타이드)를 14일 국내 출시했다고 밝혔다. 릴리와 공급 계약을 체결한 도매 업체는 오는 20일부터 마운자로의 유통을 시작할 예정이다. 빠르면 21일부터 각 의료기관에서 처방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로고=마운자로] 다만 상급 종합병원의 경우 각 기관의 약사위원회(DC)를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더 소요될 수 있다. 한국릴리 측은 "마운자로를 필요로 하는 국내 2형 당뇨병 및 비만 환자 분들께 치료제를 가장 빠르고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sykim@newspim.com 2025-08-14 14:38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