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글로벌

속보

더보기

5천년 역사 살아 숨쉬는 그곳, 중국의 가장 볼만한 10대 명승고적

기사입력 : 2017년12월07일 16:18

최종수정 : 2017년12월07일 16:18

시크릿 가든 자금성, 만리장성, 병마용
전통 문화가 숨쉬는 쑤저우 원림
실크로드 거점 둔황 막고굴, 쑨원의 묘지 중산릉

[뉴스핌=홍성현 기자] 고대 문명의 발상지 중국은 5천년 유구한 역사를 자랑합니다. 그만큼 풍부한 역사 유적을 가진 국가이기도 한데요. 중국을 대표하는 명승고적으로는 자금성과 만리장성, 자연과의 조화가 일품인 쑤저우 원림(園林), 공자의 사당 공묘(孔廟), 중국 최대 석불 러산대불(樂山大佛) 등을 꼽을 수 있습니다.

명승고적을 방문하면 일단 외관으로 시선을 압도당하고, 역사문화적 배경을 알고 나서는 한번 더 고개를 끄덕이기 마련이죠. 5천년 역사가 살아 숨쉬는 곳, 중국 명승고적의 이야기 속으로 들어가봅니다.

◆ 황제가 머물던 ’ 자금성

‘중국’하면 ‘베이징’, ‘베이징’ 하면 ‘자금성’이 자연스럽게 떠오르는데요. '천제가 사는 자궁(紫宮)과 같은 금지(禁地) 구역'이란 뜻의 자금성은 중국을 대표하는 상징과도 같은 존재입니다.

중국 명∙청 왕조 24명의 황제가 머물렀던 황궁으로, 현존하는 최대규모의 고대 목조 건축물이라고 해요.

1987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됐으며, 프랑스 베르사유, 영국 버킹엄, 미국 백악관, 러시아 크렘린궁과 함께 세계 5대 궁전으로 꼽힙니다.

자금성 <사진=바이두>

◆ ‘인류 최대 토목공사’ 만리장성

‘세계 7대 불가사의’ ‘인류 최대의 토목공사’로 불리는 만리장성은 인공위성에서도 형태가 보인다는 설이 있을 정도로 엄청난 규모를 자랑합니다.

중국의 역대 왕조가 북방 유목민족의 침입을 막기 위해 세운 성벽으로 국경과 같은 기능을 했습니다. 춘추전국시대부터 짓기 시작해 명대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지금의 형태를 갖추게 됐다고 하는데요.

2009년 중국 문물국(文物局) 발표 자료에 따르면, 만리장성은 중국 10개 성(省) 156개 현(縣)을 지나며, 총 길이는 8851.8km에 달합니다.

만리장성 <사진=바이두>

◆ 세계 8 불가사의’ 병마용

중국 역사상 첫번째 황제 진시황의 무덤인 진시황릉은 여산릉(驪山陵)이라고도 부릅니다. 여산릉 동쪽에 있는 병마용 갱은 1974년 한 농민이 우물을 파다가 우연히 발견했다고 해요.

흙을 구워 실물크기로 만든 병사와 말의 모형은 규모뿐만 아니라 정교한 조각으로 세계인의 시선을 사로잡는데요.

병마용은 '세계 8대 불가사의' 로 꼽히며, 각기 다른 표정과 동작, 옷의 주름 하나 하나까지 세밀하게 표현돼 훌륭한 예술품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병마용 <사진=바이두>

◆ ‘중국식 정원’ 쑤저우 원림

쑤저우 원림(園林)은 장쑤(江蘇)성 쑤저우 산수 원림 건축을 통칭하는 말입니다. 쑤저우는 ‘물과 정원의 도시’ 답게 정원이 참 많은데요.

그 중에서도 졸정원(拙政園), 창랑정(滄浪亭), 유원(留园), 사자림(獅子林)을 일컫는 4대 정원이 특히 유명합니다.

자연의 아름다움을 그대로 살려서 만든 조화로움이 쑤저우 정원의 특징입니다. 하늘과 물, 중국 전통의 누각과 꽃나무가 어우러진 쑤저우 원림 속에 있으면 저절로 힐링이 된다고들 해요.

쑤저우 원림 <사진=바이두>

◆ 청황제의 여름궁전’ 피서산장

청나라 황제들이 여름을 보냈던 곳 피서산장(避暑山莊), 여름철에도 선선하고 비가 많이 내리는 기후로 무더위를 피하기 안성맞춤이었다고 합니다.

1703년에 지어진 피서산장은 세계에서 현존하는 최대 규모의 고대 황실 정원이랍니다. 이화원(頤和園), 졸정원(拙政園), 유원(留園)과 함께 중국 4대명원(名園)으로도 꼽히죠.

피서산장이 있는 청더(承德)는 역사∙문화의 도시이기도 한데요. 피서산장과 그 주변 8개 사찰 외팔묘(外八廟)는 지난 1994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됐습니다.

피서산장 <사진=바이두>

◆ 티베트 불교의 심장’ 포탈라궁

‘티베트 불교의 심장’ 포탈라궁은 시짱(西藏)자치구 최대 도시 라싸(拉薩)에서 만나볼 수 있습니다. 티베트 전통건축 양식으로서, 산 중턱에 겹겹이 쌓아 올라가 마치 요새와 같은 위용을 뽐내는데요.

세계에서 해발고도가 가장 높은 고지대에 위치한 궁전이며, 궁전과 성보(요새), 사원이 하나로 합쳐진 것이 특징입니다. 달라이라마가 머문 신성한 공간으로 티베트 불교(라마교)의 성지이기도 하죠.

한편 티베트어로 ‘신의 땅’이라는 의미의 라싸는 해발 3700m 고지대에 위치해 세계의 지붕이라 불린답니다.

포탈라궁 <사진=바이두>

◆ 둔황 석굴’ 막고굴

‘막고굴(莫高窟 모가오굴)’은 처음 들어도 ‘둔황 석굴’은 한번쯤 들어보셨을 텐데요. 중국 간쑤(甘肅)성 둔황(敦煌)에 있는 막고굴은 정교한 벽화와 조각으로 이름난 중국의 문화유산입니다.

운강(윈강)석굴, 용문(룽먼)석굴, 맥적산(마이지산)석굴과 함께 중국 4대 석굴로 꼽히며, 건축, 조각, 벽화로 이루어진 뛰어난 종교예술작품이라는 찬사를 받는데요.

실크로드 거점 도시 둔황은 사막과 오아시스를 만나볼 수 있는 곳이기도 합니다.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막고굴, 해발 1715m의 명사산(鳴沙山 밍사산), 명사산 가운데에 위치한 초승달 모양의 호수 월아천(月牙泉 웨야취안)은 둔황을 대표하는 풍경명승구로 지정돼 있습니다.

둔황 막고굴 <사진=바이두>

◆ 공자 유적지’ 삼공(三孔)

삼공(三孔)이란, 공자의 사당 공묘(孔廟), 공자의 후손이 살던 곳 공부(孔府), 공자와 후손의 묘지 공림(孔林)을 합쳐 부르는 말입니다. 모두 중국 산둥(山東)성 취푸(曲阜)에서 만나볼 수 있죠.

공묘(孔廟)는 기원전 479년 공자(孔子)가 세상을 떠난 직후 세워졌습니다. 유교의 대표 사상가 공자를 기리는 사당으로, 베이징의 자금성, 타이안(泰安)의 대묘(垈廟)와 더불어 현존하는 중국 고대 3대 건축물이라고 하는데요.

노목이 펼쳐진 묘역에 10만이 넘는 공자 자손들의 묘비가 숲처럼 세워져 있는 공림은 단일 가문의 묘지로서는 세계 최대 규모를 자랑합니다.

공묘 <사진=바이두>

‘중국 최대 석불’ 러산대불

쓰촨(四川)성 러산(樂山)에 있는 러산대불(樂山大佛)은 중국 최대 규모의 석불입니다. 불상의 머리 너비가 10m, 어깨 너비 28m, 높이는 무려 71m에 달한다고 하는데요.

민장(岷江)강과 마주하는 능운산(淩雲山 링윈산) 서쪽 암벽을 통째로 잘라내 새긴 마애석불로서, 713년 창건된 능운사(淩雲寺)의 본존미륵보살입니다. 당나라 승려 해통(海通)이 배가 안전하게 지나다니기를 기원하며 석불을 새기기 시작했다고 전해집니다.

어마어마한 크기의 러산대불을 한눈에 담기 위해서는 배를 타고 멀리 떨어져 감상해야 한다죠. 러산대불은 지난 1994년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됐습니다.

러산대불 <사진=바이두>

◆ 쑨원이 잠든 ’ 중산릉

중산릉(中山陵)은 중국 근대 민주혁명의 아버지 손중산(孫中山 쑨원)의 묘지입니다. ‘난징(南京)에 가서 중산릉을 들르지 않는다면 중국인이 아니다’라는 말이 있는데요. 일반적으로 황제의 무덤에 붙이는 '릉(陵)'으로 부르는 것만 봐도 쑨원에 대한 중국인들의 존경심을 미루어 알 수 있습니다.

쑨원의 묘를 참배하려면 기나긴 참배로와 392개의 돌계단을 올라가야 합니다. 계단 392개는 쑨원 사망 당시 중국의 인구 3억9천2백만명을 의미한다고 해요.

중산릉은 장쑤성 최대 규모의 삼림공원인 자금산(紫禁山)에 자리잡고 있는데요. 단순한 묘의 기능을 넘어 장쑤성 내 유명 관광지로 명성이 높답니다.

중산릉 <사진=바이두>

 

[뉴스핌 Newspim] 홍성현 기자 (hyun22@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중앙지법, 尹 구속적부심 18일 오전 [서울=뉴스핌] 김현구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내란 특검(특별검사)'의 재구속 적법성 여부가 오는 18일 나온다. 16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은 형사9-2부(재판장 류창성)오는 18일 오전 10시15분 윤 전 대통령 측이 청구한 구속적부심을 진행한다. 윤석열 전 대통령. [사진=뉴스핌DB] 윤 전 대통령 측 법률대리인단은 이날 오전 중앙지법에 구속적부심사를 청구했다. 윤 대통령 측은 "적부심의 일반적 법리인 구속이 실체적, 절차적으로 위법·부당하다는 점을 다툴 예정"이라고 밝혔다. 특검은 지난 6일 윤 전 대통령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이후 서울중앙지법 남세진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지난 9일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진행한 뒤 다음 날 새벽 '증거인멸 우려'를 이유로 윤 전 대통령에 대한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형사소송법에 따르면 법원은 구속적부심사 청구가 접수된 후 48시간 이내에 피의자를 심문하고, 증거 조사를 진행해야 한다. hyun9@newspim.com 2025-07-16 14:41
사진
'강선우 임명' 딜레마 빠진 대통령실 [서울=뉴스핌] 박성준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의 임명 여부를 놓고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 '보좌진 갑질' 의혹과 해명 번복, 임금 체불 논란 등이 이어지며 여론이 악화한 가운데, 대통령실은 인사 원칙과 여성 내각 구성이라는 정치적 목표 사이에서 셈법이 복잡해진 분위기다. 강 후보자에 대한 청문회는 지난 15일 마무리됐지만, 논란은 오히려 커졌다. 국회 보좌진들 사이에선 익명 폭로가 이어지고, 여성단체들까지 "사퇴해야 한다"는 성명을 잇달아 내고 있다. 여권 내부에서도 부담을 토로하는 기류가 감지된다. 그럼에도 대통령실은 결정을 미루고 있다. 남은 청문회 과정을 모두 지켜본 후 종합 판단하겠다는 게 현재까지 대통령실 입장이다. 내부적으로 '임명 강행'과 '철회' 사이에서 득실 계산이 한창이다. [서울=뉴스핌]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1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5 세계정치학회(IPSA) 서울총회 개막식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7.14 photo@newspim.com ◆ 여성 인재 중용 기조...정치적 부담 상존 임명을 강행할 경우, 이재명 정부가 추진하는 여성 인재 중용 기조를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이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이 대통령은 내각 여성 비율을 30% 목표로 한다고 공언했으며, 여성가족부를 존치한 배경에도 그 같은 상징성이 깔려 있다. 실제로 강 후보자 외에도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 등 여성 후보자들이 줄줄이 청문회에 오르면서, 한 명의 낙마가 전체 균형을 흔드는 도미노 효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정치적 부담도 고려 대상이다. 강 후보자는 현직 국회의원이다. 만약 청문회를 거쳐 낙마할 경우, 이는 청문회 제도가 도입된 2000년 이후 사실상 처음 있는 '현역 의원 낙마' 사례가 된다. 이는 청문회 제도와 야당의 검증력을 키워주는 반면, 여당에겐 타격이 될 수 있다. 임명을 강행할 경우의 리스크도 작지 않다. 무엇보다 시민사회와 보좌진들 사이에 형성된 비판 여론이 가라앉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정부의 도덕성과 인사 기준 자체에 흠이 날 수 있다. 강 후보자는 앞서 '사적 지시는 없었다'는 취지로 부인했으나, 이후 공개된 텔레그램 메시지로 거짓 해명 논란이 일었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여성가족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5.07.14 mironj19@newspim.com ◆ '버티기 인사' 반복시 내각 전체 불신 확산 우려 또한 임명 강행은 향후 이진숙 후보자 청문회에도 불똥을 튀게 할 수 있다. 여론이 악화된 상황에서 '버티기 인사'를 반복하면, 결국 전체 내각에 대한 불신으로 확산될 수 있다는 게 일부의 우려다. 대통령실은 16일 이후 여론 흐름 등을 토대로 강 후보자에 대한 거취를 결정할 방침이다. 일각에선 이진숙 후보자 청문회까지 모두 지켜본 뒤, 장관 인선을 '패키지'로 정리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정권 초반 인사를 둘러싼 시험대에서 이 대통령이 어떤 선택을 할지 주목된다. 강 후보자의 임명은 단순한 인사 문제를 넘어, 여성 인재 정책과 인사 기준, 여당 내 권력구도와도 맞물린 상징적 분기점이 되고 있다. 한편 더불어민주당 소속 국회의원 보좌진 모임인 민주당보좌진협의회(민보협) 역대 회장단은 이날 성명을 통해 강 후보자의 자진 사퇴를 요구했다. 이들은 "국회의원에게 보좌진은 단순한 직원이 아니라 의정활동 전반을 보좌하는 파트너이자 국민과 국회를 잇는 다리"라며 "그런 보좌진의 인격을 무시한 강 후보자의 갑질 행위는 여성가족부 장관은 물론 국회의원으로서의 기본적 자세조차 결여된 것이라 평가하지 않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parksj@newspim.com 2025-07-16 14:36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