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건 원장, 김홍석 연구위원, 허동규 대표(왼쪽부터) <사진=이현경 기자> |
[뉴스핌=이현경 기자] 스마트시대에 공예산업은 어떤 변화를 맞을까. 일단 공예산업계 관계자들은 공예에 대한 정의를 다시 짚어보고, 공예인들이 적극적으로 인식 변화와 디지털 기술과의 융합에 관심을 가져볼 필요가 있다고 내다봤다.
7일 2017 공예트렌드 페어가 삼성동 코엑스 A홀에서 열렸다. 이날 진행된 전문세미나에는 김홍석 KIET산업연구원 연구위원, 나원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원장, 허동규 머터리얼앤디자인 대표가 참석해 '4차산업혁명과 공예'에 관한 이야기를 나눴다.
이날 김홍섭 연구위원은 공예가치 유지와 디지털 기술의 결합과 융합, 전통공예와 새로운 공예의 균형적인 발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요즘에는 DIY를 넘어 DIWO(Do it with Others)를 외치더라. 다른 사람과 협력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이를 콜라보라고도 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공예인의 인식 변화가 필요하다. 개방적인 태도가 있어야 공예 산업이 앞으로 발전하고 공예의 순기능과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나건 원장은 4차 산업혁명으로 인간이 상상할 수 없는 것까지 다 만들어 낼 수 있는 시대가 왔다고 설명했다. 그는 4C에 대한 설명도 더했다. 4C는 Capturing, Computing, Creating, Composing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CAD와는 완전히 다른 시스템이다.
나건 원장에 따르면 Capturing으로 센서가 발달하게 된다. 심지어 건물을 지을 때 콘크리트에 센서를 넣어 직접 지을 수 있게 된다. 그러면 자동적으로 건물 내부 정보가 들어온다. 이는 디지털 스캔 정보가 발달할 수 있게된다. 아이폰으로 찍어도 세밀하게 나올정도로 소프트웨어 개발이 다 된 상황이다.
나건 원장 <사진=이현경 기자> |
Computing으로 불가능했던 설계가 현실화됐다. 컴퓨터 파워가 받쳐주기 때문에 충분히 가능해진 시대가 왔다는 것이다. Creating도 혁신화됐다. 3D컴퓨터와 머신을 통해서다. 새끼 거북이를 잡아먹는 까마귀에 3D컴퓨터로 똑같이 거북이를 만들었다. 까마귀가 쪼면 맛이 좋지 않은 성분으로. 이렇게 까마귀에 거북이를 쪼면 맛이 없다는 학습을 시키는 것. 그야말로 상상할 수 없는 분야에 기술이 들어간 상황이다.
Composing은 Allyson Felix라는 육상선수의 운동화 설계에 이용됐다. 나이키는 장거리 선수인 Allyson Felix를 위한 기술을 개발했다. 직선에서 잘 달릴 수 있도록 힘을 받쳐주고, 곡선에서 안정성이 담보가 되는 운동화를 만든 것이다. 수없이 많은 실험을 통해 만들어진 결과물이다.
나건 원장은 공예의 정의에 대해 "인간 생활주변에서 사용되는 물품을 재료와 기교 등으로 예술로 승화시킨 것이다. 동의하는 정의는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쓰이는 정의"라고 말했다.
하지만, 향후에는 '공예'에 대한 의미를 다시 정해야할 때라고 밝혔다. 그 배경에 대해서는 "공예가는 디자이너가 되고 싶어하고, 디자이너는 공예가가 되고 싶어 한다"면서 "디자이너는 열심히 작업해도 성과는 회사의 임원이나 혹은 회사가 독차지한다. 반면 공예가는 자신의 이름을 걸고 작업하지만, 많이 팔지 못한다"고 말했다.
그는 공예가와 디자인의 경계가 허물어져야할 때라고 말했다. 나건 원장은 "어디가 전통이고, 현대인지, 그리고 수공예(handcraft)인지 정의를 다시 내려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더불어 그는 "공예의 속성과 특징을 반영할 수 있는 좋은 한국말, 단어를 만들면 좋지 않겠나. 공예계의 합의하에 만들어진다면 그 영향력은 더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허동규 대표는 공예에 대해 "공예는 이제 라이프스타일에 깊숙하게 침투가 됐다고 생각한다. 전통, 문화, 공예 삶 자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면서 "그런데, 보이지 않는 유리막이 있다. 가리막을 빨리 거둬줘야 한다고 생각한다. 우리 삶이 더 나아지기 위해 하는 거다"라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이현경 기자(89hklee@newspim.com)