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Gam

속보

더보기

"2017년은 다시 '액티브 펀드'의 해" - 배런스

기사입력 : 2017년01월09일 17:31

최종수정 : 2017년01월09일 17:38

"선택종목 비중 높되 회전율 낮은 펀드 골라라"

[뉴스핌=이영기 기자] 월가에서 2017년은 '액티브 펀드(active fund)'가 다시 뜰 것이란 예감이 나오고 있다.

배런스 최신호(1월7일 자) 커버스토리는 "지난 5년간 지수추종형 펀드(인덱스 펀드)등 '패시브' 쪽으로 자금이동이 주가 상승을 더이상 견인할 수 없는 한계점에 가까워진 데다, 금리상승이 예고하는 경제성장은 소형주에 더 유리해 액티브 쪽에 뒷바람 효과를 안겨줄 것으로 보인다"는 전망을 제시했다.

이에 따라 배런스는 알리안츠글로벌인베스트먼츠 NFJ 배당 가치주(AllianzGI NFJ Dividend Value;PNEAX), 디멘저널 미 대형가치주(DFA U.S. Large Cap Value;DFLVX), 닷지앤콕스 주식(Dodge&Cox Stock;DODGX), 굿헤이븐(GoodHaven;GOODX), 사운드쇼어(Sound Shore;SSHFX), 티 로 프라이스 에쿼티 인컴(T. Rowe Price Equity Income;PRFDX), 뱅가드 미국 가치주(Vanguard U.S. Value;VUVLX) 등 7개 액티브 펀드 상품을 추천했다.

<출처: 배런스 및 모닝스타>

배런스는 액티브 펀드 선별 기준으로 "보다 적극적으로 운용하는 종목 점유율이 높되 낮은 회전율의 펀드를 찾을 것"을 권고했다. 이들 펀드는 2015에는 실망스런 실적을 보였지만 2016년에 그 성과가 빛을 발했고 올해도 그 추세를 이어갈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 과도한 패시브 펀드로 자금 쏠림과 금리인상 

배런스는 액티브 펀드의 귀환의 배경으로 지난 5년간 인덱스 펀드등 패시브 쪽으로의 자금이동이 주가상승을 더이상 견인할 수 없는 한계점에 가까워졌다는 점과 금리상승이 예고하는 경제성장은 소형주에 더 유리해 액티브 쪽에 뒷바람 효과를 안겨줄 것이란 점을 꼽았다.

티 로 프라이스 에쿼티인컴펀드의 존 리니언(John Linehan) 펀드매니저는 "대규모 자금유입이 패시브 펀드 성과를 끌어올렸다고 생각한다"며 "지수에 포함되지 않은 종목을 보유하고 있다면 불리한 상태에 있게 되는 셈인데, 그렇지만 이 상태가 계속 갈 수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Spiva(Standard & Poor 's Indices Versus Active)에 따르면 지난 5년간 패시브 펀드에는 1조달러 이상이 유입됐다. 반면 액티브 펀드는 여전히 전체 펀드의 3분의 2를 차지하고 있지만 지난해 2000억 달러 이상의 자금유출이 있었다.

이와 같이 패시브 포트폴리오가 임계치에 도달해 액티브에 비해 벨류에이션이 너무 치우치면, 인텍스가 좋은 성과를 낼 수 없고 다른 길을 선택해서 더 좋은 기회를 찾을 때라는 것이 배런스의 주장이다. 닷컴버블 직후와 2007년 금융위기 때도 이와 비슷한 기회가 있었다는 것.

노무라 인스티넷(Nomura Instinet)의 전략가들은 지난주 보고서를 통해 "시장이 지금은 패시브의 최고조에 달한 상태이고 조만간 액티브의 르네상스를 경험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상승하는 금리는 소형주에 이익을 주는 경제 성장을 예고하고, 소형주가 우위를 점할 때 시장 다양성이 증가해 액티브 매니저에게는 뒷바람 효과를 안겨주고 있다"고 강조했다.

◆ 유망 액티브 펀드의 특징은

추천한 7개 펀드 특징을 보면, 우선 일리안츠 배당가치주 펀드(PNEAX)는 배당을 하면서도 적정수준에서 벨류에이션된 종목을 편입한다. 주요 보유 종목에 로얄더치셸(Royal Dutch Shell:RDSA)과 AT&T(T)가 포함돼 있다. 포트폴리오 수익은 3%에 근접한다. 이 펀드의 A주는 찰스슈왑(Charles Schwab) 같은 펀드 공급자를 통함으로서 최대 5.5%의 초기 판매 수수료를 피해갈 수 있다.

DFLVX는 자율주행차량에 가깝다. 펀드매니저는 주가와 자산가치를 비교해 주식시장을 선별하고 최저가 종목을 골라낸다. 소규모 종목과 성장종목을 선호한다. 이렇게 하면 비록 수익은 보장하지 않을지라도 수수료와 회전율은 낮게 유지할 수 있다. 실적을 보면 지난 15년간 S&P500지수를 연간 거의 2%포인트 상회했다. 모회사인 Dimensional Fund Advisors에서 특별교육을 받은 재테크상담사로 부터 이 펀드를 구입하면 좋다.

DODGX는 8명의 공동 펀드매니저가 운용하며 포트폴리오 구성은 까탈스러운 편이다. 금융, 기술 및 보건분야가 포트폴리오의 65%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S&P500보다 해당 업종 편입 비중이 20%포인트 더 높은 수준이다. 알파벳(Alphabet)과 같은 주목받는 대기업이나 휴렛팩커드(HPQ)나 휴렛팩커드 엔터프라이즈(HPE) 같은 주목받지 못하는 종목을 보유하고 있다. 상위 5개 보유종목 중 4개가 금리 상승이나 트럼프 정책 수혜주다. 이 펀드는 2014년과 2015년에는 S&P500지수에 뒤쳐졌지만 지난해에는 지수를 능가했고, 최근 5년간 평균적으로 연 평균 2% 포인트 높은 성과를 보이고 있다.

굿헤이븐(GOODX)펀드는 집중적인 포트폴리오 구성과 주로 고성과이지만 변동이 큰 성과로 유명한 'Fairholme'펀드 출신 매니저들이 운영하고 있다. 지난해 S&P500지수보다 8%포인트 높은 성과를 보였지만 앞선 해에는 무려 20%포인트나 낮은 저조한 성적을 기록했다. 최근 상위 보유종목에는 버라이즌(Verizon Communications(VZ))과 스테이플스(Staples(SPLS))가 있고, 비인기 산업 심지어 액티브 펀드인 'Federated Investors(FII)'까지 편입할 정도로 공격적이다.

사운드쇼어(SSHFX)펀드는 월스트리트 눈밖으로 밀려났지만 여전히 수익성을 유지하는 종목을 찾고 있다는 점에서 역설적이다. 주가가 정상 벨류에이션을 회복했을때 매도한다. 신용카드 발급 회사인 캐피탈원 파이낸셜(Capital One Financial(COF)), CBS(CBS)가 편입 상위권에 속한다. 이 펀드는 최소투자액이 1만달러다.

티 로 프라이스 에쿼티인컴 펀드는 배당하면서 양호한 성장세를 보이는 종목을 주력으로 하면서 최근 현금을 줄이고 헬스케어종목을 늘였다. 21세기폭스(FOXA)와 엑손 모빌(Exxon Mobil, XOM)에 비해 크게 저평가된 프랑스 회사 토탈(Total(TOT))에 대해 언급했다. 액티브 종목 비율이 67%로 그리 높지않고 수수료도 없지만, 펀드 배당수익률은 시장 배당 수익률보다 높다.

뱅가드 미국 가치주(VUVLX) 펀드는 7개 중 가장 낮은 액티브 주식 보유 비율을 보인다. 하지만 이유가 있는 것이, 운용을 지수 포트폴리오로 시작한 다음 벨류에이션 모멘텀이나 기타 요인을 반영해 가중치를 변경해 가기 때문이다. 2015년에 펀드가 부진을 면치 못했지만 지난해에는 S&P500지수를 4%포인트 이상 능가하는 성과를 보엿다. 수수료 수준도 대형가치주펀드 평균 1.13%에 비해 0.23%로 매우 낮다.

배런스는 이번에 소개한 7개 액티브 펀드는  모닝스타(Morningstar)의 검토 결과를 반영해서 가치주가 반등하기 시작한 지난해에 양호한 성과를 나타낸 펀드로 한정해서 골랐다"고 밝혔다.

  

[뉴스핌 Newspim] 이영기 기자 (007@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돌연 취소된 '2+2 통상협상' 왜? [세종 = 뉴스핌] 김범주 기자 = 25일(현지 시각) 미국 현지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한미 2+2 재무·통상 협의'가 돌연 취소된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미국 측이 한국 대표단에 '양해'의 뜻을 여러 차례 표명했다는 것이 우리 정부의 설명이지만, 외교상 결례에도 불구하고 협의를 미뤄야 했던 배경에는 한국 협상단을 길들이겠다는 의도가 있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영종도=뉴스핌] 김학선 기자 = 미국 측 요청으로 한미 2+2 통상 협의가 연기된 24일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이 출국 직전 취소 소식을 듣고 인천공항 2터미널을 나서고 있다. 2025.07.24 yooksa@newspim.com 24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구윤철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이날 오전 9시경 이메일로 미국 측으로부터 협의 취소를 통보 받았다. 이날 오전 구 부총리는 협의를 위해 미국으로 출발할 예정이었다. 당시 인천공항 대기실에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기재부는 이 같은 사실을 오전 9시 30분께 언론에 공개했고, 구 부총리는 정부 관계자들과 함께 오전 9시 50분께 공항을 빠져나갔다. 이날 회의가 취소가 된 배경에 대해 기재부 측은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의 긴급한 일정 때문이었다"고 설명했다. 다만 '긴급한 일정'에 대한 설명은 없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미국 측이 이메일을 통해 여러 차례에 걸쳐 사과 의사를 밝혔지만, 협상 관련 구체적 일정은 확정하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의 미국과의 협상은 예정대로 진행된다. 김 장관은 크리스 라이트 에너지장관 등을, 여 본부장은 제이미스 그리어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각각 만난다. 하지만 양국 경제·통상 수장이 구체적 이유 없이 협의를 돌연 취소한 배경으로 한미간 협상이 난항을 겪은 것 아니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앞서 지난 20일 미국으로 출국한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은 이날 오후 귀국할 예정이지만, 고위급 협상에 진전이 없었던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한국 정부는 1000억달러(약137조원) 규모의 미국 현지 투자 계획을 미국 정부에 제안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보다 먼저 관세협상을 타결한 일본 사례를 참고해 짠 전략으로 풀이된다. 일본은 5500억달러(약 757조원) 규모의 투자 펀드를 약속하고 미국과의 상호관세 15%부과에 합의했다. [영종도=뉴스핌] 김학선 기자 = 미국 측 요청으로 한미 2+2 통상 협의가 연기된 24일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출국 직전 취소 소식을 듣고 인천공항 2터미널을 나서고 있다. 2025.07.24 yooksa@newspim.com 다만 한국 정부가 제시할 투자 규모에 미국 정부가 만족할지 여부는 미지수다. 댄 스커비노 백악관 부비서실장이 최근 소셜미디어(SNS) 엑스(옛 트위터)에 공개한 일본 대표단과의 협상 사진을 살펴보면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대미 투자액을 상향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투자액이 나온다. 애초 일본이 제시한 투자액 4000억달러는 펜으로 그어져 있고, 그 위에 5000억달러라는 숫자가 써 있었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일본의 대미국 투자액은 5500억달러라고 공개했다. 협상액보다 500억 달러가 높아진 셈이다. 촉박한 협상 일정을 무기 삼아 미국이 비관세 영역도 손보려는 의도가 아니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2025년 미국 무역대표부의 비관세 장벽 보고서(NTE)에서도 한국의 방산·통신·원전 분야를 지적했다. 박기훈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방산과 통신은 미국 기업의 진입 장벽이라는 측면에서 구조 개선에 대한 압력을 가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wideopen@newspim.com 2025-07-24 18:42
사진
특검, 한덕수 자택·총리공관 압수수색"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내란특검팀이 24일 국무총리 서울공관에 대한 압수수색에 들어갔다. 국무총리실은 이날 문자 공지를 통해 특검팀의 수사에 적극 협조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특검은 이날 한덕수 전 총리 자택 압수수색에도 나섰다. [서울=뉴스핌] 이형석 기자 =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2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검찰청에 마련된 내란 특검 사무실에서 조사를 마치고 차량으로 이동하고 있다. 2025.07.02 leehs@newspim.com 한 전 총리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계획을 알고도 이를 묵인 또는 방조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특검은 압수물 분석을 마치는 대로 한 전 총리 등을 다시 조사한 뒤 구속영장 청구 여부 등을 검토할 전망인 것으로 알려졌다. sheep@newspim.com 2025-07-24 13:54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